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인 스태닉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탬파베이 레이스 1라운드 지명 선수)] ---- ||
'''라인 스태닉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휴스턴2022우승로고.png|height=70]][br]'''월드 시리즈 우승 반지''' || || '''[[2022년 월드 시리즈|{{{#ffffff 2022}}}]]''' || ---- ||<-5> '''[[탬파베이 레이스|{{{#ffffff 탬파베이 레이스}}}]] {{{#ffffff 등번호 59번}}}''' || || 저스틴 마크스[br](2017) || {{{+1 →}}} || '''{{{#092c5c 라인 스태닉[br](2017)}}}''' || {{{+1 →}}} || [[제프리 스프링스]][BR](2021~) || ||<-5> '''[[탬파베이 레이스|{{{#ffffff 탬파베이 레이스}}}]] {{{#ffffff 등번호 55번}}}''' || || [[애덤 콜라렉]][br](2017) || {{{+1 →}}} || '''{{{#092c5c 라인 스태닉[br](2018~2019)}}}''' || {{{+1 →}}} || [[DJ 존슨]][br](2021) || ||<-5> '''[[마이애미 말린스|{{{#00a3e0 마이애미 말린스}}}]] {{{#00a3e0 등번호 35번}}}''' || || [[데이비드 펠프스]][br](2016~2017) || {{{+1 →}}} || '''라인 스태닉[br](2019)''' || {{{+1 →}}} || [[리처드 블라이어]][br](2020~2022) || ||<-5> '''[[마이애미 말린스|{{{#00a3e0 마이애미 말린스}}}]] {{{#00a3e0 등번호 55번}}}''' || || [[존 버티]][br](2019) || {{{+1 →}}} || '''라인 스태닉[br](2020)''' || {{{+1 →}}} || [[앤서니 벤더]][br](2022) || ||<-5> '''[[휴스턴 애스트로스|{{{#fff 휴스턴 애스트로스}}}]] {{{#fff 등번호 45번}}}''' || || [[게릿 콜]][BR](2018~2019) || {{{+1 →}}} || '''라인 스태닉[br](2021~2023)''' || {{{+1 →}}} || 결번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애스트로스스타넥.jpg|width=100%]]}}} || ||<-2> '''{{{+2 라인 스태닉}}}[* 국내에서는 주로 '스타넥'이라고 불린다.][br]Ryne Stanek''' || || '''본명''' ||라인 토머스 스태닉[br]Ryne Thomas Stanek || ||<|2> '''출생''' ||[[1991년]] [[7월 26일]] ([age(1991-07-26)]세) || ||[[미주리|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블루 밸리 고등학교 - [[아칸소 대학교]] || || '''신체''' ||195cm / 103kg || || '''포지션''' ||[[중간계투]], [[오프너]][* [[탬파베이 레이스]] 시절에는 오프너로 자주 나왔다.]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2010년 드래프트]] 3라운드 (전체 99번, [[시애틀 매리너스|SEA]])--[br][[2013 MLB 신인드래프트|2013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29번, [[탬파베이 레이스|TB]]) || || '''소속팀''' ||'''[[탬파베이 레이스]] (2017~2019)''' [br] [[마이애미 말린스]] (2019~2020) [br] '''[[휴스턴 애스트로스]] (2021~2023)'''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국적의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캔자스]] 주 블루 밸리 고등학교 마지막 학년 때 무려 0점대 ERA를 기록하며 베이스볼 아메리카에서 전체 42순위 유망주로 언급할 정도로 드래프트에서 주목받는 선수로 떠올랐는데, 2010년 드래프트에서는 정작 3라운드 전체 99번으로 [[시애틀 매리너스]]가 지명했다. 하지만 유망주 순위 대비 지명 순위가 낮았던 탓인지[* 보통 이렇게 유망주 순위에 비해 지명 순위가 낮은 경우는 해당 선수가 인저리 프론이거나, 고졸 선수 한정 대학 진학 의지가 강할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다. 스태닉은 눈에 띄는 부상 이력이 없으므로 후자로 추정.] 시애틀과 계약하지 않고 [[아칸소 대학교]]로 진학해 3년간 22승 8패에 ERA 2.55를 기록하며 2013년 드래프트의 유력한 상위 지명 후보로 떠올랐으며, 결국 드래프트에서 1라운드 전체 29번으로 [[탬파베이 레이스]]에 지명되어 입단했다. === [[탬파베이 레이스]] === 2013년에는 엉덩이뼈 절구테두리 인대 부상으로 수술을 받으면서 등판하지 못했다. 2014년 다시 공을 잡은 스태닉은 싱글A에서 2점대 FIP를 기록했고, 2015년에는 하이싱글A에서 출발해 더블A까지 승격되었다. 2016년에는 트리플A까지 승격되었으며, 2017년에는 트리플A에서 핵심 불펜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자 5월 중순에 드디어 메이저로 콜업되었다. 5월 14일 [[보스턴 레드삭스]] 원정에서 구원 등판하며 데뷔전을 치렀고, 아웃카운트 하나를 잡고 홀드를 기록했다. 5월 하순에 8경기에 나와 6이닝 1실점 3홀드를 기록하며 순탄히 메이저에 적응하나 싶다가, 6월들어 흔들린 끝에 다시 트리플A로 내려갔다. 8월 초 잠시 콜업되었으나 두 경기만 치르고 다시 마이너로 갔고, 9월에 콜업된 후 평자를 끌어내리고 시즌을 마감했다. 최종 성적은 20이닝 ERA 5.85 FIP 5.96을 기록했다. K/9가 13을 찍을 정도로 탈삼진 능력은 좋았으나 제구가 불안하고 피장타율이 6할에 이를 정도로 높았던 점이 문제. HR/9도 2를 넘겼다. BABIP가 4할대를 찍었지만 운이 없다기에는 스태닉이 허용한 타구중 약한 타구의 비율이 고작 3.7%에 그쳤으니, 본인의 구위와 제구 문제가 더 크다고 여겨진다. 2018년에는 마이너에서 기대하던 모습이 나오면서 탬파의 강력한 불펜진의 일원으로 자리잡았다. 8월 17일까지 40경기 48.1이닝 1승 3패 6홀드 ERA 2.42 FIP 3.45를 기록중. K/9가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11.5를 기록하며 높은 수치를 유지중인 반면 BB/9는 절반 가까이, HR/9는 절반 이상 끌어내렸다. 지난 시즌에 비해 라인드라이브 타구 비율이 큰 폭으로 하락(2017년 22.2% → 2018년 14.7%)했고 반면 내야 뜬공은 크게 늘어났다.(2017년 4.3% → 2018년 15.8%) 지난시즌 3.7%에 그쳤던 약한 타구 비율도 21.1%까지 끌어올렸다. 지난시즌 8월부터 던지기 시작한 스플리터가 보다 강력해지며 강속구와의 시너지를 내고 있다. 한편 2018년의 스태닉은 [[서지오 로모]][* 오프너로 나온 횟수는 5번으로 스태닉에 비해 많이 적지만 '''2일 연속 선발등판'''의 임팩트가 워낙 강해서 불페닝의 상징이 되었다.]와 함께 '''탬파베이의 불페닝의 상징적인 선수'''로 자리잡고 있다. 등판한 40경기 중 오프너로 나온 경기가 무려 19경기(!)로 탬파 불펜진들중 압도적인 1위다. 2위 [[헌터 우드]]가 7경기, 3위 [[서지오 로모]]가 5경기를 오프너로 나선 것을 생각하면 어마어마한 기록. 그리고 로모의 2일 연속 선발 등판의 임팩트가 강해서 그렇지 스태닉도 오프너로 등판한 다음날 중간계투로 등판한 횟수만 네 차례에, 중간계투로 나오고 다음날 오프너로 등판한게 두 차례니까 이쪽도 만만치 않다. 그리고 9월 3일과 4일 [[토론토 블루제이스]] 원정에서 스태닉도 이틀 연속 선발등판을 기록했다. 올 시즌 오프너로 나올 때 성적이 불펜투수로 나올 때 성적보다 좋다. 피홈런만 조금 늘어날 뿐 ERA, WHIP, 볼삼비 등등 전부 오프너로 나올때 더 좋은 스탯을 찍는 중. 8월과 9월 들어 4점대 ERA를 찍으면서 평자 2점대가 잠시 무너지기도 했지만, 9월 30일 토론토전에서 오프너로 나와 2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2점대 평자로 복귀한 채 시즌을 마무리했다. 2019년에도 변함없는 [[오프너]]로 활약했다. === [[마이애미 말린스]] === 7월 31일 트레이드 마감시한에 맞춰 [[닉 앤더슨]]과 그가 포함된 2:2 트레이드로 [[마이애미 말린스]]로 이적했다. 문제는 말린스 이적 이후 팀 사정 상 필승조로 기용되고 있는데 24이닝 28피안타 7피홈런 25실점 ERA 8.25 18볼넷 24삼진 WHIP 1.92으로 최악의 스탯을 찍어주고 있다. 애초에 필승조로 쓰기에는 부적합해서 [[오프너]]로 기용한 것 인데 자꾸 필승조로 쓰니 팬들은 답답할 노릇. === [[휴스턴 애스트로스]] === 2021 시즌을 앞두고 [[휴스턴 애스트로스]]와 1년 110만 달러의 계약을 맺었다. 그리고 2022 시즌, 59경기 등판해 54⅔이닝 2승 1패 ERA 1.15 62삼진 31볼넷 피안타율 .188 WHIP 1.23의 훌륭한 성적으로 팀의 106승에 이바지했다. 1.15의 ERA는 프랜차이즈 불펜 기록이다. 2023 시즌에는 지난 두 시즌에 비해 다소 떨어진 성적을 기록했다.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ynestanekoverlay.gif|width=100%]]}}} || || 97마일(156km/h) 패스트볼과 90마일(145km/h) 슬라이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aneksplitter.gif|width=100%]]}}} || || 89마일(143km/h)을 기록한 스플리터 || 전형적인 우완 파이어볼러로, 포심 패스트볼의 평균 구속은 98.3마일, 최고 구속은 101마일이다. 마이너 시절에는 패스트볼-슬라이더 투피치 투수였으나 2017년 8월 콜업된 이후 스플리터를 장착한 모습을 보여줬다. 슬라이더는 89~90마일정도의 구속을 기록하며, 마이너 시절에는 종슬라이더를 주로 구사했는데 메이저에서는 슬라이더의 좌우 변화 폭이 커졌다.[* [[파일:stanekslider1.gif|width=450]] [br] 위에 나온 오버레이 움짤의 슬라이더 궤적과 비교해보면, 마이너 시절 슬라이더에 비해 메이저에서의 슬라이더의 좌우 변화 폭이 큼을 알 수 있다. 마이너 시절 슬라이더는 거의 슬러브나 파워커브에 가까운 궤적을 보일 정도.] 2018년에는 기존에 가지고 있던 빠른 구속의 패스트볼 뿐만 아니라 슬라이더와 스플리터 모두 좋은 완성도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스플리터는 2018시즌 스태닉의 결정구라고 해도 좋을 정도의 위력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제구가 아쉽고, 구속에 비해 구위가 좋다고 보긴 힘든 타입이다. 결정적으로 멘탈이 그리 좋은 편이 아니라 주자가 있는 상황에서는 종종 털리기에 [[오프너]]나 셋업맨으로 주로 쓰이고 [[마무리 투수]]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 수상 내역 == * [[월드 시리즈]] 우승 ([[2022년 월드 시리즈|2022]]) == 연도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라인 스태닉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17 ||<|2> [[탬파베이 레이스|TB]] || 21 || 0 || 0 || 0 || 4 || 20 || 5.85 || 26 || 6 || 12 || 0 || 29 || 1.900 || 73 || -0.4 || -0.2 || || 2018 || 59 || 2 || 3 || 0 || 10 || 66⅓ || 2.98 || 45 || 8 || 27 || 1 || 81 || 1.085 || 138 || 1.2 || 1.2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19 || [[탬파베이 레이스|TB]]/[[마이애미 말린스|MIA]] || 63 || 0 || 4 || 1 || 7 || 77 || 3.97 || 61 || 11 || 39 || 0 || 89 || 1.299 || 111 || 0.7 || 0.4 || || 2020 || [[마이애미 말린스|MIA]] || 9 || 0 || 0 || 0 || 0 || 10 || 7.20 || 11 || 3 || 8 || 0 || 11 || 1.900 || 65 || -0.2 || -0.1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1 ||<|3> [[휴스턴 애스트로스|HOU]] || 72 || 3 || 5 || 2 || 21 || 68⅓ || 3.42 || 46 || 8 || 37 || 5 || 83 || 1.215 || 126 || 0.4 || 0.5 || || 2022 || 59 || 2 || 1 || 1 || 17 || 54⅔ || 1.15 || 36 || 2 || 31 || 0 || 62 || 1.226 || 336 || 0.9 || 2.2 || || 2023 || 55 || 3 || 1 || 0 || 3 || 50⅔ || 4.09 || 42 || 8 || 21 || 1 || 51 || 1.243 || 103 || 0.1 || 0.3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7시즌) || 338 || 10 || 14 || 4 || 62 || 347 || 3.45 || 267 || 46 || 175 || 7 || 406 || 1.274 || 122 || 2.7 || 4.3 || == 여담 == * 이름 라인(Ryne)은 [[시카고 컵스]]의 전설적인 2루수 [[라인 샌드버그]]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라 한다. 작명자는 스태닉의 아버지. SPOTV 등 일부 매체에서 영미권 이름인 라이언(Ryan, Ryon, Lyon 등)과 헷갈리는 경우가 있는데 엄연히 다른 이름이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1년 출생]][[분류:2017년 데뷔]][[분류:세인트루이스 출신 인물]][[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탬파베이 레이스/은퇴, 이적]][[분류:마이애미 말린스/은퇴, 이적]][[분류:휴스턴 애스트로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