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적판에서의 명칭이 라이거인 북두의 권 등장인물, rd1=켄시로)] ||<-2><#F60> '''{{{#FFF {{{+1 라이거}}}[br]Liger}}}''' || ||<-2>{{{#!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ligersandtigons.weebly.com/422239.jpg|width=100%]]}}}|| ||<#F93> '''학명''' || -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류|포유강]]^^Mammali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식육목]]^^Carnivor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고양이과]]^^Fel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표범속]]^^Panthera^^||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 || || [[품종|{{{#000 '''품종'''}}}]] ||'''라이거^^''Panthera leo'' × ''Panthera tigris''^^'''|| [목차] [clearfix] == 개요 == 기네스북에 등재된 현재 '''살아있는''' 세계에서 가장 큰 고양이과 동물로,[* 물론 가장 큰 고양이과 종은 아니다.] 암컷 [[호랑이]]와 수컷 [[사자]]의 [[잡종]]이다. 사자와 호랑이의 유연 관계가 매우 가깝기 때문에 라이거가 태어날 수 있다. [[말(동물)|말]]과 [[당나귀]]의 혼혈종인 [[노새]]와 비슷하며, 수컷과 대부분의 암컷은 [[불임|새끼를 가질 수가 없다]].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5551702|#]] 그러나 전부는 아니지만 암컷은 극소수가 교미가 가능하다. 암컷 라이거와 수컷 사자가 교배하면 '''라일라이거(Liliger)'''(라이거)가 태어나고 반대로 수컷 호랑이와 교배하면 '''타일라이거(Tiliger)'''([[타이곤]])가 나온다. 타이곤 또는 라이거와의 2차교배는 불가능. == 설명 == 호랑이와 사자의 중간 외모를 하고 있다. [[백호]]가 부모인 경우 흰색을 띈다. [[타이곤]]에 비해 온순해서 인기가 많다. 몸무게는 수컷이 평균 300kg으로 호랑이나 사자에 비해 월등히 크다.[* 반면 타이곤은 부모 개체인 호랑이/사자보다 더 작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작은 주제에 성질은 일반적인 사자나 호랑이보다도 더 공격적이다.] 일반적인 호랑이나 사자는 200kg 정도. 100kg 이상 차이가 나는데…. 차이가 헤비급 권투선수 1명분이다.[* [[타이곤]]은 오히려 사자나 호랑이보다 작아지는데 타이곤이 라이거에 비해 작은 이유는 성장촉진유전자가 사자는 수컷에 있고 호랑이는 암컷에 있기 때문이다. 성장억제유전자는 그 반대다.] 동물원에서는 좀처럼 라이거를 사파리에 방사하지 않는데 파워밸런스 때문이라고 한다. 체중 차이가 거의 1.5배 이상이니 웬만한 사자나 호랑이는 라이거를 이기기가 힘들다. 사실 라이거들은 [[짬타이거|비만율이 굉장히 높다고 한다.]] --파어흥-- 적당한 운동 없이, 또래의 라이거들과 함께 있지 않으면 제대로 놀지도 못 하기 때문에[* 어린 라이거들이 놀자고 달려드는 게 어린 호랑이나 사자들한테는 거의 성체 호랑이나 사자한테 들이받히는 충격이다.][* 아직 성체가 되기 이전인 라이거가 엄마 호랑이한테 놀아달라고 애교부리면서 달려드는데 어미 호랑이가 매우 버거워하는 영상도 있다. 사람으로 치면 키 170cm에 몸무게 60kg넘는 초등학생 고학년이 평범한 체구를 가진 엄마한테 앙탈부리는 것이랑 비교할 만 하다.] 그냥 매일 나오는 밥만 먹고 늘어지다보니 비만해진다. 비만하지 않은 라이거 중에 가장 큰 라이거는 가장 윗사진의 주인공인 미국에 있는 허큘리스라는 라이거로 몸무게 419kg에 몸 길이 3.3m라고 한다. 호랑이나 사자 항목에 나와 있듯이 사자나 호랑이들은 큰 종중에서도 아주 큰 개체가 300킬로그램 넘는데, 그런 개체를 우습게 능가하는 체구다. 이렇게 덩치가 큰 이유에 대해서는 연구가 더 필요하지만, 한 가지 밝혀진 사실은 성장 억제 [[호르몬]]이 없다는 점이다. 인간으로 치면 10대 초반 청소년기에 들어서서 자연에서라면 부모에게 독립해야하는 나이인 라이거가 어미인 호랑이보다 크다... 미국에서 찍힌 영상으로 보면 이제 성장기에 돌입한 라이거가 자기보다 작은 어미 호랑이에게 놀아달라고 달려들고 머리를 비비는 애교도 부리고 하는데 머리를 비비는게 아니라 들이 받는 걸로 보인다. 하지만 생존능력 측면에선 사자와 호랑이보다 불리하다는 이야기도 있다. 턱힘과 완력은 체급과 비례하여 사자나 호랑이보다 강하기 때문에 맹수들과의 '''단순 힘싸움에선 덩치가 큰만큼 유리하나''', 지나치게 머리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사실 라이거의 머리는 [[지방]]과 [[근육]]으로 이루어져 커보이는 것이다.] [[순발력]], [[민첩성]], [[지구력]]이 매우 떨어지고, 달리다 급격하게 방향을 선회하다가 넘어질 확률도 높다고 한다. 또한 몸집이 크고 색이 다르다는 것 만으로도 사냥감을 기습하기 힘들어 지기 때문에 사냥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그래서 '''야생에서의 생존율은 높지 않을 것 같다'''고 추정한다. 이는 [[검치호]]의 추정 멸종요인과 같다. 만약 이들에게 생식능력이 있고, 사자처럼 무리생활도 할 줄 알았다면 엄청난 맹수집단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i.dailymail.co.uk/article-2534297-1A14D3C700000578-601_634x481.jp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i.dailymail.co.uk/article-0-1A14D3D800000578-505_634x419.jpg|width=100%]]}}}|| ||<-2> 2014년 1월 6일 백사자와 백호의 교배가 성공하면서 세계최초 '''화이트 라이거'''가 탄생했다. 그것도 네 쌍둥이. ~~귀엽다~~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81&aid=0002389121|네이버기사]] [[http://www.dailymail.co.uk/news/article-2534297/A-roaring-success-worlds-white-ligers-Four-brothers-rarest-big-cats-planet.html|부모도 보고 싶다면 여기로]] == 국내 보유 현황 == 국내에선 에버랜드에서 사파리 월드에서 유일하게 보유했으나 마지막 개체인 크리스가 폐사하며 소멸하였다. 1989년에 국내 최초로 이종교배된 '대호', '야호', '용호' 가 태어나며 1990년에 라이거가 인기를 끌었다. 2000년 초반에 우리나라에선 10마리의 라이거를 보유하게 되었다. 특히 2001년에 중국 하얼빈 동물원에 5마리가 보내질 정도로 말이다. 그러나 이후 라이거의 인기가 급하락하여 점차 사람들의 관심에서 멀어지고, 개체 수도 급격히 줄어서 마지막 개체인 크리스가 상술했듯 폐사했고, 이제 라이거는 국내에서 볼 수 없게 되었다. == 대중매체 == * [[가정교사 히트맨 리본]]의 [[XANXUS]]의 박스병기인 [[리그레 템페스타 디 치엘리|베스타]] * [[북두의 권]] 해적판 중 하나인 북두권에서 주인공인 [[켄시로]] 이름을 라이거로 개명했다. 그 밖에 다른 해적판에선 켄시로가 타이거로 나오고 쟈키는 라이온으로 나오다가 이후에 켄시로가 라이거로 나오기도 했으며 , 또다른 해적판에선 켄시로는 타이거, 쟈키가 라이거로 나오기도 하는 등 해적판답게 엉망진창이다. * [[시시오 가이]]의 큰아버지 이름이 [[시시오 라이가]]. * [[후지무라 타이가]]의 할아버지 이름도 [[후지무라 라이가]]. 포효하는 표정이 비범하다. * [[조이드]]의 주인공 기체는 거의 다 라이거식이다. [[실드 라이거]], [[블레이드 라이거]], [[라이거 제로]], [[무라사메 라이거]], [[와일드 라이거]] 등. * [[겟타로보G]]에서 [[진 하야토]]가 담당하는 2호기의 이름이 [[겟타 라이거]]다. 그런데 외모와 성능을 아무리 봐도 어째서 라이거란 이름이 붙은 건지 도저히 알 수가 없다. * [[최강! 탑플레이트]]의 주인공 [[손태양]]의 팽이 이름이 블레이즈 라이거다. * [[알파 베스티어리]]에서 [[탄자니아]]의 아루샤 [[국립공원]]에 진출한 [[백호(동물)]] 비터의 새끼들로 2마리가 등장하나 아성체이며 작중에서의 비중은 미미하다. * [[스트리트 파이터 2]]의 [[사가트]]는 필살기들을 쓸 때 타이거 혹은 타이거 어퍼컷 이라고 외치는데 좋지 않은 음성 상태로 인해 당시 대부분의 유저들이 라이거, 라이거 어퍼컷 으로 알고 있었다. 발음상으로도 타이거 보다는 라이거 가 뭔가 더 있어보이고 혀에도 착착 감기는 요소도 있고... [[분류:표범속]][[분류:잡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