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전사족]][[분류:유희왕/OCG/싱크로 소환]] [[유희왕]]의 상급 싱크로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워리어(유희왕))] [목차] == 설명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387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싱크로=, 한글판명칭=드릴 워리어, 일어판명칭=ドリル・ウォリアー, 영어판명칭=Drill Warrior, 속성=땅, 레벨=6, 공격력=2400, 수비력=2000, 종족=전사족, 소재="드릴 싱크론"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1턴에 1번\, 자신의 메인 페이즈시에 이 카드의 공격력을 절반으로 하고\, 이 턴에 이 카드는 상대 플레이어에게 직접 공격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의 메인 페이즈시에 1번만 패를 1장 버리고 이 카드를 게임에서 제외할 수 있다. 다음 자신의 스텐바이 페이즈시\, 이 카드의 효과로 제외한 이 카드를 자신 필드 위에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하나된 힘이 대지를 꿰뚫는 창이 되니! 밝은 빛의 길이 되어라! 싱크로 소환! 꿰뚫어라! 드릴 워리어!(集いし力が大地を貫く槍となる. 光差す道となれ! シンクロ召喚! 砕け, ドリル・ウォリアー!)"''' >---- >'''"하나 된 힘이 대지를 뒤흔드는 창이 된다! 밝은 빛의 힘이 돼라! 싱크로 소환! 깨어나라! 드릴 워리어!"''' - 한국판[* [[유희왕 듀얼링크스]]에 수록된 버전인데, '밝은 빛의 길'이 아니라 '밝은 빛의 힘'인 점이 특이. 아무래도 대사 앞부분에 '힘'이라는 단어도 있어서 헷갈린 듯하다. 일본판은 평소와 같이 '밝은 빛의 길'이다.] [[유희왕 5D's]]의 [[후도 유세이]]가 사용. 전용 튜너 [[드릴 싱크론]]과 함께 [[절대적인 힘]]에서 등장. 공격력을 절반으로 하는 카드들이 엔드 페이즈까지인 것에 반해, 공격력을 한번 반으로 줄이면 되돌릴 수 없는 대신 제외하고 돌아오는 것으로 공격력을 되돌리는 특이한 몬스터. 메인 페이즈에 패 1장을 버려서 이 카드를 제외하는 능력이 있는데, 복귀하는데 시간이 좀 걸리기는 하지만, 복귀할때 묘지에서 몬스터 1장을 패에 넣으므로 큰 손해는 아니다. 오히려 이걸 이용해 필요없는 패를 버리고, 묘지의 원하는 몬스터를 패에 넣을 수 있다. 제외했다가 특수 소환될때, 특수 소환 후 카드를 묘지에서 회수하는 것까지가 효과로 처리되어 발동 시 효과를 막지 않는다면 필드에 돌아올 때 체인에 걸리지 않는다. 전체적으로 상대 턴에는 제외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생존율이 매우 높다. [[차원 유폐]]나 [[썬더 브레이크(유희왕)|썬더 브레이크]] 같은게 아니라면 잡아내기가 매우 힘들다. 물론 대신에 상대 턴에는 플레이어를 지키지 못하고 방어가 허술해지는게 흠이지만 [[퀵댄디]] 덱 에서라면 [[댄디라이언]]을 버리거나 [[레벨 스틸러]], [[저승사자 고즈]], [[속공의 허수아비]]를 방패로 세워서 이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패를 버리는 것은 코스트가 아닌 효과다. 따라서 [[암흑계]]나 [[마굉신]], [[강제 접수]]와 연계가 가능. [[인조인간(유희왕)|인조인간-사이코 리터너-]], [[안개 골짜기의 유괴조]] 같은 임의 효과도 타이밍을 놓치지 않는다. [[암흑계의 용신 그라파]]를 버리고 회수해서 쓰면 매턴 필드 어드밴티지(이하 어드밴티지)+1을 얻을 수 있다. [[크로스 포터]], [[암흑계|암흑계의 사냥꾼 브라우]], [[암흑계의 술사 스노우]]를 버리거나 [[심연의 암살자]]를 버리고 무덤의 리버스 몬스터를 회수하면 매턴 패 어드밴티지+1을 얻을 수 있다. 회수하는 리버스 몬스터가 [[라이트로드 헌터 라이코]], [[암흑의 가면]]이라면 추가 어드밴티지를 얻는 것도 가능. [[라이트로드 헌터 라이코]]는 묘지 자원을 늘려주기 때문에 선택지를 늘려주는 시너지가 있고, [[심연의 암살자]]는 [[퀵 싱크론]]으로 버려도 효과가 발동한다. 암흑계의 사냥꾼 브라우는 그라파와 함께 투입해 볼 수 있다. 아예 자체 특수 소환이 가능한 암흑계(예를 들어 골드)와 그라파까지 본격 투입해서 골드를 버리고 그라파 특수 소환, 그라파가 필드에 유지되는 한 브라우로 패 어드밴티지 벌기 같은 형식으로 필드 유지와 패 어드밴티지를 동시에 벌어나갈 수도 있겠다. 매턴 [[댄디라이언]]을 버리고 회수해서 필드에 몬스터를 유지할 수 있으며, 매턴 제외함으로써 [[영혼 흡수(유희왕)|영혼 흡수]]의 효과를 수수하게나마 계속 쓸 수 있다. 이 카드가 필드에 있는 상태에서 패가 2장 이상이고 그 중 1장이 [[속공의 허수아비]]라면, 간단한 무한 루프를 만들 수 있다. >1. 드릴 워리어의 효과로 패 1장(속공의 허수아비를 제외한 어떠한 카드라도 무방)을 버리고 드릴 워리어를 제외. >2. 상대 턴에 상대 공격을 속공의 허수아비로 방어. >3. 다시 턴이 넘어가 드로우.(패 1장 추가) >4. 드릴 워리어가 소환될 때 속공의 허수아비를 가져온다. >5. 1로 되돌아간다. 또한 [[링크 소환]]의 공개로 [[슈팅 퀘이사 드래곤]]등의 액셀 싱크로 몬스터들의 위상이 낮아졌을 때 이 카드가 조금 재조명 받고 있다. 링크 소환은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되는 몬스터의 소환 필드를 제한시키는 것인데, 드릴 워리어는 엑스트라 몬스터 존에 싱크로 소환 후 제외 효과를 쓰면 자신 효과로 메인 몬스터 존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약점은 상대 턴에 소환되는 [[대천사 크리스티아]], [[파실 다이나 파키케팔로]]나 [[왕궁의 탄압]](되돌아오는 것이 특수 소환 취급이라 요격당한다.), 필드에서 제외하려는 순간 날아오는 [[썬더 브레이크(유희왕)|썬더 브레이크]], [[갓버드 어택]], [[초융합]], 들어올 때도 발동 가능한 [[천벌(유희왕)|천벌]], 공격시에 날아오는 공격 반응 함정류, [[왕궁의 철벽]] 등. 위에 적은 [[암흑계]] 혹은 [[심연의 암살자]]콤보를 쓰면 패 어드밴티지를 벌기는 쉬운 편이기 때문에, 썬더 브레이크나 천벌을 제외하면 대체로 썬더 브레이크로 대응 가능 (나중에 [[암흑의 가면]]으로 회수할 수도 있다.) 공격력을 절반으로 줄여 직접 공격 효과를 쓴 후에는 공격력이 원래대로 돌아오지 않기 때문에 공격력을 원래대로 되돌리고 싶으면 좋든 싫든 제외 효과를 써야한다.[* 효과로 직접 공격을 할 때, 데미지 스텝에 [[금지된 성배]]로 효과를 무효화하면 [[지박신|2800 짜리 직접 공격]]이 된다. 다만 그 턴에는 제외 불가능.] 이 카드의 최대의 천적은 다름아닌 '''[[왕가의 골짜기-네크로밸리]]'''. 제외 효과 쓰고 돌아오는 타이밍에 이게 만약 떠있으면 특수 소환 후 '''묘지의''' 카드 1장 가져오는 효과가 걸리기 때문에 '''특수 소환 효과까지 덩달아 무효화되어''' 영영 못 돌아온다. 또 다른 천적은 '''[[PSY프레임로드 Ω]]'''. 일단 공격력부터 밀려서 단독으로 절대 못 잡고 제외 효과를 쓰자니 오메가의 효과로 제외 존에서 요격당해 묘지로 되돌아가 못 돌아온다. 공격명은 '''드릴 랜서(Drill Lancer)'''. 직접 공격 효과명은 '''드릴 슛(Drill Shoot)'''. [[유희왕 5D's]]의 5기 오프닝에선 [[후도 유세이]]가 5장의 몬스터를 소환하는데, 이 때 나오는 몬스터는 [[정크 워리어]], [[니트로 워리어]], [[터보 워리어]], [[로드 워리어]], '''[[정크 디스트로이어]]'''이다. 정크는 이미 정크 워리어가 있음에도 워리어에 들어간 정크 디스트로이어 때문에 참으로 억울할거 같다. [[파일:external/livedoor.4.blogimg.jp/70768ba0.jpg]] 참고로 이 카드와 드릴 싱크론은 하루키 코우타 군이 그린 일러스트가 몬스터 디자인 콘테스트에서 입상한 카드라 한다. 원안을 보면 대놓고 [[그렌라간]]을 연상시키는 디자인이다. == 관련 카드 == === [[드릴 싱크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