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드림 팝]] [Include(틀:록 음악의 역사)] ||<-2> '''드림 팝의 대표곡들'''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mFFTkjs-O0,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KnYw4EwYGc,height=200)]}}} || || <[[Pictures of You]]>[br][[더 큐어]], 1989 || [br][[콕토 트윈즈]], 199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foWlmEwFhQ,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mKY6TZEyrI,height=200)]}}} || || [br][[마이 블러디 발렌타인]], 1990 || [br][[매지 스타]], 199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8iyHpJtylg,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L64BcCRDAE,height=200)]}}} || || [br][[요 라 텡고]], 1997 || <[[Svefn-g-englar]]>[br][[시규어 로스]], 1999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bWBRnDK_AE,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uvWc3ToDHg,height=200)]}}} || || <[[Nude(노래)|Nude]]>[br][[라디오헤드]], 2008 || [br][[비치 하우스]], 2012 || }}}}}} || ||<-2><#000> '''{{{+1 드림 팝}}}[br]Dream pop''' || ||<|2> '''기원''' ||^^'''장르'''^^ [[얼터너티브 록]], [[네오 사이키델리아]], [[고딕 록]], [[인디 음악]] || ||^^'''지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영국]] || || '''등장 시기''' ||[[1960년대]] - [[1980년대]] || || '''파생 장르''' ||[[슈게이징]], [[칠웨이브]] || || '''퓨전 장르''' ||[[앰비언트|앰비언트 팝]] || || '''관련 장르''' ||[[인디 팝]], [[사이키델릭 팝]] || [목차][clearfix] == 개요 == '''드림 팝(Dream Pop)'''은 1980년대에 등장한 [[얼터너티브 록]]과 [[네오 사이키델리아]]의 하위 장르이다. 대부분의 록 음악 하위 장르가 그렇듯 1960년대에 그 뿌리를 둔다. [[필 스펙터]]의 음향 실험과 [[비틀즈]], [[비치 보이스]]와 같은 [[사이키델릭 팝]] 음악은 드림 팝의 탄생에 큰 기여를 했다. 동시기의 [[벨벳 언더그라운드]]에게는 사운드 텍스처와 비정형적인 곡의 구조라는 측면에서 영향을 받았다. 이후 70년대 후반~80년대 초반이 되어 [[포스트 펑크]]와 [[고딕 록]]의 시대가 되자 서서히 드림 팝의 구조가 정립되기 시작한다. 이들의 독특한 분위기와 [[신디사이저]]를 활용한 음색은 드림 팝의 기초가 되었다. 그리고 드림 팝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밴드가 등장하니, 바로 '''[[콕토 트윈즈]]'''였다. 이들의 웅웅거리는 기타 소리와 [[세이렌]]으로 비유되는 보컬 엘리자베스 프레이저의 아름다운 목소리는 전에 없던 신선한 음악이었고, 꿈결 같은 음악이라는 의미로 '드림 팝'이라는 용어로 불리게 된다. 이후 [[피쉬만즈]], [[스페이스맨 3]], [[에코 앤 더 버니멘]] 등 이와 비슷한 스타일을 추구하는 밴드가 여럿 등장했으며 [[4AD]] 같은 드림 팝을 전문으로 하는 레이블 또한 등장했다. 이후로도 주로 [[인디 음악]]에서 드림 팝을 기반으로 하는 아티스트들이 현재까지 꾸준히 등장하고 있다. 이런 몽환적인 분위기를 가진 록 음악이라는 드림 팝의 특징은 직후의 [[슈게이징]]으로 이어졌으며, 후대의 [[칠웨이브]]와 [[퓨처 베이스]]의 탄생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 특징 == 드림 팝은 [[록 음악]]에 기반했지만 록의 강력한 사운드와는 거리가 멀고, 멜로디나 리프 못지않게 음향의 질감과 분위기에 의해 스타일이 정해진다. 이름처럼 마치 [[꿈]]을 꾸는 듯한 몽롱하고 신비로운 분위기를 조성하고, 보컬은 몽환적이고 아름다운 음색의 창법을 구사한다. 작곡에서는 팝적인 멜로디를 추구하며 가사 면에서는 내향적이고 추상적인 표현을 주로 사용한다. [[앰비언트]]와 [[미니멀리즘]]에 영향받아 공간감 있고 반복적인 사운드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비슷한 시기에 등장한 [[슈게이징]]과는 음악적 지향, 분위기와 사운드 텍스처에 대한 집착 등 관련이 깊으나, 특히 [[기타]] [[노이즈]]의 사용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드림 팝이 비교적 차분한 음향으로 몽롱한 분위기를 조성한다면, 슈게이징은 노이즈를 적극적으로 사용해 분위기를 조성한다. 이로 인해 슈게이징은 드림 팝에 비해 훨씬 더 락킹하고 시끄러운 편이다. --[[My Bloody Valentine]]과 [[콕토 트윈스]]를 비교하여 들어보면 감이 어드정도는 잡힐 것이다.-- 의외로 해외에도 많이 있는 오해가 드림 팝이 그냥 몽환적인 팝이라는 뜻이겠거니 생각하고 몽환적인 분위기의 일렉트로팝이나 신스팝, 트립 합 등을 드림 팝으로 분류하는 것인데, 드림 팝은 엄연히 록의 하위 장르이며 특징적인 사운드가 있다. == 주요 음악가들 == * [[ADOY]] * '''[[Cigarettes After Sex]]''' * '''DIIV''' * '''[[The Marias]]''' * Hope Sandoval & the Warm Inventions * '''[[갤럭시 500]]''' * '''[[Alvvays|올웨이즈]]''' * '''[[요 라 텡고]]''' * '''도브스''' * '''[[라나 델 레이]]''' * '''[[로우(밴드)|로우]]''' * '''[[呼吸|릴리 슈슈]]''' * '''[[매지 스타]]''' * [[멘 아이 트러스트]] * '''[[멜로디스 에코 챔버]]''' * '''[[뮤(밴드)|뮤]]''' * '''[[비치 하우스]]''' * '''[[스피리추얼라이즈드]]''' * '''[[슬로우다이브]]'''[* 일반적으로 [[슈게이징]] 밴드로 여겨지지만, 다른 슈게이징 밴드들에 비해 팝적이고 차분한 사운드를 가지고 있어 드림 팝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 '''디스 모탈 코일''' * '''[[스윗 트립]]''' * '''[[콕토 트윈즈]]''' * [[크랜베리스]] * '''[[피쉬만즈]]''' * '''폴라리스'''[* [[피쉬만즈]]의 베이시스트 카시와바라 유즈루를 주축으로 만들어진 밴드] * [[M83]] * [[빌리 아일리시]] * [[더 위켄드]][* 생뚱맞게 알앤비 뮤지션으로 분류되는 아티스트라 의아할 수 있는데 위켄드는 [[Trilogy]]로 대표되는 드림 팝을 중심으로 알앤비 외적인 음악 장르들을 주 소스로 가져와 [[얼터너티브 알앤비]]라는 고유의 씬을 만들다시피한 음악적 업적이 존재한다. 즉, 넓게 보면 위켄드도 드림 팝 뮤지션이라고 볼 수 있다. 트릴로지 뿐만 아니라 비교적 최근작인 [[After Hours]]에서도 특유의 몽롱하면서도 사운드 위주로 점차 퍼져나가는듯한 연출이 많아 마치 드림 팝을 연상시되는 트랙들이 많다.] == 관련 문서 == * [[피치포크 선정 30대 드림 팝 앨범]] == 외부 링크 == * [[https://en.wikipedia.org/wiki/Dream_pop#List_of_art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