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nclude(틀:식물분류,이름=떡갈나무,영명=Daimyo oak,이명=-,학명=Quercus dentata,명명자=Thunb,명명연도=1874,문=속씨식물문(Angiosperms),강=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목=참나무목(Fagales),과=참나무과(Fagaceae),속=참나무속(Quercus),종=''떡갈나무(Q. dentata)")] [[파일:떡갈나무(Quercus dentata Thunb.).jpg|height=300px]] == 개요 == [[참나무]]의 일종으로, 한중일 동북아시아의 고유종이다. 서양의 일반적인 Oak[* [[미국]] [[오클랜드(미국)|오클랜드]]의 오크가 이 오크다. 또한 와인을 담는 나무통을 오크통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 오크도 Oak다. ~~이 [[오크]]가 아니다. 이 오크는 Orc다~~]와 구분하기 위해서 영어로 번역할 때는 Sweet Oak라 하기도 한다. 학명이 다른 데서 알 수 있듯이 종이 다르다. 주로 목재로 쓰인다. 참나무 중에서 잎이 눈에 띄게 크고 두꺼우며 한국과 일본에서는 잎의 방부제 성분 때문에 찹쌀떡을 떡갈나무 잎에 싸서 쪄먹기도 한다.[* 일본에서 [[단오]]날에 주로 먹는 찰떡인 '카시와[[모찌]]'의 '카시와'가 떡갈나무라는 뜻이다. 이걸 노려서 과거엔 떡갈나무 잎을 수출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떡갈'''나무란 이름이 붙었다. 서구권 설화 및 문학작품 등의 Oak가 이 나무로 의역되곤 하는데, 이는 [[오역]]으로 사실 종부터 서식가능한 기후까지 많이 다르다. 자세한 것은 [[참나무]] 또는 [[로부르참나무]] 문서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 꽃말은 공명정대, 강건. == 기원 == 전 세계적으로 보았을 때에 떡갈나무 화석류는 유럽이 최초(백악기 말)이다. 국내에서는 경상북도 포항 신생대 지층(3~4천만년 전 이후)에서 산출된다. == 상세 == 가랑잎나무, 갈참나무라고도 한다. 극동 러시아, 일본, 중국, 몽골, 한반도에서 보이며, 한반도에서는 [[경기도]]와 [[강원도]], [[황해도]]에 많은 편이다. 보통 높이 20 m, 지름 70 cm에 달한다. 800 m 이하 산지, 특히 바닷가 근처에서 잘 자라며 그루터기에 맹아성이 있어 산불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에 주로 서식하는 양수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거꾸로 된 달걀형의 잎은 10~30 cm로 참나무 종류 중 가장 큰 잎이 난다. 잎의 가장자리에 물결무늬가 있으며 뒷면엔 갈색의 털이 있다. 꽃은 5월에 피는데 양성화로, 수꽃 이삭은 누르스름한 녹색으로 아래로 처지고 수술 4-20개와 화피열편 5-11개가 있다.[*사진 [[파일:떡갈나무.jpg|width=150px]]] 암꽃 이삭은 달걀형인데 암술 2-4개와 화피열편 6개가 있다. 열매는 [[도토리]]로 10월쯤에 맺힌다. 도토리는 [[청설모]]와 [[다람쥐]], 바구미의 먹이가 되고, 사람들이 도토리묵을 만드는 원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나무에 상처가 났을 때 나오는 진은 [[장수풍뎅이]]와 [[사슴벌레]], [[장수말벌]], [[나비]] 등의 먹이가 되어주며[* 이 때문에 곤충 채집할 때 반드시 찾아야 하는 나무이기도 하다.] 나방 애벌레들이 잎을, 풍뎅이와 사슴벌레 그리고 [[꽃무지]]의 애벌레는 떡갈나무의 목재를 먹고 자라는 등 생태계에 큰 역할을 하기에 숲에선 없어선 안 될 존재이다. 다람쥐가 도토리를 땅에 숨겼다가 위치를 까먹는 바람에 그 도토리가 자라서 떡갈나무가 되는 일이 잦아 산을 가꿀 때 떡갈나무 묘목을 심는 일은 거의 없다. 또한 50년 이상 자라도 속이 썩는 일이 거의 없기도 하나 그루터기에서 움[* 나무 또는 풀에서 새로 돋아나는 싹.]이 자라나면 나이가 들면서 썩는 일이 발생할 수 있어서 그루터기를 낮고 미끈하게 잘라주고, 뿌리 근처에서 움이 나오도록 하면 새싹의 줄기에서 새 뿌리가 내리고 썩은 그루터기와 완전히 분리되므로 속이 썩는 일이 없이 잘 자란다. == 쓰임새 == 사람에게도 여러모로 유용한 나무이기도 한데, 나무가 단단한 편에 속해서 한국에서는 [[숯]]을 만들때 쓰고 목재를 [[표고버섯]]을 기르는 데 쓰기도 하며, '''굵고 단단한 [[몽둥이]]'''(...)를 만들 때도 쓰이는 듯하다. 나무껍질엔 [[탄닌]]이 많아 그것을 추출할 때 쓰이고, [[한의학]]에선 봄이나 여름에 벗겨나 말린 떡갈나무 껍질을 역수피라 부르는데 장기의 기운이 빠져나가지 않게 해주고, 기생충을 제거하고 눈물이 계속 흐르는 걸 막아준다고 한다. 이 역수피를 [[엿]]으로 만들어 먹기도 했다. 껍질만 떼어낸 뒤 물에 우려내면 물이 붉게 변하는데 이걸 [[그물]]에 칠하면 쉽게 썩지 않아서 과거에 어부들에겐 필수품이기도 했으며, 절굿공이와 수레를 만드는 데도 쓰였다. 잎엔 후라보노이드[* [[녹차]]와 [[홍차]]에도 있는 성분으로, 암 예방에 좋으며 동맥경화 예방과 혈액순환에 좋다. 다만 몸엔 적은 양만 흡수된다.]와 [[탄닌]], [[카페인]]이 들어있다. 잎을 물에 적셔서 냉장고에 넣으면 악취를 제거해주기도 한다. 떡갈나무는 열매로 [[도토리]]가 열리며 [[도토리묵]]을 만들거나, [[녹말]]을 추출해 내어 음식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떡갈나무의 열매는 동물이 쉽게 먹을 수 없도록 쓰고 떫은맛을 내는 [[탄닌]]이 많아지는 쪽으로 진화하여 그대로 먹기가 힘들지만, 수용성이므로 도토리를 갈아서 물에 씻어내어 이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가을에 도토리가 떨어지는 시기에는 도토리를 주워가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는 엄연히 불법행위다. 하도 싹 쓸어가는 통에 야생동물이 먹을 것이 없어진다던가, 싹이 터야 할 도토리조차 남지 않더란 이야기가 있다. 참고로 [[원예]]쪽에서 이런 이름으로 파는 나무는 십중팔구 [[떡갈고무나무]]라는 나무로, 자세한 내용은 [[떡갈 고무나무]] 항목 참조. == 창작물에서 == 《[[앙신의 강림]]》에서 크로노스교의 상징이 떡갈나무 잎이다. 《[[마비노기]]》에서 나오는 스킬 중 하나인 [[실리엔 생태학]]을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아이템이 '벼락맞은 떡갈나무 지팡이'다. 하지만 나뭇잎이 하나도 없는데다 가끔 이상한 색깔로 상점에서 파는 경우도 있어서 진짜 떡갈나무인지는 알 수 없다. 1987년 KBS에서 방영된 《피노키오의 모험(일본 원제: 樫の木モック[[가시나무]] 모크)》에서 [[피노키오]]는 떡갈나무로 만들어졌다고 번역되어 나온다.[* 실제로 원작의 피노키오는 이탈리아 [[잣나무]]로 만든 인형이다.] 이 애니 주제가의 첫 부분이 "피노키오, 피노키오, 떡갈나무 피노키오~"였기 때문에 이 애니를 보고 자란 사람들은 피노키오가 떡갈나무로 만들어졌다고 대답한다 [[카더라]]. [[작은 하마 이야기]]에서 작은 [[하마]]가 올라가는 나무가 국내에서는 떡갈나무로 번역되었는데, 해당 만화가 미국 만화이므로 이는 오역이다. 제대로 번역하면 참나무 또는 대왕참나무가 되어야 한다. 그리스에서는 [[제우스]]를 상징하는 나무이기도 했으며 때문에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의 세일러 전사 중 [[목성]]을 수호성으로 가진 [[세일러 쥬피터]]의 기술 중에 오크 에볼루션(Oak Evolution)이 존재한다. [[분류:나무]][[분류:참나무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