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보험회사)] ||<-2> 기업개요 || ||<-2> [[파일:라이나생명 로고(Chubb).jpg|width=300]] || || 정식명칭 ||라이나생명보험 주식회사 || || 영문명칭 ||LINA Korea, a Chubb Company || || 설립일 ||2004년 1월 27일 || || 대표이사 ||[[조지은(기업인)|조지은]] || || 업종명 ||생명 보험업 || || 상장유무 ||비상장기업 || || 기업규모 ||대기업 || || 법인형태 ||외부감사법인 || ||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봉로 48 (청진동) || || 링크 ||[[http://www.lina.co.kr|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위스]] 보험회사 처브(Chubb)의 [[대한민국]] 법인. 60대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보험 상품을 주력으로 판매한다. == 역사 == 1987년 [[미국]] 라이나생명(Life Insurance Company of North America)이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을지로2가]] 내외빌딩 14층에 지사를 차려 [[대한민국]]에 진출했다. 1995년 보험업계 최초로 다이렉트 마케팅을 도입하고 1996년 보험업계 최초로 텔레마케팅 도입 후 외국계로서 처음으로 흑자를 기록했다. 2004년 현지법인으로 전환 후 2006년과 2008년에 국내 최초로 '무심사 보험'과 '치과 전문보험'을 처음 출시했다. 2022년 모기업 [[시그나]](Cigna) 그룹이 [[뉴질랜드]], [[대만]], [[인도네시아]], [[태국]], [[터키]], [[홍콩]] 등과 함께 [[처브라이프]](Chubblife)에 매각하여 합병이 예상된다. == 역대 수장 == * 라이나생명 한국지사장 * 크리스 아타나시아디스 (1987~1992) * 조나단 뉴튼 (1992~1997) * 이영호 (1997~2004) * 라이나생명 대표이사 * 이영호 (2004~2010) * 홍봉성(벤자민 홍) (2010~2020) * 조지은 (2020~ ) == 광고 == [youtube(91tnF6EE3SE)] 2006년부터 10년 동안 광고 모델로 배우 [[이순재]]를 썼는데[* 이순재는 2013년에 생명보험협회로부터 보험설계사 자격을 땄다.]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라는 대사가 유명했으나 해당 문구에 문제가 돼서 사용금지 처분을 받았다.[* 해당 대사는 2021년 이순재가 출연한 [[시청자미디어재단]]의 팩트체크 광고에서 "이젠 묻고 따져야 하지 않겠어요?"로 [[https://youtu.be/EszGAG4Mf7Q|오마주되었다]].] 그 조치 이후 온갖 모델이 나오는 광고를 [[종합편성채널]] 등 [[케이블방송]]에 심심하면 틀거나 평일 주간 [[지상파 방송]]에 지겹도록 가끔 틀어대며 광고 횟수로만 따지면 보험업계 1등이다.[* [[AIA생명]] 보험광고도 많이 나온 적이 있다.] 최근에는 노인 대상 보험 외에 암보험, 치과보험 등 일반인 대상 보험도 광고하는데 이순재, 송지헌 대신 김지영, 김원해, 박상원 등이 출연했었고 현재는 장성규, 차화연 등이 출연한다. 그리고 유튜브를 살펴보면 친근한 척, 정보 많이 주는 척을 많이한다. 그러나 이 회사의 광고를 살펴보면 심각한 문제점이 보이는데 옛날 광고들(00년대 후반~10년대 초중반)은 너무 공포물식으로 아예 있지도 않은 상황을 가정해 광고를 하는 데다 밤낮을 가리지 않고 뉴스채널을 비롯한 케이블TV 채널, 낮 시간 지상파 채널, 심지어 어린이채널까지 틀어대니 시청자들이 프로그램 도중 튀어나오는 보험광고에 심각한 불편을 느끼다 못해 혐오스러운 감정까지 든다. --[[혐오|아무리 해도 찾아볼려는 생각하지 말자.]]-- 특히 어린이채널에 이런 광고를 트는 것은 매우 부적절한 행위이고 절대로 있어서는 안 될 행위 임에도 강행한 것이다. 2021년부터의 광고들은 아예 노래까지 삽입해서 비현실적인 모습을 보여주거나, 일대기식으로 보여주면서 남일이 아니라는 등 [[PTSD]]를 심을 정도의 광고이거나, 또는 퀴즈쇼, 라디오 형식이나 드라마를 일부만 떼다 말도 안되는 예시를 포함하여 불펌식으로 광고하는 등 보기 불편한 수준의 광고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2000년대 후반 수준의 말도 안되는 공포물식 광고를 어느 채널이고 가림도 없이 밤낮 내내 다시 방영하는 것도 모자라 잠깐만 캠페인까지 불펌하는 등 기행을 펼치고 있다. 심지어 최근에는 보험 극 초기에 심했던 [[억지 감동|억지]] [[감성팔이]]식 광고를 등장시키거나 또는 일상을 [[공포 마케팅|공포성]]으로 보여주는 광고를 다시 부활시켜 매우 눈살을 찌푸리고 있고, 어느 채널이고 밤낮도 없이 24시간 내내 최소 한 채널이라도 나오게끔 틀어대서 TV 방송을 보던 사람들마저 불편과 거부감을 느낄 정도로 전혀 광고의 질이 나아질 생각을 안한다. --나아진 적도 거의없고, 하다하다 이 회사를 곧 먹을 예정인 처브라이프 광고가 더 낫다라고 생각될 정도이다.-- 그리고 [[https://www.youtube.com/watch?v=64AqD9ZeMKs|보험료 늦장 지급]]등의 문제가 [[AIA생명|옆동네 회사]]와 똑같아서 더더욱 가입전 주의가 반드시 필요하며 (주)이노리어 라는 이름으로 보험을 포장해 방송하기에 더더욱 시청시 주의가 필요하다. == 자회사 == * 라이나금융서비스 == 사회공헌활동 == 순익 3% 기부제를 운용중이며, 2018년 부터 2022년까지 500억원(매년 100억원 가량)을 사회공헌기금으로 출연하였다. 이는 대한민국에서 활동하는 모든 외국계 기업들 중 1위인 금액이며 유일한 100억원대 기부 금액이다, 70억을 출연하여 2위로 기록된 S-Oil과 30억원 가량의 큰 차이를 보였다.[[https://economist.co.kr/article/view/ecn202308040013|이코노미스트 데이터랩 보고]] * 라이나전성기재단: 구 시그나사회공헌재단 * 라이나 건강한 봉사단 [[분류:대한민국의 생명보험사]][[분류:2004년 기업]][[분류:인터넷 밈/한국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