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8ff, #1862ff, #0681ff,#ff8000,#fff000, #fff606)" {{{#ffffff '''정식 음원'''}}}}}}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uScjZYirw4)]}}}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8ff, #1862ff, #0681ff,#ff8000,#fff000, #fff606)" {{{#ffffff '''무대 영상'''}}}}}}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soTAWWFLURs)]}}} || [목차] == 개요 == [[우원재]]의 [[SHOW ME THE MONEY 6]] 본선 곡이며, 같은 팀 프로듀서인 [[타이거 JK]]와 [[Bizzy|비지]], 마샬[* MRSHLL. [[필굿뮤직]] 소속이였던 R&B 가수이다.]이 피쳐링했다. [[Ja Mezz|자메즈]]의 Birthday라는 곡[* [[Dok2]]와 [[박재범]]이 피쳐링했다.]을 상대로 승리했다.--킹메이커-- == 가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8ff, #1862ff, #0681ff,#ff8000,#fff000, #fff606)" {{{+1 {{{#ffffff '''또 (Feat. [[타이거 JK|{{{#fff 타이거 JK}}}]], [[Bizzy|{{{#fff 비지}}}]], 마샬(MRSHLL))'''}}} }}} [br] {{{#ffffff '''[[우원재|{{{#ffffff 우원재}}}]]'''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8ff, #1862ff, #0681ff,#ff8000,#fff000, #fff606)" {{{#ffffff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 [ Chorus : MRSHLL ] 나를 사랑하는 법을 몰라 외로워진 걸까 혼자 내린 결론이 정답이 될 수는 없을까 소외된 모두를 내가 대신 할 수는 없을까 때가 되면 내 마음을 나눌 수 있을까 ---- [ Verse 1 : [[우원재|{{{#fff 우원재}}}]] ] 여보세요 나 그냥 있지 넌 왜 꼭 뭐가 있길 바래 나도 알어 너도 외롭지 아님 왜 이러겠니 꼭 이 밤에 불편함과 동질감 나 그 두 감정의 딱 정중간에 서 있지만 거짓말들만 주고받는 우리가 참 불쌍해 핑계 핑계 또 핑계 그게 우리가 우릴 수 있게 짙게 짙게 더 짙게 우리 빼곤 다 눈치 못 채게 쉽게 말해 다 쉽게 어차피 둘 다 책임 안 질 테니 밉게 말해봐 더 밉게 그래야 내가 더 착해질 테니 의젓하고 생각 깊은 보기와 다른 저 아이 빈 말 따위는 쉽사리 하지는 못하는 타입 나도 내가 되고 싶지만 나는 그런 사람 아니라 픽하고 쓰러진 나 따윈 버린 지 오래라서 더는 날 찾지 마 가짜와 가짜가 만나면 진짜가 둘이 되는 거지 각자와 각자가 사는 거면 철학이 뭐가 중요하단 거니 이 밤과 저 밤이 다른 거면 우린 왜 모여 사는 거니 이 도시의 별 없이 밝은 밤이 밝혀주는 건 도대체 뭐니 ---- [ Chorus : MRSHLL ] 나를 사랑하는 법을 몰라 외로워진 걸까 혼자 내린 결론이 정답이 될 수는 없을까 소외된 모두를 내가 대신 할 수는 없을까 때가 되면 내 마음을 나눌 수 있을까 ---- [ Verse 2 : [[타이거 JK|{{{#fff 타이거 JK}}}]] ] 나의 진실과 네 진실은 충돌해 비밀이 돼 내 눈물과 네 눈물은 저들 콘셉트에 이슬이 돼 봐봐 바꿔보고 싶었지만 씹혀 난 딱 틀니네 꼭 꼭꼭 꼭꼭 꼭 씹어 꼭 꼭꼭 꼭꼭 꼭 씹어 꼭 꼭꼭 꼭꼭 꼭 씹어 꼭 꼭꼭 꼭꼭 꼭 씹어 꼭 꼭꼭 꼭꼭 꼭 Ay ---- [ Verse 3 : [[Bizzy|{{{#fff Bizzy}}}]] ] 외로운 밤이 찾아오면은 너의 기분을 또또또 더럽게 또 괴롭게 만들어 네 행복을 또또또 가로막고 너는 계속 약봉지를 찾겠지만 네가 멈추지 않는 이상 음악은 멈추지 않는 단다 아직도 그 맘은 통화 중 뚜뚜뚜 진실이 엇갈리거나 통하든 뚜뚜뚜 마음 같지 않은 세상에게 전하든 혼심을 다했다면 절대 후회는 없거든 ---- [ Verse 4 : [[우원재|{{{#fff 우원재}}}]] ] 그래 형 나 형 말대로 여러 방해를 받고 그걸 피할 수 없단 거를 알면서도 오늘도 똑같은 밤을 맞어 그래서 똑같이 의존하고 그래서 똑같은 가살 썼고 그래서 똑같은 모잘 눌러쓰고 똑같이 눈을 깔어 나 피곤하지 피곤하지 피곤하지 피곤하지 피곤해 난 더 이상 필요 없고 싶고 저곳 멀리 숨어버릴래 난 멈춘 지 오래지만 저것들이 나를 바꿔 버린 게 거짓말이 거짓으로부터 왔단 생각이 틀렸단 걸 말해 난 바래 가짜와 가짜가 만나도 가짜가 둘이기를 각자와 각자가 살아도 철학이 꼭 중요하기를 이 밤과 저 밤이 달라도 우리는 정말 우리기를 이 도시의 별 없이 밝은 밤이 밝혀주는 게 이 밤이기를 ---- [ Outro : MRSHLL ] Life sure is complicated Everybody knows We've all been through tough times Time and time it gets overwhelming Where do we go from here Rise up and take a chance Break free of all your pain You're not alone You're not alone You're not alone You're not alone }}}}}}}}}''' || == 여담 == * 타이거 JK&비지 팀에서는 [[우원재]]와 [[블랙나인]]을 놓고 마이크 선택이 진행되었는데, 프로듀서들이 정한 비트가 우원재에게 좀 더 유리할 것으로 보였다. 블랙나인은 자신도 공황장애, 우울증을 앓고 있었으며 그동안 그런 이야기를 일부러 숨겨 왔으나, 우원재를 보고 생각이 바뀌어 이번에는 당당히 자신의 이야기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프로듀서들도 이건 실력의 문제가 아니고 취향의 차이라며 고민을 거듭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 다 올려 보내고 대신 저희가 떨어지면 안 돼요?"'''라는 JK의 자학은 덤. 그러나 무대에는 우원재가 올라가게 되었다. 경연 곡은 '''또.''' 희망적인 분위기의 랩도 할 수 있다는 걸 보여주면서, 시적인 가사와 특유의 몰입력이 가미된 준수한 무대를 보여주며 랜덤 싸이퍼와 음원 미션 때 받았던 혹평들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었다. 다만 1:1 대결 때부터 지적되어 온 기본적인 랩 스킬의 부족함 때문에 생기는 호흡 부족 및 부자연스러운 숨소리가 지적의 대상이 되었고, 랩이 아니라 연극을 하는 것 같았다는 평도 있는 등 전체적으로 호불호가 갈린다. 그리고 곡 전체의 진지한 분위기와 중반 이후 프로듀서들의 피쳐링 부분이 어울리지 않았다는 의견이 있다. 비지의 랩은 그나마 곡 분위기와 잘 어울렸지만, 타이거JK의 추임새나 관객 호응 유도 부분은 곡과 이질적이었다는 평이 많다. [* 그래도 막상 네티즌이 자체 제작한 타이거JK 제거(...) 버전을 들어보면 곡이 바뀔 때 분위기가 환기되는 느낌이 덜해져서 확실히 곡의 흐름이 애매하다. 이 때문에 타이거JK 파트가 없으면 우울함의 늪에서 빠져나올 수 없으므로 필요했다는 평도 있다.] --꼭 꼭꼭 꼭꼭 꼭 씹어--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SHOW ME THE MONEY 6/경과,version=614)] [[분류:우원재]][[분류:2017년 노래]][[분류:한국 힙합 노래]][[분류:SHOW ME THE MONEY/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