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디시인사이드)] ||<-2> '''{{{+1 디시인사이드}}}'''[br]'''dcinside''' ||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width=60%]]||[[파일:디시인사이드 로고.svg|width=90%]] ||}}} || || '''법인명''' ||주식회사 디시인사이드 || || '''영문명''' ||Dcinside Co., Ltd.||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업종''' ||(J62010) 컴퓨터 프로그래밍 서비스업[* [[https://m.nicebizinfo.com/ep/EP0100M002GE.nice?kiscode=G55114&siteid=JOBKR|나이스 기업정보]]]|| || '''설립일''' ||[[1999년]] [[10월 6일]]^^'''사이트 기준 ([age(1999-10-06)]주년)'''^^[br][[2000년]] [[3월 24일]]^^법인화^^[*A [[https://www.nicebizinfo.com/ep/EP0100M002GE.nice?kiscode=166141|nice기업정보]]][br][[2010년]] [[12월 27일]]^^'''현재 법인([age(2010-12-27)]주년)'''^^|| || '''지배 구조''' ||(주)커뮤니티커넥트 : '''100%''' || || '''대표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b59a7; font-size: 0.75em" {{{#fff '''대표이사'''}}}}}} [[김유식]] || || '''기업 규모''' ||[[중소기업]] || || '''상장 유무''' ||비상장 기업 || || '''링크''' ||[[https://www.dcinside.com/|[[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width=25]]]] ^^,,메인 페이지,,^^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dcinside.app.android&hl=ko&gl=US|[[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width=20]]]][* [[안드로이드 롤리팝|Android 5.0]] 이상부터 호환됨.] | [[https://apps.apple.com/kr/app/%EB%94%94%EC%8B%9C%EC%9D%B8%EC%82%AC%EC%9D%B4%EB%93%9C-dcinside/id1263389332|[[파일:App Store 아이콘.svg|width=24]]]][* [[iOS 12]] 이상부터 호환됨.]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기업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자본금''' ||1억원^^(2023년 기준)^^ || || '''매출액''' ||184억 8678만 4794원^^(2023년 기준)^^ || || '''영업이익''' ||98억 8287만 1696원^^(2023년 기준)^^ || || '''당기순이익''' ||91억 1600만 318원^^(2023년 기준)^^ || || '''자산총액''' ||157억 4448만 7409원^^(2023년 기준)^^ || || '''부채총액''' ||43억 4050만 4441원^^(2023년 기준)^^ || || '''직원 ''' ||51명^^(2024년 2월)^^[* [[강남구]] [[삼성동(강남구)|삼성동]] 본사 기준] || ||<|2> '''본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테헤란로77길 14]] ([[삼성동(강남구)|삼성동]], ES타워) 10, 11층 || || [include(틀:지도, 장소=테헤란로77길 14, 높이=150px, 너비=100%)] || || {{{#fff '''해외 지사'''}}}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베이징 지사''' [[베이징시]] [[차오양구(베이징)|차오양구]] 왕징서원 222호 성원국제빌딩 D좌 2503[* 고객센터 담당] * '''[include(틀:국기, 국명=베트남)] 하노이 지사''' [[하노이시]] 트란 두이 훙 쯩옌 플라자 아파트 1409호[* Tran Duy Hung Trung Yen Plaza 1409][* 악성 게시물 필터링 담당]}}}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dc230821.png|width=100%]] || || '''{{{#fff 2023년 디시인사이드 PC 메인화면}}}''' || >'''CONNECTING HEARTS! 디시인사이드입니다.''' >'''We are with you all ways!''' '''디시인사이드(Dcinside)''', 약칭 '''디시''' 혹은 '''디씨'''는 대한민국의 최대 규모 [[인터넷 커뮤니티]] [[포털 사이트]] 기업이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에 위치하고 있다. [[1999년]] [[10월 6일]] 개설된 동명의 커뮤니티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으며, [[2010년]] [[12월 27일]] 현재의 명칭으로 사명이 변경된 후 새 법인이 세워졌다. == [[/역사|역사]] == || [[파일:external/pgr21.com/1.jpg|width=100%]] || [[파일:dcmainresize.jpg|width=100%]] || ||<-2> {{{#000,#fff {{{-1 2001년[* [[Windows XP]]인 것을 보아 2001년 쯤으로 보인다.]과 2022년의 메인화면 비교}}}}}} || [[1999년]] [[7월]], [[KT알파|한국통신하이텔]]의 [[하이텔]]에 콘텐츠를 공급하던 [[김유식]]이 개설한 디지털 카메라 동호인 웹사이트에 시초를 두고 있다. 당시 디시인사이드는 지금과 같은 커뮤니티 포털 사이트가 아닌, [[디지털 카메라]] 신상품 광고·홍보, 카메라 초보자들을 위한 촬영 강의 진행, 사진 촬영 대회(출사)를 진행하는 작은 디지털 카메라 전문 사이트였다. [[2000년]] 즈음 디지털 카메라 돌풍을 타고 급성장하며 법인화되었고, 당시 국내에서 가장 큰 디지털카메라 공동구매 사이트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러나 이후 [[스마트폰]]이 보급됨과 동시에 디지털 카메라의 인기가 사그라들고, 사이트 내의 작은 부가 서비스에 불과했던 [[디시인사이드 갤러리|갤러리]] 서비스가 큰 인기를 얻자, 디지털카메라 커뮤니티로서의 역할을 완전히 없애고 갤러리 서비스에 사업을 집중해 현재와 같은 커뮤니티 포털 사이트로 기업의 정체성이 완전히 바뀌었다. 과거엔 사이트 내의 모든 게시판이 [[디카]]로 찍은 사진 등을 올리는 곳이었으나, 2023년 현재는 이 흔적이 모두 사라진 탓에 '''DC'''inside가 사실 ' '''D'''igital '''C'''amera Inside '라는 사실도 모르는 사람도 많다. 요새는 '[[DC]]' 하면 1. 디시인사이드, 2. '''D'''is'''c'''ount([[할인]]), 3. [[DC 코믹스]], 4. [[직류]] 전류('''D'''irect '''C'''urrent), 5. [[워싱턴 D.C.]]를 떠올리는 경우가 오히려 더 많을 정도. [[디지털 사진 마이너 갤러리]]나 필름 카메라 마이너 갤러리 등지에서나 과거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는 상태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디시인사이드/역사)] == 지배 구조 == ||
{{{#white '''주주명'''}}} || {{{#white '''지분율'''}}} ||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주)커뮤니티커넥트[* (주)디시인사이드의 주식 20,000주를 모두 보유하고 있는 지주회사. 등록된 대표자와 주소지가 디시인사이드와 동일하다.[[https://www.nicebizinfo.com/ep/EP0100M002GE.nice?kiscode=JC8704|기업정보]]] || 100.00% || ||<-2> 2023년 12월 기준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401002258|#]] || == 현황 == || [[파일:chosunbiz230525.jpg|width=100%]] || [[파일:chosunbiz230821.png|width=100%]] || || '''2023년 도메인 트래픽 순위'''[*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3/05/23/WHGI3WC4ONAAJDSVZKMCL6PCBM/?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조선비즈 기사]]] || '''2020년 ~ 2023년 모바일 앱 MAU 추이'''[*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3/08/21/XNESYAUF5ZFWHPQWB2D2AWP6WM/|조선비즈 기사]]] || [[https://m.dcinside.com/board/tree/583539|식갤럼을 위한 디시사용법 2023년 개정판]][* [[식물 갤러리]]에서 작성한 디시인사이드의 기본 이용 방법이다.] 2,500여 개의 [[디시인사이드 갤러리|갤러리]], 45,000여 개의 [[디시인사이드 마이너 갤러리|마이너 갤러리]], 15,000여개의 [[디시인사이드 미니 갤러리|미니 갤러리]]를 기반으로[*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dcinside.app.android&hl=ko&gl=US|출처]]] 수많은 유행어와 트렌드를 만들어내며 21세기 인터넷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3년 기준 일평균 방문자수는 약 3,031,113명이며, 하루에 약 882,260건의 게시물이 올라오고, 2,371,269개의 댓글이 달린다.[* [[https://nstatic.dcinside.com/ad/2024/pptfile/2024_dcinside_all.pdf|공식 매체소개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펜데믹]]이 극성에 달했던 2020년 상반기에는 일주일 방문자 수가 880만 명, 일주일 페이지 뷰가 11억 회, 하루 게시물이 100만 건까지 올라갔다. [[https://youtu.be/xRnBzoktK-E|출처]] 디시인사이드 내의 한 갤러리의 규모가 다른 커뮤니티 전체의 규모와 맞먹는 경우도 허다하다. 2023년 경에는 회원수가 1,000만명을 넘어섰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070968?sid=105|관련 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30985?sid=105|관련 기사]]] == 특징 == || [[파일:565363551561.png |width=100%]] || || {{{#fff '''2020년 디시인사이드 공식 매체소개서'''}}} || 기본적으로 국내 최대규모의 인터넷 커뮤니티인만큼 수많은 갤러리에 성별, 지역, 정치 성향이 다른 수많은 사람들이 퍼져 있어, '''사이트 전체의 성향을 하나로 뭉뚱그려 표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디시인사이드의 공식 매체 소개서에 의하면 남성 유저의 비율은 55%, 여성 유저의 비율은 45%로 흔히 알려진 인식과 달리 사실상 '''남녀 비율에 큰 차이가 없다.''' [[https://weekly.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21972|주간조선 기사]] 하지만 로그인 없이 게시물 작성이 가능한 [[유동닉]] 기능이 특유의 높은 자유도를 형성하는데 크게 기여를 하고 있는만큼, 그로 인해 수반되는 자유와 무정부주의 성향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내부 갤러리들이 중앙에 예속되지 않고 수평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이 두드러지는 모습인데, 이로 인해 중앙군집이 매우 약하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인다. HIT 갤러리, 실시간 베스트 갤러리 등이 디시인사이드 내부에서 별다른 파급력을 갖지 못하는 것이 대표적. [[에브리타임]]의 HOT 게시물, [[에펨코리아]]의 포텐터짐 게시판, [[더쿠]]의 HOT 게시판, [[네이버 카페]], [[다음 카페]]의 인기글 등이 사이트의 여론을 한꺼번에 수렴하고 주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과 달리, 내부의 게시판 하나하나들이 상위개념으로 위치한 [[인기글]] 시스템에 전혀 종속당하지 않은 채, 독립된 커뮤니티로서 기능하고 있다. 커뮤니티에서 인기글 시스템이 사이트 전체에 기여하는 정도는 상당하다. 대다수의 커뮤니티들에선 추천을 많이 받은 인기글을 메인에 게시하고, 이것이 하위 게시판에 빠르게 파급 됨으로써 정체성이 [[남초]] 혹은 [[여초]], [[진보]] 혹은 [[보수]] 등으로 통일되는 현상이 자연스레 나타나기 때문이다. 나아가 [[베스트 댓글]] 등을 통해 유저 다수가 어떤 의견을 지지하는지에 대한 입김을 크게 실어주기도 한다. 반면 디시의 경우 사이트 전체에 대한 공식적인 인기글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데, 이것이 약한 중앙군집의 이유가 된다. 물론 [[실시간 베스트 갤러리]]가 있지만, 이건 게시글의 실제 반응이나 추천수와 관계없이 운영자가 개인적으로 선별한 글을 게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 갤러리별 이용자들 간의 성향 편차가 타 커뮤니티에 비해 커졌다. || [[파일:dightyblog0555.jpg|width=100%]] || || {{{#fff [[NHN|{{{#fff '''2022년 NHN데이터 Dighty의 SNS 앱 분석'''}}}]][* [[https://blog.dighty.com/trend/?q=YToyOntzOjQ6InBhZ2UiO2k6MT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11480055&t=board|#]]]}}} || 1990년대 후반 이후 출생한 [[Z세대]]는 인터넷 이용이 가능한 이동식 기기(스마트폰, 태블릿 PC)를 접하며 성장했기에, 사교 생활에 있어서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보다 SNS([[틱톡]], [[인스타그램]] 등)를 자유롭게 사용하고 선호하는 모습을 보인다. 디시인사이드와 비슷한 시기에 태동해 일본의 인터넷 문화를 주도한 [[5ch]]이 2010년대로 넘어오며 [[트위터]], [[인스타그램]], [[틱톡]] 등의 SNS에 밀려나 중장년층의 사이트로 전락해버린 것이 대표적.[* 이와 유사하게 인터넷에서 주류를 차지하다가 중장년층 사이트로 전락한 한국 커뮤니티에는 [[일베저장소]]가 있다. 물론 정확히 일치하는 것은 아닌데, 5ch은 유입 없이 기존 유저들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중장년층 사이트로 전락하였지만 일베의 경우는 [[박근혜 탄핵]] 이후 일명 [[정게할배]]의 추가 유입과 기존 청년 유저의 탈퇴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급속도로 늙어간 경우이다. [[대한민국]] 또한 이러한 경향을 벗어날 순 없었기에, 2020년 이후부턴 대부분의 커뮤니티에서 공통적으로 세대교체가 느려지고, [[밀레니얼 세대]]의 목소리가 매우 커지게 되었다.] 하지만 지속적인 저출산으로 절대적인 인원수 자체도 적고, 밀레니얼 세대와 그 이전세대의 격차보다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격차가 적어 문화적으로 흡수되는 경향을 보이는 만큼, 새로운 플랫폼을 구축하지 않는 한 밀레니얼 세대가 구축해둔 커뮤니티와 [[SNS]] 문화가 한동안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자세한 것은 [[Z세대]] 문서 참고.] 디시인사이드의 경우, 앞서 언급한 특유의 갤러리간 수평성과 마이너 갤러리 서비스가 지속적인 유입 인원 발생에 큰 기여를 하여[* 마이너한 성향 취미의 경우는 디시인사이드 갤러리를 제외한 한국어 웹사이트가 전무한 것이 현실이기 때문.] [[여초 커뮤니티|여초 갤러리]]와 취미 갤러리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며 상당히 높은 이용자 다양성을 확보하고 있어 성비 혹은 연령대 분포가 극단적으로 심하게까진 나타나지 않고 있다. === 심볼 === || [[파일:디시인사이드구로고.png|width=100%]] ||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width=100%]] || || '''2000 ~ 2019''' || '''2019 ~ 현재''' || === 로고 === || [[파일:디시인사이드 로고.svg|width=100%]] || || {{{#fff '''2000 ~ 현재'''}}} || === 기업명 === 1999년 설립될 당시의 이름은 '김유식의 디지털카메라 인사이드'였다. [[김유식]]은 자신이 전문성을 가진 분야(IT 방면)에 대한 사이트를 만들려는 의도로 노트북을 주제로 하는 노트북 인사이드와 디지털 카메라를 주제로 한 디시인사이드라는 사이트 2곳을 개설했는데, 사실 사이트를 열 당시 김유식은 노트북 인사이드를 주요 사이트로 여겼고 디시인사이드는 '사이트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만든 구색 맞추기 용도'의 사이트로만 생각했다고 한다. 이후 노트북인사이드를 매각한뒤[* 이후 점차 인기를 잃고 명맥만 유지하다가 2010년대 초반에 문을 닫게 된다. (www.nbinside.com)] 디지털카메라인사이드에 더 중점을 두었고, 점차 디지털 카메라 판매 사이트에서, 커뮤니티 포털 사이트로 발전시켜나가기에 이른다. 설립될 당시에는 평범한 디지털 카메라 동호인 사이트였다. 즉 디카에 대한 정보나 사용기가 메인이었던 사이트였고, 갤러리는 부가적인 요소였다. 그래서 2000년대 초반까지는 갤러리와 함께 디카 정보 및 사용기, 리뷰 등이 메인 화면을 장식하고 있었다. 현재까지도 사이트 여기저기에서 그 흔적이 약간씩 남아 있는데, __사이트 이름인 DC인사이드에서 앞머리의 DC가 바로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의 두문자어이다.__ === 슬로건 === >'''## IT IS LIFE! 디시인사이드입니다. ##''' ^^(2003년 ~ 2018년)^^ >'''CONNECTING HEARTS! 디시인사이드입니다.''' ^^(현재 슬로건 1[* 메인화면에서 사용된다.])^^ >'''We are with you all the day! IT is Life! 디시인사이드 입니다.''' ^^(현재 슬로건 2 [* 로그인, 계정 설정, 아이디/비밀번호 재설정 과정에서 사용된다. [[https://dcid.dcinside.com/join_new/member_find_id.php|#]] ])^^ == 소재지 == [[파일:656555156.png]] [include(틀:지도, 장소=테헤란로77길 14, 높이=300px, 너비=100%)] * '''본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7길 14 ||
{{{#fff '''사업장'''}}} || {{{#fff '''업무'''}}} || {{{#fff '''설립일'''}}}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크기=27)] '''대한민국 본사(서울)'''|| 서버 운영[* 디시인사이드의 서버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에 소재.], 광고 수주 및 집행, 사이트 운영 || [[2000년]] [[3월 24일]]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크기=27)] 중국 지사(베이징) || [[신고 게시물 갤러리]] 응대 || [[2003년]] [[12월]] || ||[include(틀:국기, 국명=베트남, 출력=, 크기=27)] 베트남 지사(하노이)|| 악성 게시물 삭제 || || 2021년 기준으로 디시인사이드는 대한민국 서울 본사, 중국 베이징 지사, 베트남 하노이 지사 이렇게 3개로 나누어져 운영되고 있다. 중국 베이징 지사에서는 현지 인력을 통해 [[신고 게시물 갤러리]] 응대 업무를 담당하고 있고, 베트남 하노이 지사에서는 악성 게시물 삭제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데,[* 이는 [[유로파 유니버셜리스 갤러리#s-3.2.1|패러독스 갤러리 사태]] 당시 디시 본사를 방문했던 마갤 관리자에 의해 대략적인 실체가 알려졌다.[[https://gall.dcinside.com/paradox/229313|#]]] 2000년대 중후반까지 한국 본사에서 처리했던 게시물 삭제/문의 등의 업무는 해외 지사로 대부분 넘어간 상태이다. 서울 본사는 광고 수주 및 집행[*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상단에서 노출되는 배너형 광고, 자동짤방 광고.], 서버 운영 및 관리, 운영방침 설계 및 신규 서비스 론칭 등 사이트의 전반적인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https://youtu.be/xRnBzoktK-E|참고]] == [[/성향|성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디시인사이드/성향)] == [[/문제점|문제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디시인사이드/문제점)] == [[/서비스|서비스]] == == 경영진 == || [[파일:헤럴드 로고.svg|width=5%]] || || [youtube(xRnBzoktK-E, width=700)] || || {{{#000000 2020년 인터뷰 영상}}} || 디시인사이드 [[사원(직위)|사원]]으로서 [[본명]]이 알려진 이들은 이하의 [[네임드]] 운영자들이다. * 현직 * [[김유식]](유식대장): 설립자 겸 대표이사[* 단, 디시인사이드의 최대주주는 아니다. 과거 디시인사이드 우회상장 사태 이후, 디시인사이드가 부채 탕감을 조건으로 매각되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지분은 타 기업인에게로 넘어갔다.] * 박유진(유진낭자): 김유식 대표의 부인. [[디시뉴스]] 기사배열 책임자. == [[/타 커뮤니티와의 관계|타 사이트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디시인사이드/타 커뮤니티와의 관계)] == [[/사건 사고|사건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디시인사이드/사건 사고)] == 해외 접속 == 예전에도 가끔씩 해외 아이피를 차단하는 일이 있었지만, 2016년 9월경부터 '''해외 접속이 수시로 막히고 있다.''' 이 때문에 수많은 해외 유저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디시 측에서는 디도스 공격이 해외 IP로 들어와 해외 IP 전체를 막았다고 밝혔다. PC/모바일 웹, DC 공앱 등 어떤 플랫폼을 쓰더라도 정상적으로는 접속할 수 없었다. 현재는 해외에서 디시를 접속하는 유일한 방법은 프록시를 이용하는 것밖에 없다. 참고로 주요 커뮤니티 사이트들 중에선 [[인벤]]과 함께 해외 접속이 자주 차단되는 사이트다. 덕분에 해외 유저들의 원성이 자자한 상태이다. 2016년 11월 7일 기준 일부 국가에서 해외 IP 차단이 풀렸다가, 2017년 5월 26일 기준으로 여전히 많은 국가에서 PC 버전 웹은 접속이 불가능한 걸로 보이고, 이마저도 수시로 차단과 차단 해제를 반복하고 있는 상황이다.[* 맥 기준 [[Safari]]로는 접속 가능하나 [[크롬(웹 브라우저)|크롬]]으로는 불가능. 윈도우 10 기준 크롬으로도 접속할 수 있다.] 윈도우 8에선 2017년 11월 12~15일 정도까지는 크롬으로 다시 접속할 수 있었으나, 16~17일쯤에 다시 막힌 것이 확인되었다. 윈도우 10 크롬도 2017년 6월 기준 접속 불가-미국 중부 지역. 2019년 1월 5~7일 경 발생한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DOS]] 공격으로 2019년 1월 7~8일부터 약 2주간 해외 전역에 걸쳐 차단을 진행한 것으로 보이며, 2주 차에 잠시 해제된 지역이 있지만, 중국은 1월 23일 현재까지 차단된 지역이 있는 등 지역에 따라 여파가 오래가는 중이다.[* 정확히는 [[가비아]]에서 막은 것으로 보인다.] 풀린 지역도 글쓰기와 댓글 기능이 먹통(모바일)이다가 하루 만에 다시 막혔다. 일부 지역이 1주일 만에 다시 풀렸으나 전술한 기능이 먹통이다. ||<-5> 아프리카 || || 국가명 || 기준일 || PC || 모바일 || 비고 || || [include(틀:국기, 국명=가나)] || || {{{#ff3232 접속불가 }}} || ? || || ||<-5> 유럽 || || 국가명 || 기준일 || PC || 모바일 || 비고 ||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2019.02.13 || {{{#0067a3 접속가능 }}} || {{{#0067a3 접속가능 }}} || || ||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2019.02.13 || {{{#0067a3 접속가능 }}} || {{{#0067a3 접속가능 }}} || ||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 {{{#ff3232 접속불가 }}} || {{{#ff3232 접속불가 }}} || || ||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 2019.02.13 || {{{#0067a3 접속가능 }}} || {{{#0067a3 접속가능 }}} || || || [include(틀:국기, 국명=스웨덴)] || || {{{#0067a3 접속가능 }}} || {{{#0067a3 접속가능 }}} || || || [include(틀:국기, 국명=그리스)] || 2019.01.09 || {{{#ff3232 접속불가 }}} || {{{#ff3232 접속불가 }}} || || || [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 2019/08/10 || {{{#0067a3 접속가능 }}} || {{{#0067a3 접속가능 }}} || || || [include(틀:국기, 국명=스위스)] || 2019.02.15 || {{{#0067a3 접속가능 }}} || {{{#0067a3 접속가능 }}} || || ||<-5> 아메리카 대륙 || || 국가명 || 기준일 || PC || 모바일 || 비고 ||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동부 || 2021.09.26 || {{{#0067a3 접속가능 }}} || {{{#0067a3 접속가능 }}} || [* EDT 12:49 PM, [[보스턴]]] ||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서부 || 2019.02.16 || {{{#0067a3 접속가능 }}} || {{{#ff3232 접속불가 }}} || || ||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 2019.02.25 || {{{#0067a3 접속가능 }}} || {{{#0067a3 접속가능 }}} || [* MT 12:30AM] || || [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 || ? || △ || || || [include(틀:국기, 국명=멕시코)] || 2021.07.17 || {{{#0067a3 접속가능 }}} || {{{#0067a3 접속가능 }}} || [* CDT 18:07, [[멕시코 시티]]] || ||<-5> 아시아 || || 국가명 || 기준일 || PC || 모바일 || 비고 ||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북부 || 2019.06.04 || {{{#0067a3 접속가능 }}} || {{{#ff3232 접속불가 }}} || ||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남부 || 2019.02.15 || {{{#0067a3 접속가능 }}} || {{{#0067a3 접속가능 }}} || ||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2019.02.19 || {{{#0067a3 접속가능 }}} || {{{#0067a3 접속가능 }}} || || ||<-5> 중동 || ||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 || || || {{{#0067a3 접속가능 }}} || || || [include(틀:국기, 국명=아랍에미리트)] || || {{{#0067a3 접속가능 }}} || {{{#ff3232 접속불가 }}} || || ||<-5> 동남아시아 || || 국가명 || 기준일 || PC || 모바일 || 비고 || || [include(틀:국기, 국명=말레이시아)] || || {{{#ff3232 대부분 불가능 }}} || {{{#ff3232 대부분 불가능 }}} || [* 유이하게 [[싱가포르]]와 [[슬랑오르]]만 접속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는 디시인사이드, 그리고 디시위키까지도 접속이 불가능하다.] || || [include(틀:국기, 국명=싱가포르)] || || {{{#0067a3 접속가능 }}} || {{{#0067a3 접속가능 }}} || || || [include(틀:국기, 국명=태국)] || 2019.12.23 || {{{#ff3232 접속불가 }}} || {{{#0067a3 접속가능 }}} || || || [include(틀:국기, 국명=필리핀)] || 2019.02.10 || {{{#ff3232 접속불가 }}} || {{{#ff3232 접속불가 }}} || || || [include(틀:국기, 국명=베트남)] || 2019.01.19 || {{{#ff3232 접속불가 }}} || {{{#ff3232 접속불가 }}} || || || [include(틀:국기, 국명=미얀마)] || || {{{#ff3232 접속불가 }}} || ? || || == 기타 == * [[김유식]]의 디시 아이디는 di01이다. 갤로그는 없다고 나오지만, 자신이 매니저로 있는 [[마이너 갤러리]]에서 부매니저 임명란에 아이디 di01을 넣어보면 알 수 있다. 또한, 김유식 본인이 작성한 댓글은 닉네임이 굵은 글자로 표기되며 닉네임을 클릭해도 갤로그 보기나 작성글 검색 메뉴가 열리지 않는다. [[파일:T3zAsR3.jpg|width=50%]] * 김유식에게 [[만두조공]]을 바치면 갤러리 개설 신청 게시판을 이용하는 것보다 훨씬 수월하게 원하는 갤러리를 신설할 수 있었다. 이젠 [[마이너 갤러리]]가 생기면서 옛말이 되었다. * [[https://m.dcinside.com/board/maplestory?boardtype=I|모바일]][[https://gall.dcinside.com/board/lists/?id=maplestory&board_type=album|PC]] 모바일은 ?boardtype=I(대문자 I) PC는 &board_type=album을 추가하면 내용을 미리 볼 수 있다. * 망했거나 [[글리젠]]율이 별로 없는 갤러리라도 폐지되지는 않고 [[마의 삼각형]]으로 사라질 뿐이다. 하지만 드물게도 [[이외수 갤러리]] 등 아예 폐지되는 갤러리도 있었다. * 2018년까지는 로그인/회원가입 등을 제외하고는 [[HTTPS]]를 지원하지 않았다. 갤러리 화면에서 http://를 https://로 고치면 접속이 되기는 했지만, 스크립트 및 [[CSS]], 이미지 등이 전부 http://로 링크되어 있어서 레이아웃이 깨지는 등 정상적인 사용이 불가능했다. 2019년 현재 이 문제는 완전히 해결되었으며 아예 HTTPS 접속이 기본이 되었다. * 디시인사이드 직원들은 디시를 '''안정적이고 칼퇴근 가능하지만 미래가 없는 기업'''이라고 평가했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inglebungle1472&no=721164&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EA.B7.BC.EB.AC.B4.ED.99.98.EA.B2.BD&page=1|#]] 심지어 김유식 대표를 디스하는 리뷰도 버젓이 존재하는걸 보면 그야말로 평범한 한국의 중소기업 IT회사. * 올렸던 글을 싹 지우고 싶을 땐 [[디시 클리너]]를 사용하면 됐었다. 2021년 현재는 사용할 수 없다. * 한때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도 제공한 적이 있었다. * 비밀번호를 5회 연속 입력 실패 시에는 5회 틀린 시점으로부터 24시간이 지난 후에 로그인이 가능하다. * 서버 문제로 인해 [[archive.is]] 백업이 안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디도스 공격을 당할 때는 분석 초기에 서버 문제로 인해 아카이브 뜨는 게 아예 불가능하다고 뜬다. * 디시 공앱에서 뜨는 광고를 막기 위해 [[AdGuard]]를 사용하면 글 확인이나 댓글 쓰기가 매우 느려져 사용에 심각한 제한이 발생한다. 이는 화이트리스트 추가로 해결이 가능하다. * 디시인사이드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식/비공식 앱과 프로그램이 있다. 자세한 것은 [[디시인사이드/소프트웨어]] 문서로. * 2008년 하반기부터 2014년 초까지는 갤러리 화면 상단에 있는 'OOO 갤러리'라는 배너를 [[어도비 플래시|플래시]]로 띄웠다. 2008년 상반기까지는 이미지를 사용했으나, 갤러리 수가 많아지면서 배너를 일일이 제작하기가 힘들어지다 보니 플래시로 대체한 것이다.[* 다만 [[완성형]]에 없는 글자는 표시할 수 없었는지 일부 갤러리(주로 [[아햏햏]]과 관련된 갤러리)는 별도의 이미지 배너를 제작했다.] 관리자 설정에서 표시될 갤러리 이름을 설정할 수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과거 [[(구)주식 갤러리]]처럼 [[김유식]]이 배너에 장난을 쳐놓거나(...) 아니면 해킹으로 배너가 바꿔치기당하는 경우[*예시 [[파일:0H71bva.png]]]도 있었다. 그러나 2014년 [[구글 크롬]]이 패치되면서 '중요하지 않은' 플래시를 알아서 차단하는 기능이 도입되었으며, 이 때문에 디시 배너도 차단당해서 재생 버튼이 뜨는 현상이 발생하자 결국 HTML 기반으로 바꿨다. 사실 그 이전에도 [[macOS]]나 [[Linux|리눅스]] 사용자들이 플래시 좀 없애달라고 항의했지만 무시당했다. * 다소 뜬금없지만, 하마터면 대명 [[비발디파크]](정확히는 대명소노시즌)와 얽힐 뻔했다. 건설사 IC코퍼레이션을 인수하여 우회상장을 시도한 전력 때문인데, IC코퍼레이션은 이 여파로 끝내 망하고 만다. 디시가 먹으려 했던 IC코퍼레이션은 학산건설(대명그룹 인수 당시 HS홀딩스)을 모태로 하여 나온 회사였다. 그러나 대명그룹은 우회상장에 성공했지만, 디시는 우회상장에 실패했다. 만약 디시도 우회상장에 성공했다면 비록 지분 관계는 없을지라도 대명그룹과 디시는 역사적으로는 같은 뿌리를 갖게 되었을 것이다. * 웹개발에 [[PHP]]를 사용하는데 개발자들 사이에서 오래된 언어라 기피하는 언어다 보니 가끔씩 오류가 날때마다 php 때문이라고 까는 현직 개발자 디시 유저들이 있다. * [[호주]] [[빅토리아주]]에 있는 학교들에서 제공하는 학생용 교내 인터넷으로 디시인사이드에 접속하면 유해사이트라고 차단되어 있다. --호주 유학생이 글 썼나 보다.-- == 관련 문서 == * [[김유식]] *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 [[디시인사이드 vs. 타 커뮤니티]] * [[디시위키]] * [[유동닉]], [[고정닉]], [[디시인사이드의 고정닉]] * [[디시인사이드 정모 관련 괴담]][* 도시전설의 일종.] * [[인터넷 커뮤니티]] [[분류:디시인사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