[include(틀:러시아 관련 문서)] [include(틀:러시아 해군의 함대 구성)] ||<-7> '''{{{+1 러시아 해군 태평양함대}}}[br]Тихоокеанский флот ВМФ России (ТОФ ВМФ)[br]Pacific Fleet''' || ||<-7> [[파일:태평양 함대 엠블럼.svg|width=300]] || || '''창설일''' ||<-6><(> [[1731년]] [[5월 21일]] || || '''소속''' ||<-6><(> [[러시아 해군]] || || '''규모''' ||<-6><(> ?명 / 83척(+26) || || '''기함''' ||<-6><(> [[슬라바급 순양함]] 바랴그[*유의 2022년 현재는 지중해 쪽으로 지원을 나간 터라 다른 대체 기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 '''사령관''' ||<-6><(> 세르게이 아바키안츠 상장 || || '''참전''' ||<-6><(> [[러일전쟁]][br][[제2차 세계 대전]][br][[체첸 전쟁]][br][[시리아 내전]][br][[소말리아/해적|소말리아 인근 해상 선박호송]][br][[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 '''위치''' ||<-6><(> [[러시아]] [[프리모리예 지방]] [[블라디보스토크]] ||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 해군]] 태평양함대는 [[동북아시아]] 북단과 [[캄차카 반도]]에 위치한 정규 [[함대]](Fleet) 중 하나로, [[북방함대]] 다음으로 러시아 해군에서 가장 강한 전력을 갖추고 있다. 함대[[사령부]]와 주력함 다수는 [[비밀도시]]인 [[포키노]]에 있으나, 상당수의 함정과 인력, 시설이 과거와 마찬가지로 [[블라디보스토크]]에 남아 있다. 블라디보스토크의 군항은 사실상 민간인들이 배 코앞까지 가서 사진을 찍어도 제지하지 않을 정도로 개방되어 있다. [[동아시아]]와 [[태평양]]의 국제정세와 밀접하게 연결된 함대이다. [[냉전]]시기인 1984년 3월 21일 소련의 빅터-I급 핵 추진 공격용 잠수함이 동해에서 팀스피리트84 작전에 참가 중이던 미 항공모함 [[키티호크급 항공모함|키티호크함]]을 추적하다가 서로 충돌하여 접촉사고를 낸 적이 있다.[* [[https://news.joins.com/article/1758355|관련기사]]] [[한러관계|한러]]간 이슈가 워낙 적어서 그렇지, 한국 해군과도 무관하지 않다. [[냉전]] 시기 한국 해군 1함대의 [[음탐#s-6|음파탐지]] 직별들은 열심히 [[소나]]로 이들을 추적했다. 한국 해군에서 실력 좋은 음탐사들이 대개 1함대에서 많이 근무했다. == 역사 == 1731년 [[러시아 제국]] 시절에 창설되어 제국 해군과 [[소련 해군]]을 거쳐 1992년 다시 러시아 해군으로 이동하였다. 창설 초기에는 러시아에서 극동의 영향력이 그리 없어 [[오호츠크 해|오호츠크]][[전단(군대)|전단]](Flotilla) 정도로 창설되었다. [[크림 전쟁]] 후인 1856년에는 [[시베리아]]전단으로 바뀌었다. 1860년 [[베이징 조약]]에 따라 만주의 외부, 즉 지금의 [[연해주]]가 러시아에 편입되면서 이 지역이 중요해졌고 [[발트함대]] 소속의 [[전대(군대)|전대]]들이 이쪽으로 이동하였다. || [[파일:9NXK92r.jpg|width=300]] || || 러시아 극동관구 병력과 일본 자위대 병력 비교 || 규모는 그리 크지 않아 [[러일전쟁]] 개전 당시에 1태평양전대가 [[전함]] 7척, [[순양함]] 8척, [[어뢰정]] 13척, [[포함|포정]] 2척 정도의 부실한 전력이었다. 숫자만 보면 많은 것 같지만 함급이 작았고 전체적으로 부실해 [[일본제국 해군]] [[연합함대]]에 궤멸당하고 [[발트함대]]가 이동했다. 이들은 이름을 2태평양전대로 바꿨고 [[쓰시마 해전]]에서 패했다. 그후 1905년의 러시아 혁명 당시에 반란을 일으켰고 1917년에도 [[적백내전]]에서 적군에 참여했다. 사실 배는 [[백군]]과 [[일본군]]에게 뺏겼고 [[수병]]들이 주로 적군에 참여했다. 1922년에 소련은 이들을 아무르전단으로 개편했다. 1926년에 해산되었다가 일본이 [[만주국]] 침략을 시작하면서 1935년에 태평양함대로 부대를 편성했다. 지휘관은 빅토로프 [[제독]]이었다. [[수상함]] 정도가 고작이었던 것에 [[잠수정]]이 추가되고 [[항공대]]도 생겼다. 2차 대전 당시 일본과는 불가침 상태였으므로 일부 잠수함들이 태평양을 거쳐서 발트 해 및 북해로 재배치되고 해군 보병 병력이 동부전선에 차출된 것을 제외하면 주 병력은 주둔지에서 일본군을 견제한 채 대기했다. 1945년에 소련이 일본에게 선전포고하면서 태평양함대의 장병들은 한반도 북부의 작전에 참여했고 [[쿠릴 열도]]에 해군보병([[해병대]])이 상륙작전을 하기도 했다. 러시아 태평양 함대는 존속된 기간이 2021년 기준 290년이 되었고, 10년 후 에는 창설 300주년이 된다. 제155근위차량화소총여단은 러시아 태평양함대 소속 해군보병대 여단으로, 블라디보스토크 해안을 방위한다. == [[https://en.wikipedia.org/wiki/Pacific_Fleet_(Russia)|구조]] == 태평양함대에서 가장 강력한 수상함은 [[슬라바급]] 순양함이다. 수적 주력은 8,000여톤에 달하는 '[[우달로이급]] I' 4척이다. 하지만 태평양함대의 실질적인 주력은 잠수함 전대로 [[SSBN]], [[SSGN]], [[SSN]]이 실질적인 핵심이라 할 수 있다. SSBN은 [[미국]], [[중국]], [[인도]] 등의 거대국가 이외에는 [[프랑스]]와 [[영국]]만 보유한 전략 무기로 한 척만으로도 어지간한 국가를 소멸시키는 것이 가능한 파멸적인 병기이다. SSBN이 보유하고 있는 [[SLBM]]은 핵탄도 미사일을 말하며 통상 8,000km의 사정 거리를 가지고 있다. 다만 인도는 기술력이 부족하여 그만큼의 사거리를 확보하지 못하였다. 태평양함대에는 총 4척의 SSBN(전략원잠)을 보유하고 있다. 러시아 태평양함대는 거기에 [[SSGN]]도 6척을 보유하고 있다. SSGN은 러시아가 한 척으로 항공모함 전단을 상대하기 위해 개발한 원잠으로 상당히 강력한 병기이다.[* 이러한 러시아 태평양 함대의 어마어마한 잠수함 전력 때문에 일본 해상자위대는 미국과 비슷한 숫자의 대잠초계기를 운용하며 대한민국 해군 1함대에는 대잠헬기를 운용할 수 있고 소나도 울산급이나 포항급보다 뛰어난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이 2척이나 배치되어 있다.] 다량의 초음속 미사일로 승부를 보는 것이 요점이라 하겠다. 여기에 공격형 핵잠인 [[아쿨라급]] I을 3척 보유하여 원양 전단 호위도 구색을 맞추었다. [[원자력 잠수함]] 뿐만 아니라 [[재래식 잠수함]]인 [[킬로급]]도 9척이나 보유하고 있다. 야센급 유도미사일 탑재 SSGN을 2025년까지 대거 배치될 계획이다.[[http://m.news.naver.com/read.nhn?oid=001&aid=0009315158&sid1=100&mode=LSD|#]] 종합하면, 상술하듯 러시아 해군 편제 중 [[북방함대]] 다음으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함대다.[* 북방 함대는 북극해만 지나가면 바로 미국 위에 있는 캐나다다.] 오히려 [[발트함대]]나 [[흑해함대]]는 지리적 한계로 인해 함대 규모 등에서 제약이 심하지만,[* 그래도 이들은 러시아의 핵심부 주변에 있기 때문에 타군의 도움을 제대로 받을 수는 있다.][* 그리고 러시아 해군 편제 중 가장 뒤떨어지는 함대는 카스피해 전단이다. 규모부터 전단급에다, 만재배수량 2,000톤 수준인 [[게파르트급 초계함]] 2척이 주력이다. 러시아 해군 간부들도 여기 배치되면 [[좌천]]된 것으로 생각할 수준.] 러시아 태평양함대는 최대 적성국인 미국의 최정예 대양 함대인 태평양함대(산하 [[제7함대]], [[제3함대(미합중국 해군)|제3함대]] 보유)를 상대해야 하는데다가 미국의 동맹인 대한민국 해군이나 일본 해상자위대 자체도 만만치 않은 상대들이기 때문이다. ===# [[https://www.ww2.dk/new/navy/TOF.htm|1988년]] #=== * 제2잠수함전단 / 2nd Submarine Flotilla 제8잠수함사단 / 8th Submarine Division 제10잠수함사단 / 10th Submarine Division 제25잠수함사단 / 25th Submarine Division 제42잠수함사단 / 42nd Submarine Division 제45잠수함사단 / 45th Submarine Division * 제4잠수함전단 / 4th Submarine Flotilla 제21잠수함사단 / 21st Submarine Division 제26잠수함사단 / 26th Submarine Division 제29잠수함사단 / 29th Submarine Division * 제8작전전대 / 8th Operational Squadron * 제10작전전대 / 10th Operational Squadron 제175미사일함여단 / 175th Missile Ship Brigade 제183대잠전여단 / 183rd Anti-Submarine Warfare Brigade 제201대잠전여단 / 201st Anti-Submarine Warfare Brigade * 제17작전전대 / 17th Operational Squadron * 제22해군상륙사단 / 22nd Naval Landing Division 제14상륙함여단 / 14th Landing Ship Brigade 제77상륙함대대 / 77th Landing Ship Battalion 제100상륙함여단 / 100th Landing Ship Brigade * 제34구조함여단 / 34th Rescue Ship Brigade * 제35우주감시함여단 / 35th Space Surveillance Ship Brigade * 제38정찰함여단 / 38th Reconnaissance Ship Brigade * 제89미사일함여단 / 89th Missile Ship Brigade * 제140통신센터 / 140th Communications Center * 제453독립해양조사함대대 / 453rd Indpendent Oceanographic Research Ship Battalion * 제1863통신센터 / 1863rd Communications Center * 독립보안방호대대 / Unidentified Independent Protection and Security Battalion * 사할린전단 / Sakhalin Flotilla 제33해안방어여단 / 33rd Coastal Defence Brigade 제79선박건조분해수리여단 / 79th Brigade of Constructed and Overhauled Ships 제110독립수로함대대 / 110th Independent Hydrographic Ship Battalion 제137해안방어여단 / 137th Coastal Defence Brigade 제193대잠전여단 / 193rd Anti-Submarine Warfare Brigade 제196해안방어여단 / 196th Coastal Defence Brigade 제376예비함대대 / 376th Reserve Ship Battalion * 연해주전단 / Primorskiy Flotilla 제4잠수함건조분해수리여단 / 4th Brigade of Constructed and Overhauled Submarines 제7소해함여단 / 7th Minesweeper Brigade 제19잠수함여단 / 19th Submarine Brigade 제45해안방어여단 / 45th Coastal Defence Brigade 제47해안방어여단 / 47th Coastal Defence Brigade 제72잠수함건조분해수리여단 / 72nd Brigade of Constructed and Overhauled Submarines 제165미사일함여단 / 165th Missile Ship Brigade 제202대잠전여단 / 202nd Anti-Submarine Warfare Brigade * 캄차카전단 / Kamchatka Flotilla 제104독립수로함대대 / 104th Independent Hydrographic Ship Battalion 제114해안방어여단 / 114th Coastal Defence Brigade 제173대잠전여단 / 173rd Anti-Submarine Warfare Brigade 제182잠수함여단 / 182nd Submarine Brigade * 태평양함대 해군항공부 / Department of Naval Aviation Pacific Fleet 제25해상미사일항공사단 / 25th Maritime Missile Aviation Division 제143해상미사일항공사단 / 143rd Maritime Missile Aviation Division 제51독립대잠헬리콥터대대 / 51st Independent Anti-Submarine Helicopter Squadron 제55독립대잠헬리콤터대대 / 55th Independent Anti-Submarine Helicopter Squadron 제77독립장거리대잠항공연대 / 77th Independent Long-Range Anti-Submarine Aviation Regiment 제123독립통신자동통제연대 / 123rd Independent Communications and Automated Control Regiment 제173해상공격항공연대 / 173rd Independent Maritime Assault Aviation Regiment 제289독립대잠항공연대 / 289th Independent Anti-Submarine Aviation Regiment 제304독립근위장거리정찰항공연대 / 304th Independent Guards Long-Range Reconnaissance Aviation Regiment 제310독립장거리대잠항공연대 / 310th Independent Long-Range Anti-Submarine Aviation Regiment 제311독립해상공격항공연대 / 311th Independent Shipborne Assault Aviation Regiment 제317독립혼합항공연대 / 317th Independent Mixed Aviation Regiment 제593독립수송항공연대 / 593rd Independent Transport Aviation Regiment 제710독립해상대잠전헬리콥터연대 / 710th Independent Shipborne Anti-Submarine Helicopter Regiment * 해안병력부 / Department of Coastal Troops 제1태평양함대요새지역 / 1st Fortified Area Pacific Fleet 제21독립해안미사일연대 / 21st Independent Coastal Missile Regiment 제55해군보병사단 / 55th Naval Infantry Division 제482독립해안미사일연대 / 482nd Independent Coastal Missile Regiment 제528독립해안미사일연대 / 528th Independent Coastal Missile Regiment 제648독립해안미사일연대 / 648th Independent Coastal Missile Regiment ===# [[https://ru.wikipedia.org/wiki/%D0%A2%D0%B8%D1%85%D0%BE%D0%BE%D0%BA%D0%B5%D0%B0%D0%BD%D1%81%D0%BA%D0%B8%D0%B9_%D1%84%D0%BB%D0%BE%D1%82_%D0%92%D0%9C%D0%A4_%D0%A0%D0%BE%D1%81%D1%81%D0%B8%D0%B8#%D0%9F%D1%80%D0%B8%D0%BC%D0%BE%D1%80%D1%81%D0%BA%D0%B0%D1%8F_%D1%84%D0%BB%D0%BE%D1%82%D0%B8%D0%BB%D0%B8%D1%8F_%D1%80%D0%B0%D0%B7%D0%BD%D0%BE%D1%80%D0%BE%D0%B4%D0%BD%D1%8B%D1%85_%D1%81%D0%B8%D0%BB_(%D0%A4%D0%BE%D0%BA%D0%B8%D0%BD%D0%BE)|2021년]] #=== * 연해주전단 / Primorsky Flotilla 제19잠수함여단 / 9th Submarine Brigade 제36수상함사단 / 36th Surface Ship Division 제72잠수함건조분해수리여단 / 72nd Brigade of Constructed and Overhauled Submarines 제72해안포병연대 / 72nd Coastal Artillery Regiment 제79분견대 (함대 구조) / 79th Detachment (Fleet Rescue) 제155독립근위해군보병여단 / 155th Independent Guards Naval Infantry Brigade 제165수상함여단 / 165th Surface Ship Brigade 제186독립해군공병대대 / 186th Independent Naval Engineering Battalion 제474독립전자전센터 / 474th Independent Electronic Warfare Center 제515독립정찰함사단 / 515th Independent Reconnaissance Ship Division 제7062항공기지 / 7062nd Aviation Base 지원함분견대 / Detachment of Support Vessels 태평양함대 수로 서비스 / Hydrographic Service of the Pacific Fleet * 제30구조함분견대 / 30th Rescue Vessel Detachment * 제32지원함분견대 / 32nd Support Vessel Detachment * 제40독립해군보병여단 / 40th Independent Naval Infantry Brigade * 제84지원함여단 / 84th Support Vessel Brigade * 제114해안방어함여단 / 114th Coastal Defense Ship Brigade 제66소형미사일함분대 / 66th Small Missile Ship Division 제117해안방어함분대 / 114th Coastal Defense Ship Division * 제155근위해군보병여단 / 155th Guards Naval Infantry Brigade * 제175독립해군대잠헬리콥터대대 / 175th Independent Naval Anti-Submarine Helicopter Squadron * 제216독립전자전연대 / 216th Independent Electronic Warfare Regiment * 제317독립혼합항공연대 / 317th Independent Mixed Aviation Regiment * 제520독립해안미사일포병여단 / 520th Independent Coastal Missile Artillery Brigade * 제1532대공미사일연대 / 1532nd Anti-Aircraft Missile Regiment * 잠수함군 / Submarine Forces 제15잠수함사단 / 15th Submarine Division 제25잠수함사단 / 25th Submarine Division == 태평양 함대의 총 전력[* [[http://en.wikipedia.org/wiki/Pacific_Fleet_(Russia)|Pacific Fleet (Russia)]]] == === [[수상함]]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Soviet_Pacific_Fleet_1990.jpg|width=600]] |||||||||||| 태평양 함대의 수상함 || ||번호|| 종류 || 이름 || 급 || 취역연도/기타 || ||011 ||[[순양함]] ||바랴그[* [[바이킹]]이란 뜻으로 [[러일전쟁]] 제물포해전 당시 압도적인 열세에서 분전했으나 침몰한 순양함 이름을 승계] ||[[슬라바급]] ||[[1983년]] || ||543 ||[[구축함]] ||마숄 샤포쉬니코프 ||[[우달로이급]] I ||[[1985년]] || ||564 ||[[구축함]] ||어드미랄 트리부트 ||[[우달로이급]] I ||[[1985년]] || ||572 ||[[구축함]] ||어드미랄 븨노그라도프 ||[[우달로이급]] I ||[[1988년]] || ||548 ||[[구축함]] ||어드미랄 판첼레예프 ||[[우달로이급]] I ||[[1991년]] || ||333 ||[[초계함]] ||소베르쉔니 ||[[스테레구시급]] ||[[2013년]] || ||335 ||[[초계함]] ||그롬키 ||[[스테레구시급]] ||[[2015년]] || ||339 ||[[초계함]] ||알더 츠시덴하포브 ||[[스테레구시급]] ||[[2017년]] || ||343 ||[[초계함]] ||데즈키 ||[[스테레구시급]] ||[[2023년]] || ||337 ||[[초계함]] ||그리먀시 ||[[그리먀시급]] ||[[2020년]] || || ||[[초계함]] || ||[[그리샤급]] ||4척 || || ||[[초계함]], [[미사일 고속정]] || ||[[타란툴급]] ||11척 || === [[상륙함]] === |||||||||||| 태평양 함대의 상륙함 || || 번호 || 종류|| 이름 || 급 || 취역연도/기타 || ||081 ||[[전차상륙함|LST]] ||니콜라이 빌코프 ||[[앨리게이터급]][* [[http://en.wikipedia.org/wiki/Alligator-class_landing_ship]]] ||[[1974년]] || ||066 ||[[전차상륙함|LST]] ||오슬랴뱌 ||[[로푸카급]] I[* [[http://en.wikipedia.org/wiki/Ropucha-class_landing_ship]]] ||[[1981년]] || ||055 ||[[전차상륙함|LST]] ||BDK-98 ||[[로푸카급]] I ||[[1982년]] || ||077 ||[[전차상륙함|LST]] ||Peresvet ||[[로푸카급]] II ||[[1991년]] || === [[잠수함]] === |||||||||||| 태평양 함대의 잠수함 || || 번호 || 종류|| 이름 || 급 || 취역연도/기타 || ||K-550||[[SSBN]] ||알렉산드르 넵스키 ||[[보레이급]] 955A III ||2013 || ||K-551||[[SSBN]] ||블라디미르 모노마흐 ||[[보레이급]] 955A III ||2014 || ||K-552||[[SSBN]] ||예언자 올렉 ||[[보레이급]] 955A III ||2022 || ||K-553||[[SSBN]] ||리시무스 수보로프 ||[[보레이급]] 955A III ||2022 || ||K-433 ||[[SSN]] [* SSN으로 개조] ||랴잔 ||[[델타급]]III ||1982 || ||K-150 ||[[SSGN]] ||톰스크 ||[[오스카급]] II ||1991 || ||K-456 ||[[SSGN]] ||빌류친스크/트베르 ||[[오스카급]] II ||1991 || ||K-442 ||[[SSGN]] ||첼랴빈스크 ||[[오스카급]] II ||1990 || ||K-132 ||[[SSGN]] ||이르쿠츠크 ||[[오스카급]] II ||1988 || ||K-186 ||[[SSGN]] ||옴스크 ||[[오스카급]] II ||1993 || ||K-573 ||[[SSGN]] ||노보시비르스크 ||[[야센급]] II ||2021 || ||K-331 ||[[SSN]] ||마가단 ||[[아쿨라급]] I(Akula I) ||1990 || ||K-419 ||[[SSN]] ||쿠즈바스 ||[[아쿨라급]] I(Akula I) ||1992 || ||K-295 ||[[SSN]] ||사마라 ||[[아쿨라급]] II(Akula II) ||1995 || ||B-394 ||[[SSK]] ||누르라트 ||[[킬로급]] ||1990|| ||B-464 ||[[SSK]] ||우스티캄차츠크 ||[[킬로급]] ||1990 || ||B-494 ||[[SSK]] ||우스키볼셰레스크 ||[[킬로급]] ||1990 || ||B-187 ||[[SSK]] ||캄싸몰스크 나 달리녜 ||[[킬로급]] ||1991 || ||B-190 ||[[SSK]] ||크라스노카멘스크 ||[[킬로급]] ||1993 || ||B-274 ||[[SSK]] ||페트로파블롭스크 캄차스카 ||[[킬로급]] ||2019 || ||B-603 ||[[SSK]] ||볼코프 ||[[킬로급]] ||2020 || ||B-602 ||[[SSK]] ||마가단 ||[[킬로급]] ||2021 || ||B-588 ||[[SSK]] ||우파 ||[[킬로급]] ||2022 || == 관련 문서 == * [[러일전쟁]] * [[러시아 해군 vs 해상자위대]] * [[러시아 해군 vs 중국 해군]] * [[해군력]] * [[해군력/잠수함]] * [[해군력/재래식 잠수함]] * [[해상 병기/현대전]] [[분류:러시아 해군]][[분류:함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