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차 세계대전 및 냉전기에 존재했던 영국 전함 계획, rd1=라이온급 전함)] [Include(틀:1차 세계대전/영국 함선)] [include(틀:해상병기/영국 드레드노트급 전함의 계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MS_Lion_%28Lion-class_battlecruiser%29.jpg|width=100%]] || || {{{#white '''Lion-class battlecruiser'''}}} || [목차] == 개요 == 라이온급 순양전함은 영국 해군이 1차 대전 이전에 건조한 2척의 [[순양전함]]으로 이전의 [[인디패티거블급 순양전함]]에 비해서 속력, 화력, 장갑을 포함한 모든 면에서 향상되었다. 이러한 개선은 독일 해군의 [[몰트케급 순양전함]]을 의식한 것으로 몰트케급은 기존에 영국이 보유한 인빈시블급 순양전함보다 더 강력하고 더 거대했다. 2척 모두 1920년대에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에 의해서 스크랩처리되었다. == 제원 == [[파일:Lion_class_battleship_-_Jane's_Fighting_Ships,_1919_-_Project_Gutenberg_etext_24797.png ]] ||<-3> {{{#fff {{{+1 '''라이온급 순양전함'''}}}[br]''Lion-class battlecruiser''}}} || ||<-2> '''이전급''' ||[[인디패티거블급 순양전함|인디패티거블급]] || ||<-2><|3> '''다음급''' ||[[퀸 메리급 순양전함|퀸 메리급]](일반적으로) || ||[[타이거급 순양전함|타이거급]][* 퀸 메리를 본 함급의 개수된 3번함으로 볼 경우] || ||[[리나운급 순양전함|리나운급]][* 타이거까지 본 함급에 포함시킬 경우] || ||<-2> '''기준배수량[* 표준배수량이라는 말은 각국의 차이에 따라서 전혀 뜻이 다름]''' ||26,690톤 || ||<-2> '''전장''' ||213.4m || ||<-2> '''전폭''' ||27.0m || ||<-2> '''흘수''' ||9.9m || ||<-2> '''승조원''' ||680 ~ 840명 || ||<-2> '''최고 속력''' ||27.5노트 (약50.9km/h) || ||<-2> '''항속거리''' ||10노트 (약 19km/h) 순항 시 10,390km || ||<-2> '''출력''' ||70,000마력 || ||<|3> '''동력''' ||<|2> '''기관''' ||예로우 증기보일러 42기 || ||파슨스 직결식 증기터빈 2기 || || '''추진''' ||4축 [[프로펠러]] || ||<|3> '''무장''' || '''주포''' ||BL 13.5인치 Mark V 2연장포 4문 || || '''부포''' ||BL 4인치 (102mm) Mk VII 단장포 16문 || || '''어뢰[* 주력함은 어뢰로 대잠공격을 하지 않음]''' ||21인치(533mm) 어뢰발사관 2문 || ||<|6> '''장갑''' || '''측면''' ||4–9인치(102–229mm || || '''갑판''' ||2.5인치(64mm) || || '''장갑함교''' ||10인치(254mm) || || '''주포탑''' ||9인치(229mm) || || '''바벳[* 포곽은 케이스메이트 형식의 부포곽 같은 것을 말함. 주포탑 바벳은 그냥 바벳으로 부름]''' ||8–9인치(203–229mm) || || '''격벽''' ||4인치(102mm) || == 상세 == 독일의 1907~1908년 건함계획의 가속은 영국에게 상당한 부담이었지만 1908~1909년에 영국 해군은 단지 1척의 순양전함과 전함만을 계획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09~1910 건함 계획에서 영국은 3척의 전함과 순양전함을 건조할 수 있었고 해군성은 독일의 신형 전함에 대해서 질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서 보다 크고 강력한 군함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라이온급 순양전함은 독일의 신형 순양전함 몰트케급에 대해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를 위하여 속력, 장갑, 화력을 모두 향상시켰고 크기도 커져서 당시 존재하는 군함 중 가장 거대한 군함이 되었다. 대략적인 형태는 [[오리온급 전함]]의 설계에 영향을 받았고 주포 또한 오리온급에 사용된 13.5인치 주포를 사용했는데 이는 순양전함에 최초로 적용된 사례이다. 이러한 라이온급의 설계는 다른 순양전함들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HMS 퀸 메리]][* 이쪽은 라이온급의 3번함으로 분류하기도 하는 모양.], [[HMS 타이거]], 일본의 [[공고급 순양전함]]이 전부 라이온급의 영향을 받은 순양전함들이다. 만재배수량 3만톤에 달하는 거대한 함체에 슈퍼 드레드노트급 전함에 준하는 주포탑 일직선상 배치, 신형 13.5인치 주포 탑재, 27.5노트에 달하는 고속 등 기존의 순양전함을 월등히 능가한다는 인상을 주었기 때문에 '''Splendid Cat'''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많은 기대를 받았다. == 함선 목록 == * HMS 라이온 : 1912년 6월 4일에 취역하여 제1순양전함전대의[* 1913년 이전에는 제1순양함전대] 기함을 맡았다. [[헬리골란트 바이트 해전]], [[도거뱅크 해전]], [[유틀란트 해전]]등에 제1순양전함전대 지휘관 데이비드 비티제독의 기함으로 참전하였다. 이후 비티가 대함대(Grand Fleet)의 사령관으로 영전하자 그 후임자인 W.C 펙햄제독의 기함이 되었다. 이후 2차 헬리골란트 바이트 해전에 경순양함들을 지원하는 역할을 맡았으나 독일 해군과 직접 전투를 벌이지는 않았다. 이후 남은 전쟁기간동안 별 다른 활동은 없었으며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에 의해서 1924년에 77,000파운드에 매각되어 스크랩되었다. * HMS 프린세스 로열 : 1912년 11월 14일에 취역하여 제1순양전함전대에 배속되었다. [[헬리골란트 바이트 해전]], [[도거뱅크 해전]], [[유틀란트 해전]]등에 참전하였다. 종전 이후 1922년에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에 의해서 스크랩처리된다. == 실전 == 라이온급 전함 2척은 [[헬리골란트 바이트 해전]]에서 처음으로 실전에 투입되었다. 이후 [[도거뱅크 해전]], [[유틀란트 해전]]등에 참여했다. 1번함 라이온은 순양전함 전대의 지휘관 [[데이비드 비티]] 제독이 기함으로 사용했다. == 최후 == 1920년대에 2척 모두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에 의해서 해체당하게 된다. == 모형화 == * 1/350 * Iron Shipwrights * 1/700 * 콤브릭 [[분류:순양전함]][[분류:해상 병기/세계 대전]][[분류:1912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