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羅興驛 / Rahŭng Station}}} ||<-3> {{{+2 '''라흥역'''}}}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라흥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Rahŭng || || [[한자]] ||<-2> 羅興 || || [[간체자]] ||<-2> 罗兴 || || [[일본어]] ||<-2> [ruby(羅, ruby=ラ)][ruby(興, ruby=フン)] || ||<-3> '''주소''' || ||<-3> [[함경남도]] [[리원군]] 라흥로동자구 || ||<-3> '''관리역 등급''' || ||<-3> 불명[br](함흥철도총국) || ||<-3> '''운영 기관''' || || [[평라선]] ||<-2><|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로고.svg|width=240px]]]] || || [[리원선]] || ||<-3> '''개업일''' || || [[함경선]] ||<-2> 1928년 9월 1일 || || [[리원선]] ||<-2> 1929년 9월 20일 || ||<-3> '''열차거리표''' || || [[평양역|{{{#585858 {{{#!html
평양 방면
}}}}}}]][[건자역|건 자]][br]← 3.8 ㎞ || '''[[평라선]]'''[br]라 흥 || [[라진역|{{{#585858 {{{#!html
라진 방면
}}}}}}]][[증산역(평라선)|증 산]][br] 3.3 ㎞ → || || [[리원철산역|{{{#585858 {{{#!html
리원철산 방면
}}}}}}]][[리원철산역|리원철산]][br]← 3.0 ㎞ || '''[[리원선]]'''[br]라 흥 || [[차호역|{{{#585858 {{{#!html
차호 방면
}}}}}}]][[증산역(평라선)|증 산]][br] 3.0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평라선]]의 철도역. [[함경남도]] [[리원군]] 라흥로동자구 소재. 원래는 조그마한 시골 마을이었는데 광복 직후에 광업, 기계공업 등이 발달하기 시작하면서 소도시로 바뀌고 결국 로동자구 단위까지 따낸 마을이다. 규석광산이 인근에 있는 관계로 인구가 늘기 시작했으며 철도공장과 철도침목공장이 이 근처에 있다. 원래는 차호읍(遮湖邑)에 소속되어 있던 마을. == 상세 == 이 일대 포항리라는 마을이 있었으며, [[건자역]] 인근에도 포항리가 있고 [[경북]] [[포항시]]와 모두 한자까지 똑같은 것으로 보아서 포항이라는 지명은 상당히 흔했던 지명인 모양이다. 남동쪽으로 약 3km 떨어진 지점에 불쑥 튀어나온 곶이 하나 있는데, 그 곶의 이름은 [[적벽]](赤壁). 또한 역 남동쪽 방향으로 인입선이 상당히 많이 나 있는데, 북한에서는 이를 라흥채석선으로 칭하는 모양이다. 실제로 남동쪽이 해안 방향이라고 해도 적벽 바로 위에 궁산(宮山, 높이 413m)이 있어서 채석을 이쪽에서 하는 모양. 다만 어찌 된 일인지 역 같은 시설이 없어서(아예 보이지가 않는다) 지선철도라고 해도 [[철도 노선 정보/북한|노선 정보]] 등에 등재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 [[대한민국]] [[온릉역]]의 전용지선인 온릉자갈선과 비슷한 듯. 라흥채석선도 일종의 전용지선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분류:평라선]][[분류:1928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북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