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영국 관련 문서)] [include(틀:영미권의 교육 및 유학)] [목차] == 개요 == 영국의 고등교육기관 협력체. 1994년 18개의 대규모 종합대학교의 부총장들과 학장들이 러셀 호텔에 모여 만남을 갖고 학문적 방향과 연대에 대해 논의하던 것에서 출발하였다. 첫 모임 장소이자 주된 만남의 장이었던 러셀 호텔에서 이름을 가져와 러셀 클럽이라고 명명되었다. 1994년 영국에는 두 개의 그룹이 형성되었는데, 대학 정원이 대규모인 전통적인 대학교라고 불리웠던 대학들의 연합인 러셀 그룹과 소규모 정원의 대학교로 소위 붉은 벽돌 클럽이라고 불리웠던 [[1994그룹|1994 클럽]]이 있었다. 소속 클럽이 다르다고 연대를 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기 때문에, LSE나 워릭 대학교처럼 처음부터 두 클럽에 모두 속해있던 대학들도 있었고 1994 클럽에서 펀딩과 학부 확대를 통해 러셀 클럽으로 이동한 대학들도 적지 않다. 구 1994 대학들은 현재의 러셀 그룹을 발전시키는데 큰 영향을 주었으며 러셀 그룹은 이로서 올드 스쿨과 뉴 스쿨이 함께하는 다양성이 공존하는 연대가 되었다. == 소속 대학 명단 == [include(틀:러셀 그룹 소속대학)] || 잉글랜드 소재 대학교 : 20개교 || || 스코틀랜드 소재 대학교 : 2개교 || || 웨일즈 소재 대학교 : 1개교 || || 북아일랜드 소재 대학교 : 1개교 || * University of Birmingham [[버밍엄 대학교]] * University of Bristol [[브리스톨 대학교]] * University of Cambridge [[케임브리지 대학교]] * Cardiff University [[카디프 대학교]] (웨일즈 소재) * Durham University [[더럼 대학교]] * University of Edinburgh [[에든버러 대학교]] (스코틀랜드 소재) * University of Exeter [[엑시터 대학교]] * University of Glasgow [[글래스고 대학교]] (스코틀랜드 소재) * Imperial College London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 King's College London [[킹스 칼리지 런던]] * University of Leeds [[리즈 대학교]] * University of Liverpool [[리버풀 대학교]] * London School of Economics [[런던 정치경제 대학교]] * University of Manchester [[맨체스터 대학교]] * Newcastle University [[뉴캐슬 대학교]] * University of Nottingham [[노팅엄 대학교]] * University of Oxford [[옥스퍼드 대학교]] * 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 [[퀸 메리 대학교]] * Queen's University Belfast [[퀸스 대학교 벨파스트]] (북아일랜드 소재) * University of Sheffield [[셰필드 대학교]] * University of Southampton [[사우스햄튼 대학교]] * University College London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 University of Warwick [[워릭 대학교]] * University of York [[요크 대학교(영국)|요크 대학교]] == 참고자료 == === 그룹 내 대학 순위([[Complete University Guide]]) === [[파일:RG Rank.png]] === 그룹 내 대학 입결순위 === [[파일:CUG 2020 Entry Standards.jpg]] '''러셀그룹 대학교 입결 평균 점수 ('20)''' 1 [[케임브리지 대학교]] 224 2 [[옥스퍼드 대학교]] 215 3 [[ICL]] 205 4 [[글래스고 대학교]] 196 5 [[더럼 대학교]] 194 =6 [[에든버러 대학교]] 189 =6 [[런던정경대]] 189 8 [[UCL]] 187 9 [[브리스톨 대학교]] 177 =10 [[엑시터 대학교]] 171 =10 [[킹스칼리지런던]] 171 =10 [[워릭 대학교]] 171 13 [[맨체스터 대학교]] 168 14 [[리즈 대학교]] 164 15 [[버밍엄 대학교]] 163 16 [[노팅엄 대학교]] 162 17 [[사우스햄튼 대학교]] 161 18 [[뉴캐슬 대학교]] 160 19 [[카디프 대학교]] 158 20 [[요크 대학교(영국)|요크 대학교]] 157 21 [[셰필드 대학교]] 157 22 [[퀸스 대학교 벨파스트]] 150 23 [[리버풀 대학교]] 145 24 [[퀸 메리 대학교]] 144 *스코틀랜드 대학(글래스고/에든버러)의 입결이 높은 이유에 대해 의아해 할 수 있다. 잉글랜드는 2015년 AS레벨의 optional 전환 이후 A레벨 3과목만 입결에 반영하는 반면, 스코틀랜드는 스코틀랜드의 Advanced Higher 가 잉글랜드의 A level 과 동일하게 취급되며, 대학과정이 4년으로 잉글랜드의 3년과 다르기에 입학결정 과정이 다소 다르다. 만약 스코틀랜드에서 고등학교 다닐경우 잉글랜드의 A level 보다 낮으나 GCSE 보다 높은 과정인 Higher 5과목을 통해 스코틀랜드 대학 1학년에 입학할 수 있다. 하지만 잉글랜드 학생이 A level 시험을 보고 스코틀랜드 대학에 갈경우 2학년으로 진학이 가능하다. 스코틀랜드 학생들은 학비가 무료이기에 굳이 2학년으로 가려고 하지 않으며 AH 시험을 보더라도 1학년으로 진학하는 경우가 많고 공부 잘하는 학생이 잉글랜드로 갈 이유가 거의 없기에 입학점수가 높은것이 당연하다. 그렇기때문에 잉글랜드 대학과 스코틀랜드 대학을 같은 라인에 놓고 단순히 비교하면 안되는것이며, 해외 유학생의 경우 어느곳으로 가든 똑같지만, A level 점수로 스코틀랜드 대학에 갈경우 2학년으로 시작할 수도 있다. **위 순위는 전체 평균값에다 해마다 변동이 심하기 때문에 위의 자료가 입시 난이도와 동치이거나 매해 절대적인 성적 순위는 아님을 주의하자 (특히 2020년 자료는 A레벨(수능)이 취소되어 점수 산출에 말이 많았다.). 예를 들어 같은 출처의 2019년 자료에서는 케임브릿지 226 임페리얼 219 옥스퍼드 217 Glasgow/LSE 200 더럼 197 UCL 191 였는데, 일반적으로 옥스퍼드 입시 난이도는 임페리얼보다, LSE는 더럼이나 UCL보다 반수 위로 쳐주지만 입결 성적은 매해 바뀐다. [물론 바뀌어도 같은 그룹에서 놀기는 한다.] 매년 순위는 상기 출처에서 찾을 수 있다. === 소속 대학별 사립학교 학생 비율 === [[파일:사립학교학생비율.jpg]] '''러셀그룹 대학별 사립학교 학생 비율(서튼 트러스트)''' Rank Russell Group University Privately Educated 2008 2018 1 Oxford 42% 42%[* 해외 유학생 수를 고려하면 사립 출신 진학생 수가 공립보다 많은 경우가 잦다] 2 Durham 37% 39% 3 Imperial College London 36% 38% 4 Cambridge 37% 37% 5 Bristol 35% 34% =5 Exeter 31% 34% 7 Edinburgh 34% 33% 8 London School of Economics 32% 31% 9 University College London 32% 30% 10 Warwick 22% 24% 11 Newcastle 25% 23% 12 King's College London 24% 22% 13 Leeds 20% 19% =13 Nottingham 20% 19% 15 Birmingham 18% 18% 16 York 18% 17% 17 Glasgow 15% 16% 18 Manchester 17% 15% =18 Cardiff 15% 15% 20 Southampton 13% Below 15% 21 Sheffield 12% Below 15% 22 Liverpool 12% Below 15% 23 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 10% Below 15% 24 Queen's, Belfast 2% Below 15% == 비판 == 영국 고등교육 정책 연구소(Higher Education Policy Institute)의 데이비드 왓슨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에 의하면 [[https://www.timeshighereducation.com/news/sir-david-watson-russell-group-is-not-all-its-cracked-up-to-be/2012364.article|러셀 그룹은 부분적으로 위험한 상태]]라고 언급하며 러셀 그룹 소속 대학들의 하위 50%는 실제로 학문적 성과가 다른 대학에 비하여 월등하지도 않고 대표성을 갖고 있지도 않다는 점을 지적했다. '''러셀 그룹이 과연 영국 내에서 엘리트들의 연대인가'''에 대한 논쟁은 과거에도 그리고 현재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그 중 2015년에 [[더럼 대학교]]의 비키 볼리버 교수가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러셀 그룹의 회원 대학들을 모두 엘리트라고 부르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비교적 오래된 대학교들의 마케팅 연대 모임이라고 부르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는 의견을 여러가지 지표들을 사용해 저널을 작성, 발표하였다. [[http://dro.dur.ac.uk/14978/|참조]] 매년 전세계 대학교들의 랭킹과 평가 지침을 발표하는 3대 기관 중 하나인 THE(The World University Rankings)의 편집자 크리스 하베그랄은 [[https://www.timeshighereducation.com/news/most-russell-group-universities-little-better-than-other-pre-92s|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러셀 그룹 소속대학들과 구 1994 그룹 회원들을 비교했을 때, 논문 인용도, 교수의 질, 연구 활동 및 펀딩에 대하여 그 차이가 크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그에 따르면 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 두 대학교와 여타 러셀그룹 회원 대학들과의 학문적 성과 차이가 러셀 그룹과 구 1994 회원이자 비 러셀 회원 대학들간의 차이보다 크며 현재의 러셀 그룹은 1994 그룹이 해체 수순을 밟을 때 러셀 그룹으로 영입된 대학들 (ex. [[엑시터 대학교]], [[더럼 대학교]], [[요크 대학교(영국)|요크 대학교]] 등)[* [[LSE]]와 [[워릭 대학교]]의 경우 처음부터 러셀과 1994 공동 회원이었으므로 제외한다.]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고 한다. 그의 주장에 신뢰를 더할 수 있는 것이 그가 언급한 구 1994, 현 러셀 그룹 대학 회원들은 현재 러셀 그룹에서 상위권이다. 그에 따르면, 소위 [[골든 트라이앵글(대학)]] 대학교들이라고 불리우는 [[옥스퍼드 대학교|옥스퍼드]], [[케임브리지 대학교|케임브리지]] + [[ICL]], [[LSE]], [[UCL]], [[KCL]] 6개교를 제외한 나머지 러셀 그룹 회원 대학들과 현재 구 [[1994 그룹]] 회원 중 러셀 클럽에 가입하지 않은 대학들 ([[바스 대학교]], [[세인트 앤드루스 대학교]], [[러프버러 대학교]] 등)을 비교하면 유의미한 학문적, 경제 사회적 지명도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영국 내의 평가와 지명도는 네셔널 리그 테이블을 매년 발표하는 3사([[Complete University Guide|Complete]], [[더 가디언|Guardian]], [[더 타임스|Times]])의 학문적 성과, 기업 평판, 사회적 인식 등 다각화된 조사 자료들에 의하여 증명된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영국 관련 문서)] * [[1994 그룹]] [[분류:러셀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