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57년 출생]][[분류:저장성 출신 인물]][[분류:중국의 군인]][[분류:인민해방군 공군사령원]][[분류:중국공산당 19기 중앙위원회 위원]] [include(틀:중국 인민해방군 역대 공군사령원)] ||<-2>
{{{#ffff00 '''중국 인민해방군 제12대 공군사령원'''}}} [br] {{{+1 {{{#ffff00 '''딩라이항'''[br]丁来杭}}} }}}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00000013920144722747588366_s.jpg|width=100%]]}}} || || '''{{{#ffff00 이름}}}''' ||[[한문]]: 丁来杭 ([[한어병음|병음]]: Dīng lái háng)[br][[한국 한자음]]: 정래항 || || '''{{{#ffff00 국적}}}''' ||[[중국|[[파일:중국 국기.svg|width=28]] 중국]] || || '''{{{#ffff00 출생}}}''' ||[[1957년]] [[9월]] ([age(1957-09-01)]세)[br][[중국]] [[저장성]] [[항저우시]] || || '''{{{#ffff00 학력}}}''' ||{{{-1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공군]] 제9항공학교[br]공군 지휘학원}}} || || '''{{{#ffff00 정당}}}''' ||[include(틀:중국공산당)] || || '''{{{#ffff00 현직}}}''' ||{{{-1 - }}} || || '''{{{#ffff00 최종 계급}}}''' ||[[상장(계급)|상장]] {{{-2 (공군 상장)}}} || || '''{{{#ffff00 주요 이력}}}''' ||{{{-2 중국 인민해방군 입대^^?^^[br]공군지휘학원장[br][[선양군구]] 부사령원[br]중국 인민해방군 남부전구 부사령원^^16.06^^[br]북부전구 공군사령원[br]인민해방군 공군사령원^^(17. 08. ~ )^^}}} || [clearfix] [목차] == 개요 == 딩라이항(丁来杭)은 [[중국]]의 [[군인]]이다. 한자는 한국 한자로 丁來杭이라 적는다. 한국 독음은 정래항이다. 제12대 [[인민해방군 공군|중화인민공화국 인민해방군 공군]]의 [[공군참모총장|공군사령원]]을 지냈다. == 생애 == 1957년 9월, [[저장성]] [[항저우]]에서 태어났다. 공군항공병 제24사단의 71단 부단장, 단장과 부사단장을 지냈다. 공군북부 훈련기지기지사령원도 지냈다. 2001년에 공군 제8군 참모장에 취임했고, 2003년 공군 푸저우지휘소 사령원을 지냈다. 그 해에 소장으로 진급했다. 2007년 공군지휘학원장을 지냈고, 2008년 12월에 청두군구 공군참모장으로 영전했다. 2012년에 [[선양군구]]의 부사령원 겸 선양군구 공군사령원에 올랐다. 2013년에는 중장으로 진급했다. 2016년 1월에 중국인민해방군 [[북부전구]] 부사령관 겸 북부전구 공군사령원에 올랐다. 2017년 8월에 11대 [[마샤오톈]]에 이어서 12대 중국인민해방군 공군 사령원에 올랐다. == 정치 == 2008년부터 [[전인대]] 11기에 [[인민해방군]]에 할당된 인원으로 들어갔다. 2013년에 12기, 2018년 13기, 2023년 14기에도 들어갔다. 어차피 [[거수기]]라 별 의미는 없다. 2023년에는 전인대 상무위원이 되어 화교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