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러시아 관련 문서)] ||<-3> '''{{{+1 {{{#ffc224,#db9e00 러시아 국가근위대}}}}}}[br]{{{#ffc224,#db9e00 Федеральная служба войск национальной[br]гварди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br]{{{#ffc224,#db9e00 National Guard of the Russian Federation}}}''' || ||<-2> [[파일:러시아 국가근위대기.svg|width=100%]] || [[파일:러시아 국가근위대 엠블럼.svg|width=100%]] || ||<-2> {{{#ffc224,#db9e00 '''깃발'''}}} || {{{#ffc224,#db9e00 '''엠블럼'''}}} || || '''창설일''' ||<-2><(> [[2016년]] [[3월 27일]],,([age(2016-03-27)]주년),, || || '''국가''' ||<-2><(>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 '''소속''' ||<-2><(> 러시아 보안평의회 || ||<-1> '''규모''' ||<-2>340,000명 || ||<-1> '''총사령관''' ||<-2>[[빅토르 졸로토프]] 대장 || || '''참전''' ||<-2><(> 북캅카스 대테러전[br][[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 '''링크''' ||<-2>[[https://youtube.com/@Rosgvardofficia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https://t.me/Rosgvardofficial|[[파일:텔레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 대통령]] 직속의 [[준군사조직]]이다. 미국과 비교하면 주방위군과 SWAT(경찰특공대)를 합친 것이라 볼 수 있는데, 신분은 군인이 대테러 경찰 업무도 하는 것에 더 가깝다. == 역사 == 국가근위대의 전신인 러시아 내무군은 [[러시아 혁명]] 당시에 구성된 [[소련]]의 '전러시아중앙집행기구'에서 찾을 수 있다. 이들 준군사조직은 [[비밀경찰]] [[체카]]와 함께 치안 유지와 반혁명 세력 색출의 역할을 주도했다. 이후 소련은 체카와 경찰기구를 통합한 OGP를 거쳐 [[대숙청]]으로 유명한 [[NKVD|내무인민위원부]](NKVD)를 설립하게 된다. [[독소전쟁]] 당시에도 NKVD는 산하에 [[특수부대]] [[스메르시]]와 여러 NKVD 전투사단들 같은 [[후방]]에서의 내부 안정과 반역자 색출을 위한 방첩부대를 운용했고, 이들은 놀기만 한게 아니라 실제로 [[레닌그라드 포위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등에서 여러 군공을 세우기도 한 바 있다. [[1946년]], NKVD의 [[권력]]은 순수 [[방첩기관]]인 국가보안위원회([[KGB]])와 [[치안]] 유지를 위한 [[경찰기관]]인 내무부(MVD)로 나누어지게 된다.[* NKVD의 수장이었던 [[라브렌티 베리야]]는 정신을 못 차리고 [[1953년]]에 MVD와 KGB의 전신 조직인 국가안전부(MGB)를 다시 합치는 권력강화를 꾀하다 [[게오르기 말렌코프]]와 소련 [[군부]]에 의해 [[숙청]]당한다.] 이때 내무군은 KGB 산하에서 [[현대]]와 비슷한 소련 내무군의 체계를 갖추게 된다. [[소련 해체]] 이후는 러시아 내무부 산하로 들어가게 된다. [[2016년]] [[4월 5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내무군을 내무부 산하에서 대통령실 직속으로 옮기고 명칭도 '''러시아 국가근위대(Национальная Гвардия России)'''로 변경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했고, 법안이 [[국가두마]]에서 통과되면서 창설되었다. 당시 내무군 [[사령관]]이었던 빅토르 졸로토프 대장이 그대로 국가근위대 국장에 취임함과 동시에 그에게 러시아 [[국가안전보장회의]] 위원 자격이 부여되었다. 과거의 내무군 사령관은 내무부 산하였던 만큼 제1차관급 지위가 부여되었던 것에 비해 국가근위대 국장은 장관급이다. == 업무 == 국가근위대의 임무는 사회 치안 유지, 주요 [[국가]] 시설 및 재산 방호, [[영토]] 방어, [[국경]] 수비, 대테러 [[작전]] 등 국가 내부의 적을 상대하는 데 치중되어 있고 [[러시아 경찰]]이 감당할 수 없는 대형 [[범죄]]나 비상사태가 발생하면 출동한다. 엄밀히는 [[러시아군]]에 소속되어 있지 않은 독립된 [[조직]]이지만, 국경 분쟁이나 [[외국]] 침략 등 유사시에는 비슷한 [[준군사조직]]인 [[국경경비대]][* 내무군이 국가근위대로 격상되면서 내무부에서 독립하게 된 것과 달리 국경경비대는 연방보안국([[FSB]]) 산하이다.] 등과 함께 러시아 [[국방부]]의 지휘를 받는다. 인원 충원 역시 [[러시아군]]으로 입대하는 징집병들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일단 준군사조직이라 그런지 현장전투도 한다. 특히 [[체첸]] 등에서 [[게릴라]]들과의 전투경험이 많고, 러시아 영내에서 벌어진 [[제1차 체첸 전쟁|1]], [[제2차 체첸 전쟁|2차 체첸 전쟁]] 및 각종 대테러 작전에도 거의 빠짐없이 참여하였으며, 현재도 준동하고 있는 [[체첸]] 분리독립주의 [[테러리스트]]들을 색출하고 소탕하는 임무의 상당 부분은 내무군이 맡고 있다.[* 러시아는 [[체첸 전쟁]]을 국내 소요 사태로 규정하여 내무군을 다수 투입했다.] == 병과 == 국가근위대는 경찰 업무도 일부 분담하고 있는데 주로 국가 중요 시설 경비, 집회 통제, 대테러 활동과 같은 임무이다. 그렇기 때문에 [[러시아 국가경찰]]에는 [[대테러부대]]가 따로 없고, 해당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국가근위대 예하에 OMOH(Отряд милиции особого назначения, OMON)과 СОБР(Специальный Отряд Быстрого Реагирования, SOBR)이라는 2종류의 병과가 있다. === OMON === || [[파일:1280px-OMON_soldiers_in_Red_Square,_Moscow.jpg|width=100%]] || [[파일:1280px-Internal_Troops_of_the_Ministry_for_Internal_Affairs_(Russia)_(494-4).jpg|width=100%]] || 한국으로 치면 [[경찰기동대]]에 해당한다. [[https://60.xn--b1aew.xn--p1ai/gumvd/structure/otdely/oon|2014년 기준으로 140개 부대에서 4만 명이 복무하고 있으며]] 주로 경비 업무나 집회 통제에 투입된다. || [[파일:Moscow_OMON_SPM-1_vehicle_during_antiriot_training.jpg|width=100%]] || [[파일:OMON_Zubr_SPM-2_vehicle.jpg|width=100%]] || ||<-2> 대테러훈련 || SOBR이 당장 달려올 수 없을 때는 [[SWAT]] 역할도 수행하며 대테러훈련도 받는다. 화기와 장구류를 준비하고 있어서 여차하면 바로 총 들고 현장에 투입할 수 있다. 러시아가 워낙 거대한 나라다보니 SOBR이 맡을 수 있는 지역이 한정되어 있어 더 수가 많은 OMON이 중요도가 떨어지는 사건은 직접 처리한다. === SOBR === || [[파일:Interpolitex2015part1-25.jpg|width=600]] || [[경찰특공대]]에 해당하는 병과이다. 조직 범죄에 대항하기 위하여 창설되어 현재는 [[대테러부대]] 임무를 수행하는 특수부대로 국가근위대의 [[스페츠나츠]]라고 불린다. OMON이나 국가근위대 내의 다른 곳에서 복무하고 있던 장병들을 영입하여 다시 훈련시켜 소수 정예로 운용한다. == 조직 == 인원 수는 [[https://ria.ru/defense_safety/20170203/1487134178.html|34만 명]]으로 국가근위대로 개편되면서 세계적으로 유례 없는 거대한 [[준군사조직]]이 되었다. 국가근위대와 그나마 비슷한 존재인 [[국가 헌병대]] 중에서 제일 인원이 많은 [[이탈리아]] [[이탈리아 국가 헌병대|카라비니에리]]의 장병 수가 11만 명인 것과 비교하면 정말 엄청나지만[* 비슷한 역할을 하는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와 비교하면 이쪽이 160만으로 더 많긴 하다. 다만 두 나라의 인구 차이를 비교 해 보면 국가근위대 쪽이 훨씬 거대하다.] 러시아의 거대한 [[영토]]에 비하면 그리 많다고 하기 힘들다.[* 국가근위대 부대를 1만 단위로 나눠 러시아 전역에 고르게 주둔시키면, 각 부대간 거리가 '''얼추 [[서울]]-[[부산]] 거리보다 더 멀다.'''] 지역사령부는 동부, [[시베리아]], 우랄관구, 북서관구, 프리볼줴관구, 북캅카스관구, 중앙관구 등으로 [[편제]]되어있고, 별도로 일종의 신속대응부대 역할을 하는 독립작전사단(ODON)을 두고 있다.[* 일명 [[제르진스키]] 사단으로 불리며, 이 중 제2연대가 [[1945년]] [[6월 24일]] [[독소전쟁|대조국전쟁]] 전승 퍼레이드에서 노획한 [[독일 국방군|독일군]]의 깃발을 [[블라디미르 레닌|레닌]] 묘에 던진 것으로 유명하다. 매년 [[5월 9일]] 러시아 전승 퍼레이드에서는 이들이 국가근위대를 대표하여 참가한다.] [[https://en.wikipedia.org/wiki/National_Guard_of_Russia#Organization_and_leadership|편제]] * [[베르쿠트(러시아)|베르쿠트]](Беркут)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2014년 크림 위기]] 당시 러시아 [[내무장관]]이었던 블라디미르 콜로콜체프(Vladimir Kolokoltsev)가 [[크림 반도]]를 방문하여 현지의 베르쿠트 대원들을 위로하면서 러시아 내무군에서 복무할 경우 우크라이나 정부 소속일 때보다 더 나은 대우를 해주겠다고 약속했고, 이에 크림 반도에 있던 모든 대원들이 러시아에 충성을 맹세하면서 현재 크림에는 OMON 병력이 추가 배치되지 않고 기존의 베르쿠트가 OMON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 [[제141특수차량화연대]] == 장비 == [[파일:Moscow_OMON_Lavina-Uragan_riot_control_vehicle.jpg]] 집회 통제 시 OMON이 사용하는 [[물대포]]. 러시아 국가근위대는 독자적인 [[장갑차]], 보병전투차와 같은 [[기갑]] 전력에 '''공격헬기'''와 수송기 등 항공 전력까지 각 전력이 상당하다. 보병화기는 [[정규군]]과 거의 같다. 차량의 경우 [[UAZ-469]], [[우랄-4320]], [[GAZ 티그르]], [[BRDM-2]], [[BTR-80|BTR-80, R-149]], [[BMP-2]] 정도를 운용하고 있고 추후 [[전차]]까진 필요 없겠지만 '''혹시 모르니''' 포병 전력을 배치시킬 예정이다.[* [[https://www.dw.com/ru/%D1%80%D0%BE%D1%81%D0%B3%D0%B2%D0%B0%D1%80%D0%B4%D0%B8%D0%B8-%D0%B3%D0%BE%D0%B4-%D0%B5%D0%B5-%D0%BF%D0%BE%D0%BB%D0%BD%D0%BE%D0%BC%D0%BE%D1%87%D0%B8%D1%8F-%D0%B4%D0%BE%D1%81%D1%82%D0%B8%D0%B6%D0%B5%D0%BD%D0%B8%D1%8F-%D0%B8-%D1%81%D0%BA%D0%B0%D0%BD%D0%B4%D0%B0%D0%BB%D1%8B/a-38290610]]] [[파일:external/s46.radikal.ru/d6912601bd83.jpg]] 여타 다른 러시아 [[특수부대]]들처럼 서방권 총기를 보유 중인데 적성 무기 테스트용으로 도입한 것이다. 그리고 [[러시아군]]과는 독립되어 있는 만큼, [[서방]] 등 외국제 무기나 러시아군에서 [[예산]]이나 성능 문제 등으로 제식 채용되지 못한 무기들도 꽤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FSB 산하 알파 그룹을 비롯해 각종 특수부대들과 더불어 이오텍, ACOG 등 서방제 광학장비와 레일을 내무군에서 많이 쓰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독자적인 [[스페츠나츠]](특수부대)도 보유하고 있는데 대부분 대테러부대이고 [[카자크]]족 부대와 체첸인으로 구성된 [[보스토크#s-4]] 부대 등 [[외인부대]] 성격의 부대도 있다. 베레모의 색은 전통적으로 붉은 색. 그리고 넓은 러시아 곳곳에 퍼져있는만큼 부대의 임무특성과 소요제기에 따라 [[전투복]]의 위장무늬가 다른데, [[영국]]의 DPM 위장복을 카피한 러시안 DPM, 독일의 플렉탄 위장복을 카피한 이즐롬 패턴 전투복을 사용하는 부대도 있으며, [[나치 독일]]의 [[무장친위대]]가 사용했던 위장무늬에서 영향을 받은 '파르티잔'이라는 위장무늬도 사용한다. [[파일:sobr.jpg|width=600]] [[2018년]] 훈련 중인 국가근위대 소속 SOBR 대원. [[PKP 페체네그|PKP]] 기관총에 [[데스 머신]] 급탄장치를 달았다. == 등장 [[매체]] == [[다이 하드: 굿 데이 투 다이]]에서 악당들의 [[테러]]로 타간스키 [[법원]]을 지키고 있던 OMON 대원들이 박살난다. [[Beats of Rage]]로 제작된 러시아 [[사회]] 풍자판 베어너클 팬게임 Street of Russia에서는 닌자 캐릭터들의 도트를 개조한 적종류로 OMON이 등장한다. [[수리검]] 및 [[일본]]도 대신에 곤봉을 들고있고, 닌자복이 방석복으로 바뀐것을 빼면 동작은 똑같다.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에서는 [[인도]]까지 진출해 주인공들과 교전을 벌인다 내무군이 [[세계 대전]]에 참전해 [[대륙]] 전체를 들쑤시고 다니는데 일단은 틀린 묘사로 [[러시아군]]이 대신 출연했어야 옳다. == 관련 [[문서]] == * [[헌병군]] * [[내무군]] * [[러시아 경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내무군, version=62, paragraph=2)] [[분류:러시아 국가근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