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일본의 경주마, rd1=딥 임팩트(말))] [include(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의 등장 우마무스메)]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utuma_deepthroat.jpg|width=100%]]}}} || ||<-2> Deep Impact[br]ディープインパクト[br]{{{+3 딥 임팩트}}} || ||<-2>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성우)] ||--[[아오키 루리코]]--[* 現 [[에어 그루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어 그루브]] 담당]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생일)] ||[[3월 25일]]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신장)] ||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체중)] ||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쓰리사이즈)] || || [목차] [clearfix] == 개요 == == 캐릭터 소개 == ||
공식 이미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승부복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우마무스메_딥 임팩트(승부복).png|width=100%]]}}}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원안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우마무스메_딥 임팩트(원안).png|width=100%]]}}}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무대의상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우마무스메_딥 임팩트(무대의상).png|width=100%]]}}} ||}}}}}}}}}}}} || == 상세 ==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애플리케이션]] == === 작중 행적 === * [[고대말딸|2016년 1차 PV]]와 1차 캐릭터 소개에서도 있었지만 라이센스 교섭 실패로 현재까지 아직 등장하지 않고 있다. 1차 PV에서는 초반에 꼬리와 더불어 우마무스메들의 상징인 귀를 클로즈업하는 모습으로 첫 등장하며 [[나리타 브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나리타 브라이언]] 옆에서 위닝 라이브를 하는 모습, 레이스에서 [[소닉붐]]을 일으키며 엄청난 속도로 추입하여[* 문제는 달리는 자세가 영락없는 [[나루토 달리기]]라 현재는 네타 소재로 쓰이고 있다.] 나리타 브라이언과 동시에 결승선을 골인하는 모습이 나온다. 다른 경주마들에 비해 덩치가 작았던 원본마의 고증을 반영하여 작은 체구로 묘사되었는데 마지막 전원 포즈 씬에서 같은 [[삼관마]]들인 [[심볼리 루돌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심볼리 루돌프]]와 나리타 브라이언 사이에 서 있는 모습으로 나온다. 자세히 보면 둘 보다 키가 작은데[* 참고로 심볼리 루돌프는 165cm, 나리타 브라이언은 160cm이다.] 실제 딥 임팩트도 체구가 상대적으로 작은데다 곱상하게 생겨서 어릴때 조교사가 암말인지 숫말인지 애매해서 가랑이를 들여다 봐서 숫말인지 파악했다는 일화가 있다. * [[나카야마 페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나카야마 페스타]]의 육성 스토리에서 간접적으로 첫 언급[* 여담으로 함께 언급된 '작년에 개선문상에 도전한 우마무스메'는 정황상 나카야마 페스타보다 1년 전에 개선문상에 출주했던 [[메이쇼 삼손]]을 말하는거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이 나오는데 삼관을 따내고 [[개선문상]]에도 도전했으나 실패했던 우마무스메로 라이센스 문제로 직접 이름이 나오진 않고 팬들에게 '[[영웅]]'으로 불린다. 나카야마 페스타가 개선문상에 도전하려 하자 세간에서는 그 [[엘 콘도르 파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엘 콘도르 파사]]도 실패하고 '영웅'마저도 실패했던 불가능한 영역에 뻗어나가는 나카야마의 도전을 무모한 것으로 치부하는 식으로 나온다.[* 여담이지만 원본마 나카야마 페스타는 이러한 와중에 2착을 하였고 그마저도 머리 하나 차이라는 역대 일본 경주마들 중 가장 우승에 가까운 코 차이 패배로 많은 경마팬들에게 충공깽을 안겨주었다.] * [[젠노 롭 로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젠노 롭 로이]]의 육성 스토리에서도 간접적으로 언급된다.[* 참고로 젠노 롭 로이는 딥 임팩트와 마찬가지로 선데이 사일런스의 산구이기도 하다.] 여기서도 '영웅'으로 불린다. 다만 원본마의 활동 기간이 '''젠노 롭 로이의 고마 1년차가 거의 끝나가는 시점'''이 되어서야 딥 임팩트가 신마전을 가지기도 했고 딥 임팩트가 고마 혼성경기를 뛴 것은 젠노 롭 로이의 은퇴경기였던 고마 2년차 아리마 기념이 처음이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활동기간이 겹치지 않아서 '''(젠노 롭 로이가) 영웅에게 스포트라이트를 빼앗겼다'''라는 식으로 간접적으로 언급된다. 딥 임팩트에 대한 JRA의 과도한 푸쉬로 인해 다른 말들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줄어들었던 것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 [[샤다이 그룹]] 소속 최초로 실장된 [[네오 유니버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네오 유니버스]]의 육성스토리에서 같은 카네코 마코토 소유의 [[킹 카메하메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킹 카메하메하]]와 함께 언급되었는데 대왕으로 언급되는 킹 카메하메하보다 몇 배는 큰 특이점으로 언급되며 근원을 다시 만드는 둘로 인해 역사가 대전환점을 맞는다고 언급되는데 실제로 킹 카메하메하와 딥 임팩트의 압도적인 종마 성적으로 현재 일본 경마계는 [[킹맘보]]계와 [[선데이 사일런스]]계 혈통이 종친회 수준으로 지배하는 형태가 된 것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도 카네코 마코토가 샤다이 그룹의 VIP라는 점, 아직 예정인 메인스토리 2부가 황금 세대 이후를 다룰것으로 예상되는 점, 그리고 직접적으로 언급된 것은 사실상 이번이 처음이기에 샤다이 그룹도 협업에 성공했으니 샤다이 그룹을 통해 [[카네코 마코토(기업인)|카네코 마코토]] 소유의 말들도 조만간 실장되길 바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 == 기타 == * 팬덤에서는 2016년 1차 PV 등장 후 강판된 4마리[* 딥 임팩트, 킹 카메하메하, 오르페브르, 부에나 비스타.] 중 킹 카메하메하와 함께 실장 가능성이 낮게 점쳐지고 있다. 둘 다 라이센스 협약에 비협조적인 [[카네코 마코토(기업인)|카네코 마코토]] 개인 소유말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워낙 성적이 압도적이라서 에피소드를 만들어볼 만한 말이 [[하츠 크라이]] 뿐인데 하츠 크라이도 엮일만한 말이 딱히 없어서 전망이 밝지 않으며 엮일 말이 없다는 것은 킹 카메하메하도 마찬가지. 반면 부마인 [[스페셜 위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스페셜 위크]]가 이미 실장되어 있는 [[부에나 비스타(말)|부에나 비스타]], 인기 캐릭터인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골드 쉽]]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오르페브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오르페브르]]는 2023년에 같은 선데이 레이싱 소속인 [[두라멘테]]가 [[두라멘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실장되면서]] 실장 기대치가 높은 상황이다. 다만 무엇보다도 카네코 마코토는 애초에 경마 관련 게임에 라이센스를 잘 안주기로 악명이 높아[* 사실상 유일하게 허락해 준 게임이 가장 유명한 경마 게임인 [[위닝 포스트]]. 이마저도 [[코에이 테크모]]와 친분으로 간신히 내준 것이라는 말이 있다.] 딥 임팩트의 실장을 기대하는 반응은 거의 없다. 설령 카네코 마코토가 허락한다한들 사이게임즈 측에서 원본마가 경마팬들이 아닌 이들에게도 가장 인지도가 높고 일본을 대표하는 경주마인만큼 비장의 카드로 감춰두고 있다가 끝물이 되어서야 내는게 아니냐는 의견도 나온다. * 실제 말의 인기가 무색하게 [[2차 창작]]이 거의 없는 수준이다. 가끔 픽시브 등에 팬아트가 올라오긴 하나 라이센스 문제로 강판된 우마무스메들도 2차 창작에서는 자유롭게 나오는 경우가 많지만, 딥 임팩트의 경우 시대상 엮일만한 우마무스메가 없는 것이[* 클래식 시즌 당시 딥과 맞붙었던 식스 센스, [[어드마이어 재팬]], 어드마이어 후지 등은 결국 커리어 내내 G1경주 승리를 거두지 못한 채로 은퇴했고, 동기인 2002년생 경주마 중 유명한 편에 속하는 카네히키리, 버밀리온은 주로 더트 레이스 위주, 세자리오는 암말이기 때문에 딥과 엮일 기회가 별로 없었다. 게다가 이 말들은 모두 우마무스메 미실장. 우마무스메에 실장된 말들 중에서는 젠노 롭 로이가 전년도에 가을 고마 3관을 차지하는 등 활약했지만 딥이 활약할 당시엔 이미 전성기가 지났다는 평가를 받은데다 젠노 롭 로이 자체도 캐릭터가 희미하다 보니 별 이야기가 없다. 그나마 은퇴전에서 깽판을 친 [[스윕 토쇼]] 정도가 엮일 만한 건덕지가 있는 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스테이 골드]] 일족[* 스테이 골드, 골드 쉽, 오르페브르, 나카야마 페스타, [[드림 저니]] 등.] 및 주전기수 [[이케조에 켄이치]]와 끊임없이 엮이는 내용이 나오는 오르페브르와는 달리 커리어가 굴곡이 적어 이야기거리가 많지 않은 점도 있으며[* 똑같이 압도적인 성적으로 홀로 군림했던 심볼리 루돌프의 예만 보더라도 동갑내기 라이벌은 전원 미실장, 한살 위이자 전대의 삼관마 라이벌인 [[미스터 시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미스터 시비]]와 재팬컵에서 루돌프의 첫 번째 패배를 안긴 [[카츠라기 에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카츠라기 에이스]]는 게임 런칭 시점에선 미실장이었다가 한참 뒤나 돼서야 모델링이 등장하는 바람에, 루돌프의 스토리에 등장하지 못했다. 심지어 카츠라기 에이스에 이어 루돌프에게 두 번째 패배를 안긴 [[갤럽 다이나]]는 아직도 실장되지 않았다.] 또한 위에서 설명되었듯 실장 가능성이 낮아 관심이 덜 모이는 것도 한 몫 한다. 그나마 이런 점들이 역으로 작용해서 우마무스메 커뮤니티 내에서는 '진짜 일본 최강이면 등판해서 증명해라' 식의 음해도 등장한다. 이후 2주뎐에서 네오 유니버스를 시작으로 샤다이 그룹 소속의 말들이 실장되면서 실장을 원하는 여론이 많이 올라왔다. 게임 출시 초창기의 비관적인 여론에 비하면 많이 올라온 편. * 일본과 달리 국내 우마무스메 커뮤니티들에선 원본마가 언급될 때마다 많이 까인다. 계속 까이는 첫번째 이유는 개선문상 도핑, 두번째는 JRA의 원본마의 지나친 푸쉬에 대한 반감 때문. 사실 어서 실장되었으면 하는 애증하는 여론도 섞여있지만 과대평가되었다며 비판하는 여론이 압도적으로 많다. 마지막으로 마주가 카네코 마코토라 실장 가능성이 0에 가깝다는 것이 원인. 외모도 볼품없이 못생겼다는 의견이 대세이다.[* 사실 현역때는 그럭저럭 무난한 외모였으나 은퇴 후 종마활동을 하며 200두가 넘게 지나치게 많이 교배를 하면서 인상이 초췌해졌다.] * 주인공 스페셜 위크와 이름이 바뀐게 아니냐는 드립도 있다. 실제 스페셜 위크는 날카롭고 카리스마있는 외모에 사람 손에 길러져 사람에게는 순했지만 말들과는 어울리지 못한 거친 면모로 우마무스메의 딥 임팩트의 모습과 가깝지만 실제 딥 임팩트는 귀여운 외모에 사람과 말 모두 잘 어울리는 온순한 성격으로 우마무스메의 스페셜 위크의 모습과 가깝기 때문으로 보인다. [[https://m.dcinside.com/board/umamusme/1193669|이를 소재로 한 만화도 있을 정도.]] * 캐릭터 디자인 면에서 [[메지로 도베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메지로 도베르]]와 닮았다는 의견도 종종 나오고 있다. 오죽하면 도베르의 실장 당시 '왜 딥은 디자인이 바뀌어서 나온거냐?'며 도베르를 딥으로 착각하는 반응이 나왔을 정도.[* 재미있게도 딥과 도베르는 교배해서 자마가 있다. 이름은 메지로 다이보사츠. 그러나 부모와 달리 16전 1승이라는 처참한 성적을 거두었다.] 이후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애니메이션 3기)|애니메이션 3기]]가 나오면서 실장된 [[두라멘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두라멘테]]는 외모 디자인에서는 딥의 원안을 살짝 손봐서 재탕한 거 아니냐는 의견도 있을 정도로 닮았으며 특히 1화 마지막에서 추입하는 장면은 1차 PV에서 딥의 추입 장면과 구도가 유사해 화제가 되었다.[[https://m.dcinside.com/board/umamusu/2464197|#]] * 2주년 기념 일러스트에서 맨 뒤측에 새까만 승부복을 입은 우마무스메를 보고 딥 임팩트, 혹은 [[신코 러블리]]라고 추측하는 의견이 있었다. 그러나 정작 나온것은 딥도, 신코도 아닌 [[사토노 크라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사토노 크라운]]이 승부복을 입고 있던 것이었다. * 아직 실장되지 않아 2차 창작에서의 등장은 많지 않으나 그야말로 극과 극으로 그려지는데 원본마의 성격을 반영하여 평상시에는 온순하고 착하지만 레이스에서는 압도적인 실력을 보여주는 [[사일런스 스즈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사일런스 스즈카]] 같은 모습으로 그려지는 작품이 있는가하면 도도한 성격의 [[에어 그루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어 그루브]]를 맡은 [[아오키 루리코]]가 원래는 딥 임팩트의 성우였다는 점, 디자인과 PV에서 시크한 이미지로 그려졌다는 점에서 [[쿨뷰티]] 영웅으로 그려지는 작품도 있다. * 아무래도 같은 무패 [[삼관마]], G1 7승이라는 점, [[쇼와 시대]]를 상징하는 루돌프를 잇는 [[헤이세이 시대]]를 상징한다는 점, 무엇보다 상술했듯 압도적인 종마 성적으로 현 일본 경마를 선데이 사일런스계, 더 나아가 자신의 딥 임팩트계의 종친회 수준으로 만들었기에 심볼리 루돌프의 [[학생회장]] 자리를 승계할 유력한 후보로 많이 언급되는 편이며 2차 창작에서도 많이 묘사되는 편이다. 한편으로는 1차 PV 당시 현재의 에어 그루브가 맡고 있는 부회장 포지션이었다는 추측도 있는데 딥과 달리 실장에 성공한 심볼리 루돌프, 나리타 브라이언이 삼관마이고 마침 마지막 단체샷에서 둘 사이에 서 있다는 점과 나리타 브라이언의 옆에서 위닝 라이브를 하는 모습과 동시에 결승선에 골인하는 점, 딥의 성우가 될 예정이었던 아오키 루리코가 딥이 강판된 이후 등장한 에어 그루브의 성우로 교체된 것 등이 그 근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딥 임팩트, version=473)] [[분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