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컴퓨터의 색상 처리 단위, rd1=RGB, anchor1=디지털에서의 색상 처리)] [[분류:명일방주/오퍼레이터/서포터]] ||<-4>
{{{#ffffff,#dddddd '''{{{+5 딥컬러}}}'''[br]Deepcolor[br]ディピカ[br]深海色}}} || ||<-2> [[파일:arknights_deepcl.png|width=100%]] ||<-2> [[파일:arknights_deepcl2.png|width=100%]] || ||<-2> 정예화 전 ||<-2> 2차 정예화 후 || || '''{{{#ffffff,#dddddd 포지션}}}''' || [[파일:arknights_support.png|width=80]][[파일:Summoner_Supporter_Big.png]][br]{{{#ffffff,#dddddd 서포터 - 소환사}}} || '''{{{#ffffff,#dddddd 진영}}}''' || [[에기르(명일방주)|[[파일:logo_egir.png|width=80]][br]{{{#ffffff,#dddddd 에기르}}}]] || || '''{{{#ffffff,#dddddd 등급}}}''' || ☆4 || '''{{{#ffffff,#dddddd 성별}}}''' || 女 || || '''{{{#ffffff,#dddddd 성우}}}'''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타이치 요우]][* [[스캐빈저(명일방주)|스캐빈저]]와 중복.][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새해]][* [[푸딩(명일방주)|푸딩]], [[프틸롭시스]]와 중복.][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제니 요코보리]][* [[레드(명일방주)|레드]]와 중복.][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米糊[* [[다그다(명일방주)|다그다]], [[버블(명일방주)|버블]], [[씬(명일방주)|씬]]과 중복.] || '''{{{#ffffff,#dddddd 일러스트}}}''' || [[명일방주/참여 일러스트레이터#REALMBW|REALMBW]] || ||<-4>
'''{{{#ffffff,#dddddd 기본정보}}}''' || ||<|2> '''{{{#ffffff,#dddddd 직업}}}''' ||<|2> 일러스트레이터 || || '''{{{#ffffff,#dddddd 특기}}}''' || 회화, 모형제작 || || '''{{{#ffffff,#dddddd 전투 경험}}}''' || 전투 경험 없음 || '''{{{#ffffff,#dddddd 출신지}}}''' || 미공개 || || '''{{{#ffffff,#dddddd 생일}}}''' || 6월 12일 || '''{{{#ffffff,#dddddd 종족}}}''' || 미공개 || || '''{{{#ffffff,#dddddd 신장}}}''' || 163cm || || || || '''{{{#ffffff,#dddddd 광석병 감염 상황}}}''' ||<-3> 의학 테스트 보고서 참고 결과, '''비감염자'''로 확인. || ||<-4>
'''{{{#ffffff,#dddddd 종합검진}}}''' || ||<|2> '''{{{#ffffff,#dddddd 물리적 강도}}}''' ||<|2> 보통 || || '''{{{#ffffff,#dddddd 전장 기동력}}}''' || 보통 || || '''{{{#ffffff,#dddddd 생체 인내도}}}''' || 보통 || '''{{{#ffffff,#dddddd 전술 계획력}}}''' || 표준 || || '''{{{#ffffff,#dddddd 전투 기술력}}}''' || 표준 || '''{{{#ffffff,#dddddd 오리지늄 아츠 적응성}}}''' || 우수 || ||
'''{{{#ffffff,#dddddd 프로필}}}''' || ||신원 불명, 이력 정보 부족. 오리지늄 아츠를 이용한 마법 지원, 전술 협동 등의 방면에서 뛰어난 전투력을 보인 바 있다. 현재 로도스 아일랜드의 특수작전팀에서 오퍼레이터로 활약하고 있다. || [목차] == 개요 == >请叫我“深海色”。我的职业是画家,对,只是一个“画家”哦。 >딥컬러라고 해. 그림을 그리고 있어. 그래, 그냥 '그림쟁이'지. >---- > - 획득 시 대사 중국의 [[모바일 게임]] [[명일방주]]의 캐릭터. 공개모집에서는 나오지 않고 헤드헌팅에서만 얻을 수 있다. == 설정 == ||
{{{#2e2e2e,#dddddd 웨이보 소개}}} || || [[https://h.bilibili.com/9986536|원문 링크]] ||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ibj&no=16200&page=218|비공식 번역]]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ibj&no=16202&page=218|식질]] || ||영감을 얻었을 때 딥컬러의 회화 속도는 일반 화가들의 몇 배나 빠르지만, 이것은 또한 그녀의 신비한 출신과 비밀스러운 능력과도 관계가 있다. 일상 생활에서의 딥컬러는 자료를 위한 외출과 틀어박혀 그림 그리는 데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곤 하지만, 그녀가 전장에 나선다면, 로도스 아일랜드의 적들은 자신들이 마주친 것이 단순한 화가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그림을 그려서 그것을 구현화 시킬수 있는 능력을 가졌지만, 모든걸 구현화 할 수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 성능 == === 능력치 === ||<-4>
기본 속성 || || 저지 가능 수 || 1 || 공격 속도 || 1.6초 || ||<|2> 배치 || 재배치 속도 || 배치 코스트 || 최종 배치 코스트 || || 70초 || 8 || 10 || || 속성 ||<-2> 초기 → 초기 MAX → 1차 정예화 MAX → 2차 정예화 MAX || 최대 신뢰도 || || 체력 ||<-2> 472 → 638 → 829 → 1050 || +300 || || 공격력 ||<-2> 181 → 259 → 346 → 403 || || || 방어력 ||<-2> 53 → 77 → 103 → 125 || || || 마법 저항력 ||<-2> 10 → 10 → 10 → 15 || || ||<-4> 특성 || ||<-4> 적에게 마법 대미지. 소환물 사용 가능. || ||<-5>
잠재능력 돌파 || || 2 || 3 || 4 || 5 || 6 || || 배치 코스트 -1 || 재배치 시간 -4초 || 공격 속도 +8 || 재배치 시간 -6초 || 배치 코스트 -1 || ||<-3>
공격 범위 || || 초기 공격 범위 || 1차 정예화 공격범위 || 2차 정예화 공격범위 || || [[파일:akn_lap_night1.png|width=100]] || [[파일:akn_lap_xia1.jpg|width=100]] || [[파일:akn_lap_xia1.jpg|width=100]] || ||<|2>
태그 || 원거리 || || 소환 || === 재능 === ||
기술 이름 || 잠금 해제 조건 || 설명 || || 촉수 소환[br](召唤触手) || 초기 || 전투를 지원하는 촉수를 2개 소환 || ||<-3> ↓ 1차 정예화 업그레이드 ↓ || || 촉수 소환[br](召唤触手) || 1차 정예화 || 전투를 지원하는 촉수를 3개 소환 || ||<-3> ↓ 2차 정예화 업그레이드 ↓ || || 촉수 소환[br](召唤触手) || 2차 정예화 || 전투를 지원하는 촉수를 4개 소환 || ||<-6> 촉수의 스탯 || || 딥컬러 정예화 단계 || 딥컬러 레벨 || 촉수 HP || 촉수 공격력 || 촉수 방어력 || 촉수 마법저항 || || 0 || 1 || 975 || 218 || 128 || 0 || || 0 || 45 || 1170 || 295 || 220 || 0 || || 1 || 1 || 1275 || 308 || 236 || 0 || || 1 || 60 || 1480 || 348 || 275 || 0 || || 2 || 1 || 1605 || 393 || 280 || 0 || || 2 || 70 || 2016 || 462 || 335 || 0 || ||<-2> 촉수의 기본 속성 || || 배치 인원 수 || 1 || || 저지 수 || 1 || || 공격 간격 || 1.25초 || || 재배치 시간 || 10초 || || 배치 코스트 || 5 || === 정예화 === ||<-5>
1차 정예화 || ||<-5> 최대 스탯 상승 배치 코스트 {{{#FF0000 2}}} 증가 신규 스킬 획득 : {{{#007FFF 트롱프뢰유}}}(视觉陷阱) 재능 강화 : {{{#007FFF 촉수 소환}}}(召唤触手) 공격 범위 확장 || ||<-5> 소모 재료 || ||<|2> [요구 레벨] 45 || [[파일:용문화.png]][br]용문폐 || [[파일:보조 칩.png]][br]서포터 칩 || [[파일:폴리에스테르.png]][br]폴리에스테르 || [[파일:장치.png]][br]장치 || || 15000 || 3 || 1 || 1 || ||<-5>
2차 정예화 || ||<-5> 최대 스탯 상승 재능 강화 : {{{#007FFF 촉수 소환}}}(召唤触手) || ||<-5> 소모 재료 || ||<|2> [요구 레벨] 60 || [[파일:용문화.png]][br]용문폐 || [[파일:보조 칩셋.png]][br]서포터 칩셋 || [[파일:고원암 더미.png]][br]원암 큐브 번들 || [[파일:망간.png]][br]망간 광석 || || 60000 || 5 || 20 || 9 || === 스킬 === ||<-5>
'''{{{+1 광암 촉수(光影之触)}}}''' || ||<-4> 자동 회복 || 수동 발동 || ||<-2> [[파일:skill_icon_skchr_deepcl1.png|width=100%]] ||<-3>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 || || 스킬 레벨 || 소모 SP || 배치 시 SP || 지속 시간 || 효과 || || 1 || 40 || 0 || 30 || 모든 촉수의 공격력 및 방어력 {{{#3366ff +15%}}}, 매 초마다 HP {{{#3366ff 30}}} 회복 || || 2 || 39 || 0 || 30 || 모든 촉수의 공격력 및 방어력 {{{#3366ff +20%}}}, 매 초마다 HP {{{#3366ff 30}}} 회복 || || 3 || 38 || 0 || 30 || 모든 촉수의 공격력 및 방어력 {{{#3366ff +25%}}}, 매 초마다 HP {{{#3366ff 30}}} 회복 || || 4 || 37 || 0 || 30 || 모든 촉수의 공격력 및 방어력 {{{#3366ff +30%}}}, 매 초마다 HP {{{#3366ff 40}}} 회복 || || 5 || 36 || 0 || 30 || 모든 촉수의 공격력 및 방어력 {{{#3366ff +35%}}}, 매 초마다 HP {{{#3366ff 40}}} 회복 || || 6 || 35 || 0 || 30 || 모든 촉수의 공격력 및 방어력 {{{#3366ff +40%}}}, 매 초마다 HP {{{#3366ff 40}}} 회복 || || 7 || 34 || 0 || 30 || 모든 촉수의 공격력 및 방어력 {{{#3366ff +45%}}}, 매 초마다 HP {{{#3366ff 50}}} 회복 || || 8 || 33 || 0 || 30 || 모든 촉수의 공격력 및 방어력 {{{#3366ff +50%}}}, 매 초마다 HP {{{#3366ff 55}}} 회복 || || 9 || 32 || 0 || 30 || 모든 촉수의 공격력 및 방어력 {{{#3366ff +55%}}}, 매 초마다 HP {{{#3366ff 60}}} 회복 || || 10 || 30 || 0 || 30 || 모든 촉수의 공격력 및 방어력 {{{#3366ff +60%}}}, 매 초마다 HP {{{#3366ff 70}}} 회복 || ||<-5>
'''{{{+1 트롱프뢰유(视觉陷阱)}}}''' || ||<-4> 자동 회복 || 수동 발동 || ||<-2> [[파일:skill_icon_skchr_deepcl2.png|width=100%]] ||<-3>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 || || 스킬 레벨 || 소모 SP || 배치 시 SP || 지속 시간 || 효과 || || 1 || 80 || 40 || 25 || 공격 범위 {{{#3366ff 확대}}}, 공격 범위 내 아군 유닛이 {{{#3366ff 25%}}}의 물리 회피율을 얻는다 || || 2 || 80 || 42 || 28 || 공격 범위 {{{#3366ff 확대}}}, 공격 범위 내 아군 유닛이 {{{#3366ff 25%}}}의 물리 회피율을 얻는다 || || 3 || 80 || 44 || 31 || 공격 범위 {{{#3366ff 확대}}}, 공격 범위 내 아군 유닛이 {{{#3366ff 25%}}}의 물리 회피율을 얻는다 || || 4 || 80 || 46 || 34 || 공격 범위 {{{#3366ff 확대}}}, 공격 범위 내 아군 유닛이 {{{#3366ff 30%}}}의 물리 회피율을 얻는다 || || 5 || 80 || 48 || 37 || 공격 범위 {{{#3366ff 확대}}}, 공격 범위 내 아군 유닛이 {{{#3366ff 30%}}}의 물리 회피율을 얻는다 || || 6 || 80 || 50 || 40 || 공격 범위 {{{#3366ff 확대}}}, 공격 범위 내 아군 유닛이 {{{#3366ff 30%}}}의 물리 회피율을 얻는다 || || 7 || 80 || 52 || 43 || 공격 범위 {{{#3366ff 확대}}}, 공격 범위 내 아군 유닛이 {{{#3366ff 35%}}}의 물리 회피율을 얻는다 || || 8 || 80 || 54 || 47 || 공격 범위 {{{#3366ff 확대}}}, 공격 범위 내 아군 유닛이 {{{#3366ff 40%}}}의 물리 회피율을 얻는다 || || 9 || 80 || 56 || 51 || 공격 범위 {{{#3366ff 확대}}}, 공격 범위 내 아군 유닛이 {{{#3366ff 45%}}}의 물리 회피율을 얻는다 || || 10 || 80 || 60 || 55 || 공격 범위 {{{#3366ff 확대}}}, 공격 범위 내 아군 유닛이 {{{#3366ff 50%}}}의 물리 회피율을 얻는다 || || 스킬 범위 || || 트롱프뢰유(视觉陷阱) || || [[파일:ark_skill_lap_deep.png|width=100]] || ||
{{{#!folding 스킬 업그레이드 재료 ▼ ||
업그레이드 레벨 ||<-3> 공통 || ||<|2> 1→2 ||<-3> [[파일:기술개요 1권.png]] || ||<-3> 2 || ||<|2> 2→3 ||<-3> [[파일:기술개요 1권.png]] [[파일:에스테르.png]] || ||<-3> 2, 4 || ||<|2> 3→4 ||<-3> [[파일:기술개요 2권.png]] [[파일:이철.png]] || ||<-3> 3, 2 || ||<|2> 4→5 ||<-3> [[파일:기술개요 2권.png]] [[파일:케톤 앰플.png]] || ||<-3> 3, 2 || ||<|2> 5→6 ||<-3> [[파일:기술개요 2권.png]] [[파일:이철 결정.png]] || ||<-3> 3, 2 || ||<|2> 6→7 ||<-3> [[파일:기술개요 3권.png]] [[파일:케톤 세트.png]] || ||<-3> 4, 3 || || 마스터리 || 광암 촉수 || 트롱프뢰유 || || ||<|2> 7→8 || [[파일:기술개요 3권.png]] [[파일:개량장치.png]] [[파일:이철 결정.png]] || [[파일:기술개요 3권.png]] [[파일:에틸렌바이마.png]] [[파일:케톤 세트.png]] || || || 2, 1, 2 || 2, 1, 4 || || ||<|2> 8→9 || [[파일:기술개요 3권.png]] [[파일:깁사이트.png]] [[파일:개량장치.png]] || [[파일:기술개요 3권.png]] [[파일:오수연마석.png]] [[파일:에틸렌바이마.png]] || || || 4, 2, 2 || 4, 2, 3 || || ||<|2> 9→10 || [[파일:기술개요 3권.png]] [[파일:D32강.png]] [[파일:설탕 박스.png]] || [[파일:기술개요 3권.png]] [[파일:바이폴라 나노칩.png]] [[파일:RMA70-24.png]] || || || 6, 2, 2 || 6, 2, 2 || || }}} || === 인프라 기능 === ||
기술 이름 || 잠금 해제 조건 || 효과 시설 || 설명 || || 오더 분배 α[br](订单分发·α) || 초기 || 무역소 || 무역소에 배치 시, 오더 수주 효율 {{{#007FFF +20%}}} || ||
기술 이름 || 잠금 해제 조건 || 효과 시설 || 설명 || || 집중 β[br](专注·β) || 1차 정예화 || 가공소 || 가공소에 배치 후 임의류 재료 가공 시, 부산물 산출 확률 {{{#007FFF +60%}}} || === 모듈 === ||<|11>
[[파일:uniequip_002_deepcl.png|width=100%]] || 모듈 유형/모듈명 || SUM-Y ||<-2> 수상한 팔레트[br](诡异的调色盘) || || Stage || 스탯 변화 ||<-2> 특성/재능 업데이트 || || 1 || 최대 HP +80[br]공격력 +20 ||<-2> 특성 추가 : 소환물 보유 상한 +3, 소환물 배치비용 감소 || || 2 || 최대 HP +100[br]공격력 +30 ||<-2> 전투를 지원하는 촉수를 4개 소환, 촉수의 최대 HP +10% || || 3 || 최대 HP +115[br]공격력 +35 ||<-2> 전투를 지원하는 촉수를 4개 소환, 촉수의 최대 HP +15% || ||<-2> 모듈 미션 ||<-2> 1. 전투 중 빌리지 않은 딥컬러의 소환물 누적 20회 소환. 2. 최대 1명의 유닛을 사용하여 2-4 3성 클리어 ; 반드시 빌리지 않은 딥컬러만 편성 가능. || ||<-2><|2> 개방 시 필요한 조건 ||<|2> 모든 모듈 미션 완료[br]2차 정예화 레벨 40 이상[br]신뢰도 100% 이상 || [[파일:모듈 데이터 블록.png]] [[파일:고원암 더미.png]] [[파일:용문화.png]] || || 1, 4, 20000 || ||<-2><|3> 업그레이드 시 필요한 조건 || Stage2 || Stage3 || || [[파일:모듈 데이터 블록.png]] [[파일:데이터 보충 조각.png]] [[파일:레조에틸렌.png]] [[파일:용문화.png]] || [[파일:모듈 데이터 블록.png]] [[파일:데이터 보충 기구.png]] [[파일:개조장치.png]] [[파일:용문화.png]] || || 1, 15, 5, 25000 || 1, 5, 6, 30000 || === 평가 === [[메이어(명일방주)|메이어]], [[마젤란(명일방주)|마젤란]]과 같은 계통의 4성 소환형 서포터. 2차 베타 당시에는 딥컬러의 촉수들이 배치 제한에 걸리지 않아서 혼자서 한 구역을 틀어막는 게 가능했지만 밸런스 패치로 촉수가 배치 제한에 걸리면서 채용률이 급락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000000 '''재능'''}}}}}}은 처음부터 활성화 되어 있으며 정예화에 따라 촉수를 2개부터 4개까지 보유한다. 다른 소환 서포터와는 달리 재능에 특수 능력 부여도 없다. 촉수의 스탯은 [[메이어(명일방주)|메이어]]의 미보와 비교했을 때 공격력이 조금 높지만 방어력이 낮다. 대부분의 소환물처럼 도트힐만 적용된다. 다른 소환형 오퍼레이터와 다르게 '''소환물 회수 능력이 전혀 없기 때문에''' 배치시 제공되는 촉수를 다 소모하면 딥컬러를 재배치해야 촉수를 얻을 수 있다. 소환물이 없는 소환 서포터는 단일 캐스터 3성 스튜어드보다 훨씬 약한 단일 마딜러가 되어 버리기 때문에 촉수 회수 불가는 상당히 치명적이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a793f;" {{{#ffffff '''1스킬'''}}}}}}은 지속시간 동안 소환물의 공격력과 방어력을 증가시키고 체력을 회복시킨다. 오로지 촉수에게만 버프를 주기 때문에 촉수가 없으면 스킬에 의미가 없다. 최종 스탯은 공 739, 방 536으로, 대략적으로 3성과 비교하자면 공격력은 가드 [[멜란사]], 방어력은 디펜더 [[비글(명일방주)|비글]]의 평상시 스탯과 비슷하다. 메딕의 힐은 받지 못하나 초당 70힐이 있고 1저지이므로 물리 피격에는 꽤 튼튼하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a793f;" {{{#ffffff '''2스킬'''}}}}}}은 소환물과 전혀 관계 없는 스킬로 딥컬러 자체 공격 범위를 늘려주고 공격범위 내의 모든 아군에게 물리 회피를 부여한다. 최대 55초에 달하는 지속시간동안 50%의 물리 회피율을 보다 넓어진 공격범위 내에 부여하지만 SP소모량이 높아 재사용이 어렵고 근거리 오퍼레이터의 생존률을 높히려면 회피를 주력으로 하는 오퍼레이터를 보조해 주는 것이 아닌 이상 메딕을 한명 더 배치하는 것이 차라리 낫기 때문에 실전성이 떨어진다. 2스킬을 그나마 쓸만한 곳을 찾자면, 디펜더도 한두방에 썰어버리는 강한 물리딜을 가진 근접유닛의 발을 묶을 때 스킬을 사용한 후 물리 회피를 지닌 오퍼레이터를 배치하여 저지하거나, 또는 50% 물리 회피를 이용하여 [[아(명일방주)|아]]의 3스킬을 이론상 어떤 오퍼에게도 부여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확률로써 작동하는 스킬이라는 점 때문에 실전에서는 어지간하면 [[샤이닝(명일방주)|샤이닝]]이나 [[니엔]]의 스킬로 대체되는 편이다. 결과적으로 딥컬러는 1스킬을 쓰든 2스킬을 쓰든 둘 다 방어적인 구성을 지녀 일반적인 빠른 전투 진행에는 큰 도움이 안 되기 때문에 H8-4와 같은 [[그라벨]]이나 [[제이(명일방주)|제이]]와 같은 재배치가 빠른 오퍼를 전부 쓰고도 모자랄만큼의 딜링을 커버해야 하는 경우가 아니고서야 고인물들도 잘 쓰지 않는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0f0;" {{{#ffffff '''인프라'''}}}}}}는 별로 특출나지 않은 편이기 때문에 인프라 스킬 때문에 일부러 키울 필요도 없다. ==== 통합전략 ==== [[통합전략]]에서는 딥컬러의 평가가 좋은 편이다. 처음부터 오퍼레이터를 마음대로 고를 수가 없고, 사용할 수 있는 오퍼레이터 수도 부족하며, 오퍼레이터를 모집할 자원인 희망도 부족한 통합전략의 극초반 특성상 소환물을 통해 어그로 분산과 적 저지를 동시에 수행하여 극초반 진행의 안정성을 높여주기 때문이다. 특히 딥컬러는 4성이라 모집에 2희망 밖에 소모하지 않고 1스킬을 통해 유지력까지 확보할 수 있다보니 잘 키운 딥컬러 하나면 3단계까지는 라이프 손실없이 진행이 가능하게 되어 통합전략에서만큼은 상당히 가성비가 좋은 오퍼레이터가 되었다. 기본적으로 성능적 차이가 큰 6성을 제외하면 씬이 주로 비교대상이 된다. 가장 큰 차이점은 씬은 소환수 스펙 강화에서 씬이 더 고성능이지만 힐링이 불가능하다. 딥컬러는 사실상 스킬을 쓸 때마다 촉수들이 풀피가 된다고 보면 된다. 그 외에도 씬이 은신이 붙은 긴급 전투에 대응하는 등 희망 1 차이인 것을 감안하면 씬의 성능이 명백히 좋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초반에는 희망 하나가 없을 경우가 자주 나오기 때문에 [* 시작 4성을 둘 뽑기, 연설 포함하여 6성을 하나 뽑기] 무조건 씬을 뽑을 환경이 나온다는 보장은 없다. 오히려 딥컬러의 경쟁자는 통합전략 1 때는 없었던 로베르타이다. 딜탱힐에서 단일 탱과 저지수는 로베르타가 낫고, 마딜과 촉수 힐링으로 버팅길 수가 있다면 딥컬러가 선택지가 된다. == 오퍼레이터 상세 기록 == ||
잠재력 상승 증표 || ||손으로 그린 동화책. 삶과 죽음을 넘나들던 주인공은 마침내 강물 속으로 발을 내딛고 만다. || ||
계약 || ||로도스 아일랜드 서포터 오퍼레이터 딥컬러. '어시스턴트'를 부려 전투에서 활약합니다. "그녀가 어떻게 그림을 그리는지는, 아마 모르는 게 좋을 거다." || ||
임상 진단 분석 || ||방사선 검사 결과, 해당 오퍼레이터의 내장 기관의 윤곽이 선명하고, 비정상적 음영이 발견되지 않음, 순환 계통 내 오리지늄 입자 검사 이상 없음, 광석병 감염 현상 없음, 현단계로선 광석병 비감염자로 확인할 수 있음. [체세포와 오리지늄 융합률] 0% 오리지늄에 감염된 흔적을 찾아볼 수 없음. [혈중 오리지늄 결정 밀도] 0.17u/L 오퍼레이터 딥컬러 본인의 말에 따르면, 그림을 그릴 때 사용하는 도료가 보통은 오리지늄 분말을 그 원료로 한다고 한다. 이 때문에 다른 오퍼레이터에 비해, 딥컬러가 오리지늄에 접촉하는 기회가 상대적으로 잦다. || ||
파일 자료 1 || ||오퍼레이터 딥컬러는 컬럼비아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 라이타니엔 슈만 예술 학교에서 유화학 교수를 맡고 있는 부친의 영향으로 어려서부터 다양한 아트 살롱을 접하다 자연스럽게 회화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어 화가를 목표로 삼게 되었다. 부친의 지도 아래 딥컬러는 놀랄 정도로 빠르게 회화 방면에서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하였고, 우수한 성적으로 티센 미술대학에 입학했다. 대학교 재학 중 그녀는 빅토리아의 모 고등 오리지늄 아츠 학부에도 관심을 갖게 되어 그곳에서 세 과목의 제어 계열 오리지늄 아츠 강의를 수강하게 되었고, 대학 졸업 후 그녀는 하르멘스존 디자인 스튜디오의 초청장을 받아 그곳에서 약 3년간 근무하게 되었다. 비고: 이상이 오퍼레이터 딥컬러가 제공한 개인자료지만, 정보원과 전달자의 조사에 따르면 실제 상황과는 전혀 맞지 않는 점이 다수 존재한다고 한다. 또한, 직무 경험에 대해서도 증명된 바가 없어, 해당 오퍼레이터가 제출한 개인자료는 쉽게 신뢰하지 말 것을 건의한다. || ||
파일 자료 2 || ||딥컬러는 회화에 비범한 재능을 지니고 있으나, 오퍼레이터로서는 이 재능을 보여줄 기회가 별로 없다. 오직 그녀가 휴식 시간에 다른 오퍼레이터들을 스케치하거나 크로키하는 과정에서 그녀의 재능을 엿볼 수 있을 뿐이다. 확실한 것은, 딥컬러는 자기가 본 오퍼레이터의 외모와 신체적 특징을 완벽하게 기억하고 있으며, 다른 오퍼레이터가 인식하지 못하는 짧은 순간의 관찰만으로도 다른 오퍼레이터의 신체 데이터를 전부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관찰이 분석으로 이어질 때, 딥컬러는 간단한 관찰만으로 관찰 대상의 생활 습관과 같이 장기적인 관찰을 통해서만 알 수 있는 정보까지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딥컬러 본인의 말에 따르면, 이는 화가로서 갖춰야 할 기본기일 뿐이며, 예술의 바다의 여울에 막 발을 담근 수준에 불과하다고 한다. - 비고 1: 일부 오퍼레이터들에게는 그녀의 코드네임이 의미하는 '바다'나 '심해'도 전부 생소한 개념이다. '끝이 없는 물' 정도로 이해할 것을 권장한다. - 비고 2: 딥컬러는 필자의 그림을 그려달는 요청을 완곡하게 거절했지만, 이후 캐리커처 한 장을 그려 선물로 주었다. || ||
파일 자료 3 || ||딥컬러의 오리지늄 아츠는 아직 완전히 분석되지 않았는데, 이 또한 로도스 아일랜드로 그녀를 끌어들여야 하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이다. 현단계에서 판단할 수 있는 것은, 딥컬러의 회화용 붓이 마법 지팡이와 같은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딥컬러의 오리지늄 아츠는 이 붓을 통해 방출되며, 그녀의 작전 방식은 비록 공식적인 것은 아니나… 마치 화판에 그림을 그리듯, 허공에 물감을 칠하여 마법을 시전한다고 한다. 이외에도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그녀가 다루는 '조수'라고 부르는 '생물'이다. (끼어들기 좋아하는 오퍼레이터들은 이들을 '촉수'라고 부르는데, 이는 일종의 지방 속어이다.) 이 길고 가느다란 생물은 마치 애완동물처럼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이해력과 행동력을 갖춰, 전투 중 딥컬러에게 다양한 전술적 선택지를 제공해 준다. 라인 랩의 직원이었던 [[메이어(명일방주)|메이어]]가 만든 '미보'와 비교해본 결과, 이 생물들은 어떤 기계적인 구조도 가지고 있지 않았다. 그렇다. 그들은 가느다랗고 입과 코가 없는 모습이 신체구조의 전부인 것이다. 오퍼레이터 딥컬러의 말에 따르면, 이 생물들은 그녀의 아버지가 먼 사르곤의 한 지역에서 선물로 가지고 온 것이라고 한다. "그냥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생물일 뿐"이라는 것이 그녀가 '조수'에 대해 남긴 설명의 전부다. || ||
파일 자료 4 || ||딥컬러가 최근에 그린 작품 한 점: [[추상화|형체라고 부를 수 있는 것도, 구조적인 물체도 없다. 단지 몇 개의 색을 캔버스에 칠하고, 덮어씌우고, 휘둘러 그려낸 덩어리일 뿐이다. 그러나 이는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눈길을 돌릴 수 없게 만들고, 그 알록달록한 색채에 담긴 정보들을 오롯이 받아들이도록 만든다.]] 긴 시간 동안 이 그림을 바라보고 있으면, 색다른 불안감과 강한 끌림을 느낄 것이다. || == 스킨 == ||
이미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딥컬러스킨.jpg|width=100%]]}}} || || 설명 || || 【活动奖励服饰】 //绘声绘影 - 深海色 寒武纪1099冬季新款/绘声绘影。极具设计感的宽松版型便于行动且不失个性,高分子防水面料不会沾上一点颜料,非常适合作画时穿着。 ---- 深海色一边绘声绘色地向你描述着波澜壮阔的情景,一边调试着手中的怪异终端。一段时间后,你觉得自己好像看到了一个与奇异敌人战斗的身影。你也不知道这源于她真实的生活还是纯粹的创作。 【이벤트 보상 패션】 //생생한 묘사 - 딥컬러 캠브리언 1099 겨울 신상/생생한 묘사. 루즈핏으로 거동이 편리하고 개성을 잃지 않은 디자인에, 고분자 방수 원단으로 물감이 전혀 묻지 않아 그림 그릴 때 입기 좋다. ---- 딥컬러는 손에 든 신기한 단말기를 조작하면서 웅장한 광경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후, 당신은 마치 기이한 적과 싸우는 모습을 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것이 그녀의 실제 생활에서 비롯되었는지 아니면 순수한 창작에서 비롯되었는지 모른다. || == 대사 == [youtube(_ZLBD4n-oVE)] ||
상황 || 대사 || || 획득 ||请叫我“深海色”。我的职业是画家,对,只是一个“画家”哦。 딥컬러라고 해. 그림을 그리고 있어. 맞아, 그냥 그림쟁이야. || || 어시스턴트 임명 ||早安,博士。我可以画一幅您的肖像画吗?啊,我会注意不让它实体化的。而且,也不是什么都能实体化的啦。 안녕, 박사. 그쪽 초상화 좀 그려도 될까? 아, 이번엔 실체화시키는 일 없도록 주의할게. 애초에 뭐든 다 실체화할 수 있는 그런 게 아니라고. || || 대화 1 ||我出现在这里,似乎有些唐突吧... 내가 여기에 있는 거, 이상하려나… || || 대화 2 ||博士,我瞳孔里倒映着的你,到底是什么颜色呢。 박사, 내 눈에 비친 당신은 어떤 색을 하고 있을 것 같아? || || 대화 3 ||罗德岛有很多有趣的创作素材啊,灵感,渐渐涌出来了呢。 로도스 아일랜드는 재밌는 소재가 많아서 아이디어가 마구 샘솟는다니까. || || 정예화 후 대사 1 ||看到我可爱的“助手”们了么?你觉得它们有点可怕?明明很可爱的! 이 귀여운 '조수'들 봤어? …뭐, 무섭다고? 이렇게 귀여운데 잘 못 본 거 아냐? || || 정예화 후 대사 2 ||呵呵,这就是你的颜色吗?——凝视我吧,让我染上更多属于你的颜色。 후훗, 이게 당신의 색인가 보네… 그럼 날 똑바로 바라봐 줘. 좀 더 그쪽 색으로 물들여 달라고. || || 신뢰도 상승 후 대사 1 ||嗯,没错,就算谁也不理解我,我也会这样继续画下去。无论它们会变成什么样的怪物…… 그래, 맞아… 주변에서 이해 못 한다 해도 그림은 계속 그릴 거야. 저들이 어떤 괴물로 변했다고 해도… 말이야. || || 신뢰도 상승 후 대사 2 ||我们创作者是什么样的人呢,每个月都有三十天以上的瓶颈期,觉得自己怎么画都画不好,而且只有深夜才有效率…… 우리 크리에이터들은 말이야 한 달 중 30일 이상이 슬럼프라고. 뭐 하나 그리려 해도 제대로 되지 않고… 붓이 좀 들린다 하면 벌써 꼭두새벽이고… || || 신뢰도 상승 후 대사 3 ||斑驳世界终在它幽暗腹中安然长眠……没错,那是深海真正的颜色。只看得到黑色吗?看来,我还没能将一切都与你分享呢。 얼룩진 세상도, 그 유암 속에서 편히 영면을 맞이하노니… 그래, 그게 바로 심해의 색… 새카맣게만 보인다고? 그럼, 나에 대해 아직 다 모른단 거네. || || 방치 ||是在......做梦吗?你那梦中的颜色——是否也像世间万物般绚烂呢,博士...... 박사… 꿈꾸고 있나? 그 꿈속에서 보는 색깔은, 이 세상처럼 선명하려나… || || 작전 기록 대사 ||这种不安的感觉是......? 이 불안한 예감은 대체…? || || 1차 정예화 대사 ||呃,别再这么关心我的事了。如果再这样亲切对待我的话,我,我不知道自己会变成什么样子...... 저기, 날 좀 내버려 둘래? 지금보다 더 친절하게 대해주면, 나, 어떻게 될지 모르거든… || || 2차 정예화 대사 ||谢谢你,博士,现在,让我们完成这幅作品吧? 고마워, 박사. 같이 이 그림을 완성해볼까? || || 팀 배치 대사 ||真的要我上战场吗?不会吧?! 정말로 전선에 내보내겠다고? 진짜 진심이야?! || || 팀장 임명 ||我没法领导这么多人啦。 이렇게 많은 사람들을 지휘할 수 있을 리가… || || 작전 출발 ||大家要加油哦! 모두 힘내자! || || 작전 개시 ||那就是敌人么!? 저게 적이야?! || || 오퍼레이터 터치 1 ||我么? 나? || || 오퍼레이터 터치 2 ||我该怎么办? 뭐 하면 돼? || || 배치 1 ||涂涂抹抹~ 칠하고 칠하고~ || || 배치 2 ||唉唉唉,等一下啦! 뭐어~? 자, 잠깐만 기다려 봐! || || 전투 중 1 ||别着急。 조급해하면 안 돼. || || 전투 중 2 ||慢慢来吧。 천천히 하는 게 좋다고. || || 전투 중 3 ||和我的“助手”们过两招吧。 내 '조수'들이 상대해 주지. || || 전투 중 4 ||这些孩子,你赢得了吗? 얘들한테 이길 수 있겠어? || || 4성 작전 성공 ||如果真的惹恼了我,可不知道会有什么事情发生哦。 날 정말로 화나게 만들면… 무슨 일 생겨도 난 모른다고! || || 3성 작전 성공 ||大家胜利的英姿,就让我画下来吧。 승리를 손에 쥔 모두의 모습, 그려놔야겠어! || || 비 3성 작전 성공 ||啊,衣服又弄脏了...... 아아… 또 옷이 더러워졌네… || || 작전 실패 ||要是作战的结果,也能像画作一样重新涂改就好了...... 전투 결과도 그림처럼 덧칠할 수 있으면 좋을 텐데… || || 시설에 배치 ||这个房间的设计很好看啊。 이 방, 예쁜 디자인이네! || || 터치 ||嗯嗯? 으응? || || 신뢰도 터치 ||博士,难得有时间休息,要来看看我最新的作品吗? 박사, 모처럼 쉬는 날이니 내 최신 작품 감상하지 않을래? || || 인사 ||早上好,博士 안녕, 박사. || == 기타 == * 모티브는 촉수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문어]], 그 중에서도 [[우무문어]]로 추정된다. 대부분의 오퍼레이터는 2차 정예화 일러스트의 뒷배경에 모티브가 된 생물을 그려넣는데, 짧은 다리와 머리의 짧은 돌기 2개로 보아 [[우무문어]]가 가장 흡사하다. 딥컬러 본인도 머리에 돌기를 갖고있다. * 한섭에서의 명칭과 영문표기는 딥컬러(Deepcolor)이지만 일섭에서의 명칭은 디피카(ディピカ)이며 캐릭터 음성에서도 디피카라고 발음한다. * 4성 중에서는 유일하게 공개모집에서 등장하지 않아서 오로지 헤드헌팅으로만 입수할 수 있다. * 기본과 2차 정예화 일러스트의 분위기 차이가 심한 캐릭터 중 하나다. 특히 볼륨이 많이 달라지며, 섬뜩하게도 바닥을 보면 인간의 상반신의 뼈가 늘어붙어 있다. 명일방주 세계관의 해양 지방이 '''크툴루 신화'''를 모티브로 하는 괴악한 환경이고 딥컬러 자체가 많은 정보가 은폐되어 있는 걸 생각하면 2차 정예화 연출도 떡밥의 일종이 아니냐는 추측도 제기되고 있다. * 그리고 아니나 다를까 언더 타이즈 이벤트 출시 후 업데이트된 관계도에서 '''[[스카디 더 커럽팅 하트]]'''와 함께 묶이게 되었다. 딥컬러 관련 설정이 많이 공개되지 않아 명확하진 않지만 다른 캐릭터도 아니고 심해의 괴물들인 시테러[* 어비설 헌터스가 사투를 벌이는 바로 그 괴물들이다. ]와 연관이 깊은 스카디 더 커럽팅 하트와 같은 카테고리에 묶인 걸 보면 시테러들과 어느 정도의 연관성을 지닌 것으로 보인다. 이후 '''[[미즈키(명일방주)|인간을 강제로 시테러로 동화시키는 실험의 피해자]]'''도 등장했는데, 해당 오퍼레이터와 달리 딥컬러를 심히 경계하는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보아 비슷한 실험을 받은 건 아닐 가능성이 높다. * 패러독스에서 언급되길, '''위매니의 일부가 될 뻔한''' 인물. 그러니까 [[미즈키(명일방주)|미즈키]]와 비슷하게 시테러화가 진행되었음에도 인간으로 남기를 선택한 인물이다. 시테러의 '아름다움'에 매혹되어 위매니의 일부가 되어갔는데, 정작 그 일부가 되자 점점 감정을 잃어갔고, 그 결과 창작 활동을 전혀 하지 않게 되었다. 그러다 문득 찾은 자신의 붓에 쌓인 먼지를 보고서야 심각성을 깨닫게 되었다고 한다. 시테러에게서 생명이 가진 궁극의 아름다움을 느꼈지만, 정작 시테러가 되면 그런 아름다움을 인식하지도 못한다는 것을 고통스럽게 여겼던 탓에 위매니의 일원이 되길 거부한 것이다. 이 사실을 자신을 죽여 위매니의 영양분으로 활용하려고 찾아온 심해교단의 선교사에게 고백하면서 준비해둔 함정을 발동시켜 선교사를 죽여놨다. 하지만 선교사 쪽에서는 목숨을 걸고 그녀에게 표식을 새겨 평생 시테러에게 쫓기도록 만들었고, 이에 딥컬러는 마음 편히 그림을 그릴 장소를 찾아 마을을 떠났다. 이후 로도스에 정착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 많은 수의 4성 오퍼레이터가 스킨을 안 받은 가운데 중국 서버기준 2023년 2월 스킨이 추가되었다. 오퍼레이터 출시에서 스킨이 나오기까지 3년 9개월이 걸렸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명일방주/오퍼레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