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external/pds26.egloos.com/e0339381_5172a208c09e1.jpg|width=100%]] || || '''{{{#white 이름}}}''' ||'''라쎄 린드 (Lasse Lindh)'''|| || '''{{{#white 본명}}}''' ||'''라르스 올라 린드 (Lars Ola Lindh)'''|| ||<|2> '''{{{#white 출생}}}''' ||'''[[1974년]] [[3월 27일]] ([age(1974-03-27)]세)'''|| ||'''[[스웨덴]] [[스코네 주|말뫼후스 주]] [[말뫼]]'''|| || '''{{{#white 국적}}}'''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8]]|| || '''{{{#white 직업}}}''' ||'''[[싱어송라이터]], ~~시나리오 작가~~'''|| || '''{{{#white 소속활동}}}''' ||'''Tribeca(트라이베카)'''|| || '''{{{#white 데뷔}}}''' ||'''1998년 1집 'Bra' '''|| || '''{{{#white 소속사}}}''' ||'''칠리뮤직코리아'''|| || '''{{{#white 링크}}}''' ||[[http://www.lasselindh.se/|공식사이트]] [[https://myspace.com/lasselindh|마이스페이스]] [[http://home.swipnet.se/tribeca/lasse.htm|솔로활동홈페이지]]|| [목차] == '''개요''' == 한국 드라마 OST의 영어 담당. 드라마OST나 광고음악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드라마 [[도깨비]] OST로 음원차트 1위를 달성하기도 하였다. [[스웨덴]] 출신이며, 2009년 가을부터 잠시 [[한국]] [[서울]]에 1년 동안 살았었는데, '[[신촌]] 자취생'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2019년 6월 1일 현대카드 언더스테이지에서 내한 공연이 확정되었다. == '''디스코그래피''' == === '''앨범''' === ||'''발매연도'''||'''아티스트'''||'''앨범명'''|| ||1998||Lasse Lindh||Bra|| ||2001||Lasse Lindh||You Wake Up At Sea Tac|| ||2001||Tribeca||Kate-97|| ||2004||Tribeca||Dragon Down|| ||2005||Lasse Lindh||Lasse Lindh|| ||2007||Lasse Lindh||When You Grow Old...Your Heart Dies|| ||2008||Lasse Lindh||Pool|| ||2011||Lasse Lindh||The Tiger With No Stripes|| ||2019||Lasse Lindh||Demons In A Locket|| === '''EP''' === ||'''발매연도'''||'''아티스트'''||'''앨범명'''|| ||1995||Chevy||I Think I´m Nervous|| ||2006||Lasse Lindh||Attica|| === '''싱글''' === ||'''발매연도'''||'''아티스트'''||'''앨범명'''|| ||2005||Lasse Lindh||Svenska Hjärtan|| ||2005||Lasse Lindh||Sommarens sista smak|| ||2011||Lasse Lindh||'할로, 서울(Hallå, Seoul)|| ||2012||Lasse Lindh, [[연진]]||Lasse Lindh&Yeongene|| === '''OST''' === ||'''발매연도'''||'''아티스트'''||'''앨범명'''||'''노래제목'''|| ||2006||Various Artists||[[소울메이트]] OST||C`mon Through[br]The Stuff|| ||2007||Various Artists||[[소울메이트]] Forever OST||River|| ||2012||Lasse Lindh||[[로맨스가 필요해]] 2012 OST Part 3||I Could Give You Love|| ||2014||Lasse Lindh||[[엔젤아이즈]] OST Part.1||Run To You|| ||2015||Lasse Lindh||[[풍선껌]] OST Part.1||Because I|| ||2016||Lasse Lindh||[[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도깨비]] OST Part.3||Hush|| ||2020||Lasse Lindh||[[반의반]] OST||Be your Moon|| == '''도서''' == '''라쎄 린드의 할로 서울''' - 어느 스웨덴 뮤지션의 한국 생활기 [[파일:external/www.vmspace.com/lasse01.jpg]] ||'''저자'''||라쎄 린드||'''역자'''||김지숙, 이제연|| [[서울]]에 사는 사람들이 인지하지 못하는 [[서울]]에 대해 쓴 책이라고 한다. 라쎄 린드를 매료시킨 것들은 [[한국]] 사람들이 무심코 지나치는 것들, 무심코 하는 일들 중에 있었고 그것들을 책에 담았다고 한다. 95%는 [[한국]]의 좋은 면에 대한 것, 5%는 그렇지 못했던 부분에 대한 것에 대해 서술했다.[[http://www.vmspace.com/2008_re/kor/sub_emagazine_view.asp?idx=11297|기사참고]] 책에는 음악과 함께 할 수 있게 미니 씨디가 포함되어있다. == 여담 == * 라쎄 린드는 [[시나리오 작가]]이기도 하다. [[스웨덴]]에 있는 드라마학교[* 1년에 2명꼴로 입학을 허가할 정도의 힘든 학교라고 한다]에서 4년간 공부했다고 한다. 그가 쓴 시나리오가 드라마로 만들어져 국영TV에 방영되기도 했다고 한다. * 라쎄 린드에게 영향을 끼진 그룹, 아티스트로는 [[큐어]], [[디페시 모드]]가 있으며 론 섹스미스와 그랜대디도 좋아한다고 한다. * 라쎄 린드가 참여한 OST 대부분은 남혜승 음악감독이 참여한 드라마이다. 드라마 [[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도깨비]] OST도 남혜승 음악감독이 대본을 읽고 OST에 쓸 ‘Hush’를 작곡했는데, 떠오른 가수가 라쎄 린드였다고 한다. 남 감독은 “린드의 슬픔을 강요하지 않는 쓸쓸한 음색이 필요했다”고 말했다. [[스웨덴]]으로 전화를 걸어 그는 인터넷 영상 통화로 린드에 드라마 내용을 설명했고, 린드는 가이드 음원 파일을 [[서울]]로 보냈으며 8마디씩, 여러 톤으로 달리 불러 드라마에 맞는 목소리 톤을 찾는 작업이 반복됐다고 한다. * 모친상 이후 음악을 쭉 놓고 있다가 현재의 아내를 만나 결혼하고 다시 안정을 찾고 음악작업을 재개하게 되었다고 최근 인터뷰에서 밝혔다. 신보 Demons In A Locket의 앨범표지는 화가인 아내의 작품이라고 한다. [[분류:스웨덴 남가수]][[분류:스웨덴의 싱어송라이터]][[분류:1974년 출생]][[분류:1998년 데뷔]][[분류:말뫼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