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라호나비스}}}[br]Rahonavis}}}''' || ||<-2> [[파일:external/img12.deviantart.net/rahonavis_by_paleoguy-d7gpder.jpg|width=100%]][* [[http://www.deviantart.com/art/Rahonavis-451320867|출처]]] || ||<#F93> '''학명''' || ''' ''Rahonavis ostromi'' '''[br]Forster ''et al''., 1998b || ||<-2><#F96> '''분류''' || ||<#FC6>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FC6>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FC6> {{{#000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FC6>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용반목]]^^Saurischia^^|| ||<#FC6> '''아목''' ||수각아목^^Theropoda^^|| ||<#FC6> [[생물 분류 단계#계통군|{{{#000 '''계통군'''}}}]] ||파라베스^^Paraves^^|| ||<#FC6>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라호나비스속^^''Rahonavis''^^'''||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 * †라호나비스 오스트로미(''R. ostromi'')^^{{{-1 [[모식종]]}}}^^|| [[파일:be129fda418986b5de5dd38c9c0597b4.jpg|width=500]] 복원도 [[파일:Rahona-ostromi-a-new-primitive-bird-from-the-Late-Cretaceous-of-Madagascar-A.png|width=500]] 골격도 [목차] [clearfix] == 개요 == [[백악기]] 후기 [[마다가스카르 섬]]에서 살았던 소형 [[수각류]] [[공룡]]. 속명인 라호나비스는 '구름 새'라는 뜻이다. 처음에는 [[말라가시어]]로 구름이라는 뜻의 라호나(''Rahona'')로 명명하려 했으나, 현존하는 [[나방]] 중에 이 속명을 이미 쓰고 있는 종류가 있어서 결국 라호나비스로 명명되었다. 종명은 고생물학자 존 오스트롬의 이름에서 유래. == 연구사 == [[아르카이옵테릭스]]를 제외하면 최초로 발견된 비행이 가능한 공룡으로, 날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긴 앞다리를 지녔다. 또 날아다닌다는 점을 감안하자면 나무를 타는 동작도 가능했을 것으로 보인다. 몸길이는 70cm에 몸무게는 1~2kg 정도의 작은 공룡이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해당 앞다리는 라호나비스의 앞다리가 아니라 같은 지역에서 발견되는 원시 [[새|조류]] 보로나(''Vorona'')의 앞다리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다만 보로나의 화석이 워낙 단편적이라 아직까지 크게 받아들여지고 있지는 않다. 또한 한때는 보로나와 라호나비스가 같은 종으로 혼동되기도 했으며 발견 초기에는 고생물학자들은 이 동물을 공룡이 아니라 조류의 일종으로 분류하기도 했다. 계통분류학상으로는 한동안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산하의 [[우넨라기아]]아과(Unenlagiinae)의 일원이라는 관점이 지배적이었으나, 2013년에 라호나비스가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보다는 [[예홀로르니스]]나 [[발라우르]] 등이 소속된 아비알라이(Avialae)에 더 가깝다고 주장하는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13080072_Avian_ancestors_a_review_of_the_phylogenetic_relationships_of_the_theropods_Unenlagiidae_Microraptoria_Anchiornis_and_Scansoriopterygidae|논문]]이 제출된 이후부터 이에 동조하는 논문과 그와 반대로 종래의 분류법에 동조하는 논문이 각각 발표되고 있어 계통분류학상의 정확한 위치는 관련 연구 추이를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 2020년의 논문에 의해 라호나비스는 오베로랍토르(''Overoraptor'')와 함께 더 이상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가 아니라고 분류되었다.[* Matías J. Motta; Federico L. Agnolín; Federico Brissón Egli; Fernando E. Novas (2020). "New theropod dinosaur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Patagonia sheds light on the paravian radiation in Gondwana". The Science of Nature. 107 (3): Article number 24.] == 대중 매체 == [[다큐멘터리]]에서는 2011년에 [[디스커버리 채널]]의 [[Dinosaur Revolution]]에 처음으로 등장. 극중에서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대로 나무를 타고 날아다니는 모습으로 나왔다. 작중 묘사로는 다른 동물의 울음소리를 흉내내려고 하며, 얼빠진 행동을 자주 한다.[* 스토리보드에서는 [[금조]]처럼 숲에서 나는 모든 소리들을 그대로 모방하며 이 것으로 자신을 추적하던 마준가사우루스 새끼 둘을 포식자 울음소리로 모방하여 쫓아낸다. --달빛에 빛춰져 그림자가 크게 나온 것도 있다.--] 안개 낀 숲 속 나무 위에서 온갖 소리를 흉내내다 [[지나가던]] [[라페토사우루스]]를 발견하고 날아가서 그 등에 착지한다. 이후 땅바닥에 착지해서 라페토사우루스가 먹다 흘린 열매 부스러기를 주워먹으려 드는데 그 순간 어미 [[마준가사우루스]]가 나타나 라페토사우루스를 습격한다.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지는 격으로 밟혀죽을 뻔한 걸 겨우 피했나 싶었는데 뒤이어 나타난 새끼 마준가사우루스 두 마리에게 쫒기다가 나무 위로 도망친다. 이때 마침 벨제부포의 울음소리가 들려오자 울음소리를 따라해 벨제부포들을 유인하고, 뭣도 모르고 이 광경을 지켜보고만 있던 새끼 마준가사우루스들은 곧 벨제부포들에게 잡아먹힌다(...). 이후 지나가던 라페토사우루스 무리 중 우두머리의 등에 착지하고 라페토사우루스의 울음소리를 따라하면서 함께 퇴장한다. --그 뒤 벨제부포 한 마리가 그대로 밟혀서 짜부가 되고 어미는 죽은 새끼들을 부르고 있다.-- [[파일:external/static1.wikia.nocookie.net/Rahon-1.3-1.jpg|width=600]] 같은 시기에 방영한 [[BBC]]의 [[Planet Dinosaur]]에도 출연. 하지만 극중에서의 비중은 엑스트라 수준으로 매우 낮고 그냥 시체를 쪼아먹다가 주인공급인 마준가사우루스 가족이 다가오자 피하는 정도로 나온다. 게다가 그래픽은 전 에피소드에 나온 [[시노르니토사우루스]]의 그래픽을 재활용하고 있다(...). [[분류:파라베스]][[분류:고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