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분류:드래곤물]] [include(틀:다른 뜻1, from=드래곤족, other1=유희왕 러시 듀얼의 드래곤족, rd1=유희왕 러시 듀얼/종족, anchor1=드래곤족, other2=라이브온 카드리버에서의 드래곤족, rd2=드래곤족(라이브온 카드리버))] [include(틀:유희왕/OCG/종족)] ||<#fff> [[파일:external/www.toretoku.jp/156191jst.jpg|width=100%]] || || ['''드래곤족'''/일반] 카테고리를 가진 [[푸른 눈의 백룡]].||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Type-Dragon-LOD2.png]]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ドラゴン[ruby(族, ruby=ぞく)]'''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드래곤족'''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Dragon'''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에 등장하는 종족. [[유희왕 마스터 듀얼]] 아이콘은 [[암흑의 드래곤왕]]이다. == 특징 == 이름 그대로 [[드래곤]] 및 [[용]]을 모티브로 하고 있는 종족. 모티브가 일부 겹치는 종족으로는 [[해룡족]], [[환룡족]] 등이 있다. [[작고]]한 [[유희왕]]의 작가 [[타카하시 카즈키]]가 [[용덕후]]였던지라 유희왕 최고의 대우를 받는 대표적인 종족이다. OCG에서 정확히 10,000번째가 되는 기념 카드가 [[텐사우전드 드래곤]]이며, 그 외에도 엄청나게 많은 카드들이 존재하며,[* 약 1,000장 이상의 드래곤족 몬스터가 있다고 한다.] [[해룡족]]과 [[환룡족]]은 드래곤족에서 파생된 종족이다. 카드의 수는 물론이고, 전반적인 종족 지원 카드들의 성능도 뛰어난 편이다.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 [[정룡]], [[수호룡(유희왕)|수호룡]]''' 등 티어권에 이름을 남긴 강력한 드래곤족 지원 카드들이 많아 "드래곤족이 벼슬이다" "드래곤족은 테마 단위로 사용 하는 카드가 아니라 종족 단위로 사용하는 카드다"[* 이는 사이버스족 또한 사이버스 향우회 소리를 들을 정도로 종족 단위 테마 구성이 자주 보이며, 공룡족은 또한 그렇다.] 라는 평을 들을 정도로 OCG에서 대우가 좋은 종족이다. 이때문에 드래곤족은 범용 서포트 카드들로만 구성해도 한 덱처럼 자연스럽게 시너지가 나며, 이 장점을 극대화한 [[굿 스터프]]덱이 바로 [[드래곤 링크(유희왕)|드래곤 링크]]다. 편애는 애니메이션에서도 다를 바가 없어서, 모든 애니메이션 시리즈 주역의 카드가 커버 카드를 차지하는 OCG 11기의 커버 카드는 대부분이 드래곤족이거나 드래곤족과 관련이 있는 몬스터다. 유희왕 OCG 최고의 공격력인 5000의 몬스터가 4장이나 존재하는 최고 공격력 최다 보유 종족이다. [[F·G·D]], [[L·G·D]], [[Sin 트루스 드래곤]], [[궁극룡 기사]]가 나란히 공격력 5000으로 공동 1위이며, 이들은 수비력도 똑같이 5000으로 최상의 스텟을 자랑한다. 그 외에도 온갖 기록을 독점하고 있는데, [[일반 몬스터]] 중 공격력 1위는 [[푸른 눈의 백룡]]이 출시 이래 지금까지 그 자리를 지키고 있으며, 푸른 눈의 백룡의 융합체인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도 여전히 효과가 없는 융합 몬스터 중 공격력 1위이다. [[카디언-오광-]]이 나오기 전까진 [[슈팅 퀘이사 드래곤]]과 [[세이비어 데먼 드래곤]], [[Sin 패러독스 드래곤]]이 싱크로 몬스터 공격력 공동 1위였을 정도로 공격력으로는 최강의 종족이다. 물론 단순 공격력만 높은 게 아니라 드래곤족을 대표하는 카드인 [[푸른 눈의 백룡]]과 [[붉은 눈의 흑룡]]은 유희왕을 잘 모르는 사람도 한 번쯤은 들어봤을 만큼 유명하며, 유희왕의 한 시대를 풍미했던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이나 [[정룡]], [[수호룡(유희왕)|수호룡]], [[에라타]]되기 전까지만 해도 개발자가 잘못 만든 사기 카드라는 소리를 들었던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같이 흉악한 성능을 자랑하는 카드들도 많다. [[싱크로 몬스터]]의 종족 중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룰상 레벨 12로 취급하지만 [[얼티마야 촐킨|레벨 0]] 몬스터가 최초로 나온 것[* [[FNo.0 미래황 호프|랭크 0]]은 전사족에서 처음 등장했다. 이쪽은 룰상 랭크 1 취급.]도 드래곤족. 유희왕의 여느 종족이 다 그렇듯이 모습과 이름이 용(또는 드래곤)이라고 해서 [[https://twitter.com/siroriyu59/status/1385225655860699138|전부 드래곤족은]] [[https://m.dcinside.com/board/masterduel/645802|아니다]]. [[사이버 드래곤]] 계열 몬스터,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버서크 데드 드래곤]], [[파이어월 드래곤]] 등. 게다가 드래곤족 뿐만 아니라 드래곤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들까지 지원하는 카드도 없다. 만약 나온다면 "드래곤족 및 드래곤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라는 효과가 나와야 할 법 하다. == 소속 카드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모르파지 이리튬.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장성룡 이살웨폰.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볼카이저 라기어.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간드라X.png|width=100%]]}}} || || '''[[아모르파지|{{{#FFE35A 아모르파지}}}]]'''[br]{{{-2 예시 : [[아모르파지#아모르파지 이리튬|{{{#FFE35A 아모르파지 이리튬}}}]]}}} || '''[[이살웨폰|{{{#FFE35A 이살웨폰}}}]]'''[br]{{{-2 예시 : [[이살웨폰#마장성룡 이살웨폰|{{{#FFE35A 마장성룡 이살웨폰}}}]]}}} || '''[[에볼|{{{#FFE35A 에볼카이저}}}]]'''[br]{{{-2 예시 : [[에볼카이저 라기어|{{{#FFE35A 에볼카이저 라기어}}}]]}}} || '''[[간드라|{{{#FFE35A 간드라}}}]]'''[br]{{{-2 예시 : [[파멸룡 간드라X|{{{#FFE35A 파멸룡 간드라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갤아포.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궁극보옥신.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슈팅 세이비어.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성각천룡.png|width=100%]]}}} || || '''[[갤럭시아이즈|{{{#FFE35A 갤럭시아이즈}}}]]'''[br]{{{-2 예시 :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FFE35A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 '''[[궁극보옥신|{{{#FFE35A 궁극보옥신}}}]]'''[br]{{{-2 예시 :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드래곤|{{{#FFE35A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드래곤}}}]]}}} || '''[[세이비어(유희왕)|{{{#FFE35A 세이비어}}}]]'''[br]{{{-2 예시 : [[슈팅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FFE35A 슈팅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 || '''[[성각|{{{#FFE35A 성각}}}]]'''[br]{{{-2 예시 : [[성각#성각천룡-에네아드|{{{#FFE35A 성각천룡-에네아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일러.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 일러.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 일러.jpg|width=100%]]}}} || || '''[[오드아이즈|{{{#FFE35A 오드아이즈}}}]]'''[br]{{{-2 예시 :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FFE35A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 '''[[리벨리온(유희왕)|{{{#FFE35A 리벨리온}}}]]'''[br]{{{-2 예시 :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FFE35A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 || '''[[클리어윙|{{{#FFE35A 클리어윙}}}]]'''[br]{{{-2 예시 : [[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FFE35A 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 || '''[[스타브 베놈|{{{#FFE35A 스타브 베놈}}}]]'''[br]{{{-2 예시 :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FFE35A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렛 트레이서.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렐로드 2nd일러.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진 궁푸백.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암흑메탈드래곤.jpg|width=100%]]}}} || || '''[[바렛(유희왕/카드군)|{{{#FFE35A 바렛}}}]]'''[br]{{{-2 예시 : [[바렛(유희왕/카드군)#바렛 트레이서|{{{#FFE35A 바렛 트레이서}}}]]}}} || '''[[바렐(유희왕)|{{{#FFE35A 바렐}}}]]'''[br]{{{-2 예시 : [[바렐로드 드래곤|{{{#FFE35A 바렐로드 드래곤}}}]]}}} || '''[[푸른 눈|{{{#FFE35A 푸른 눈}}}]]'''[br]{{{-2 예시 : [[진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FFE35A 진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 || '''[[붉은 눈|{{{#FFE35A 붉은 눈}}}]]'''[br]{{{-2 예시 :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FFE35A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암드 드래곤 썬더 LV10.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호루스의 흑염룡.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허용마왕.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레드 데몬 어비스.png|width=100%]]}}} || || '''[[암드 드래곤|{{{#FFE35A 암드 드래곤}}}]]'''[br]{{{-2 예시 : [[암드 드래곤 썬더 LV10|{{{#FFE35A 암드 드래곤 썬더 LV10}}}]]}}} || '''[[호루스의 흑염룡|{{{#FFE35A 호루스의 흑염룡}}}]]'''[br]{{{-2 예시 : [[호루스의 흑염룡#호루스의 흑염룡 LV8|{{{#FFE35A 호루스의 흑염룡 LV8}}}]]}}} || '''[[용마왕|{{{#FFE35A 용마왕}}}]]'''[br]{{{-2 예시 : [[허용마왕 아모르펙터P|{{{#FFE35A 허용마왕 아모르펙터P}}}]]}}} || '''[[레드 데몬|{{{#FFE35A 레드 데몬}}}]]'''[br]{{{-2 예시 : [[염마룡 레드 데몬 어비스|{{{#FFE35A 염마룡 레드 데몬 어비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블러드 로즈 드래곤.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드래곤메이드 라도리.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더 비스테드 알버 로스 일러.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패왕권룡 다크브룸.png|width=100%]]}}} || || '''[[로즈 드래곤|{{{#FFE35A 로즈 드래곤}}}]]'''[br]{{{-2 예시 : [[블러드 로즈 드래곤|{{{#FFE35A 블러드 로즈 드래곤}}}]]}}} || '''[[드래곤메이드|{{{#FFE35A 드래곤메이드}}}]]'''[br]{{{-2 예시 : [[드래곤메이드 라도리|{{{#FFE35A 드래곤메이드 라도리}}}]]}}} || '''[[비스테드|{{{#FFE35A 비스테드}}}]]'''[br]{{{-2 예시 : [[더 비스테드 알버 로스|{{{#FFE35A 더 비스테드 알버 로스}}}]]}}} || '''[[패왕권룡|{{{#FFE35A 패왕권룡}}}]]'''[br]{{{-2 예시 : [[패왕권룡 다크브룸|{{{#FFE35A 패왕권룡 다크브룸}}}]]}}} || === 시리즈(카드군 미지정) === * [[스페이스 드래곤]] * [[정룡]] * [[수호룡(유희왕)|수호룡]] * [[천만룡]] * [[카오스 드래곤]] * [[듀얼 드래곤]] === 미OCG화 === ==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애니메이션]]에서 == [[타카하시 카즈키|원작자]]로부터 시작된 드래곤족에 대한 우대는 애니메이션이나 코믹스 같은 미디어에서도 이어져서 아예 [[아카바 레이지]]를 제외한 모든 라이벌 캐릭터들은 에이스 몬스터 카드로 드래곤족을 애용했다. 종족 혼합 덱을 사용하는 주역들의 최종 몬스터는 드래곤족인 경우가 많다. [[카이바 세토]]가 [[푸른 눈의 백룡]], [[죠노우치 카츠야]]가 [[붉은 눈의 흑룡]], [[무토우 유우기]]가 [[파괴룡 간드라]]를 사용했으며, GX에서는 [[만죠메 썬더]]가 [[암드 드래곤]], [[요한 안데르센]]이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드래곤]]을 에이스 카드로 사용했다. [[유희왕 5D's]]의 주인공 집단 [[시그너]]의 에이스 몬스터는 모두 드래곤족으로 통일되어 있으며, 궁극의 싱크로 몬스터인 [[슈팅 퀘이사 드래곤]] 역시 드래곤족이다.[* 유일하게 [[루아(유희왕)|루아]]의 경우는 기계족인 [[파워 툴 드래곤]]이 에이스였다가 아포리아와의 듀얼에서 시그너로 각성함과 동시에 드래곤족인 [[라이프 스트림 드래곤]]을 얻는다. 코믹스에서도 주역들의 에이스는 --기계족인 [[기계룡 파워 툴]]을 빼면-- [[듀얼 드래곤]]이라는 드래곤족 몬스터로 역시 통일되었다.] [[유희왕 ZEXAL]]에서도 [[No.17 레비아단 드래곤|최초의 넘버즈]]와 애니메이션 기준 [[No.99 희망황룡 호프드라군|최후의 넘버즈]]가 모두 드래곤족이었고, [[텐조 카이토]]와 [[미자엘]]이 썼던 에이스 몬스터,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갤럭시]][[No.107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아이즈]]들과 [[No.46 신영룡 드래글루온]]은 [[No.100 누메론 드래곤|스토리의 핵심 떡밥]]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그 떡밥도 역시 드래곤족이다. [[유희왕 ARC-V]]에서도 대놓고 스토리의 중심축에 서 있으며, 각 차원의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주]][[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인]][[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공]][[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들]]의 고유 / 펜듈럼 진화체, 그리고 최종 보스인 [[자크(유희왕)|주인공들의 본체]]가 사용하는 드래곤들의 [[패왕룡 즈아크|융합체]]와 [[패왕권룡|그 융합체의 권속]]이 전부 드래곤족이며, 코믹스에서도 [[제네시스 오메가 드래곤]]이라는 카드가 스토리의 중심이 되었다. [[유희왕 VRAINS]]는 스토리의 핵심이 [[사이버스족]] 쪽에 쏠려 있긴 하지만, 이쪽도 [[코가미 료켄|라이벌]]이 드래곤족을 쓴다. 드래곤족을 다루는 여성 캐릭터는 적지 않지만 '''드래곤족 주축의 덱을 쓰는 여성 캐릭터는 전무하다'''는 것 역시 특징.[* 드래곤족을 다루는 여성 캐릭터는 [[유희왕 러시 듀얼]]을 다루는 [[유희왕 고 러시!!]]에서 등장한 [[오도 유아무]]가 최초이다.] 참고로 [[가디언 진론]]은 '''"정말이지, 드래곤 사용자는 죄다 성격이 꽐라여서...."'''라는 시리즈 전체를 관통하는 격언을 남겼다.[* 실제로 바로 아래에 서술된 캐릭터들 이외에도 5D's의 시그너들이나 즈아크의 분신들, 드래곤족은 아니지만 [[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기계 드래곤 테마]]를 사용하는 마루후지 료까지 포함하면 드래곤족 사용자들은 하나같이 기이한 행적을 하나씩은 보유하고 있다.] 드래곤족을 중심적으로 다루는 캐릭터는 다음과 같다. * 사용 캐릭터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카이바 세토]]''' * [[유희왕 R]]: [[카드 프로페서#윌러 미트|윌러 미트]]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만죠메 쥰]],[* 야수족과 기계족 혼합이다.] [[텐죠인 후부키]], [[소라노 다이고]] * [[유희왕 5D's]]: [[패러독스(유희왕)|패러독스]][* 기계족 혼합이다.] * [[유희왕 ZEXAL]]: [[텐조 카이토]], '''[[미자엘]]''', 진론 * [[유희왕 ARC-V]]: [[즈아크]] * [[유희왕 VRAINS]]: '''[[코가미 료켄|리볼버]]''' == [[유희왕 듀얼링크스]] == 원작, 애니, 오프라인 등 유희왕 전체에서 가장 메이저하고 강력한 종족이다 보니 듀링에서도 한때 이름을 날렸었고, 현재도 잊힐 만하면 다시 등장한다. 서포트만 해도 무지막지하게 많이 받았었던 일등급 종족. 드래곤족 전용 서포트 캐릭터들도 많으며, 드래곤족이 커버인 팩도 상당한 지분을 차지한다. 초창기 시점에서는 거기에 드래곤족 전용 싸이크론인 [[스탬핑 크러시]], [[용의 환생]], [[타이란트 윙]] 등의 강력한 카드들을 초반에 얻을 수 있었으며 카이바의 '''발군의 실력'''으로 화력 증가까지 초반부터 이룰 수 있었다. 거기에 [[푸른 눈의 백룡]], [[붉은 눈의 흑룡]]등의 강한 최상급 어태커들도 해금만 해도 얻을 수 있는 등 온갖 지원은 다 받았다. 거기에 드래곤 전용 [[대타 메뚜기]]인 [[코도모 드래곤]]이라는 다른 종족들은 별로 없는 특소 몬스터까지 뿌려졌었다. 흠좀무. 하지만 백룡, 흑룡, 타이란트 드래곤, 궁극룡, 메테오 블랙 드래곤 등의 강력한 용들은 대부분 소환이 매우 어려워서 그리 큰 활약은 못했고 오히려 어둠의 유희의 '어둠의 권능'을 이용한 권능 비트 덱이 더 유행했다. 심지어 듀링 처음 하는 사람들에겐 카이바보다 어둠의 유희를 더 추천하게 되는 웃지 못할 상황이 온다. 그렇게 드래곤들은 빵빵한 지원에 비해 활약이 적었으나 슈퍼 조이 이벤트를 기점으로 이 종족은 '''듀링의 환경을 바꾼 종족'''이 되었다. OCG에서도 붉은 눈덱에는 자주 들어간 붉은 눈 인사이트, 그리고 붉은 눈 스피릿이 등장하면서 [[붉은 눈의 흑룡]]은 갑자기 '''0티어'''가 된다. 그야말로 흑룡의 시대라고 불렸으며 근위 티어 덱들은 있었으나 어떤 덱도 흑룡 덱을 이기지 못하는 상황이 오게 되고 급기야 [[붉은 눈 스피릿]]이 '''준제한'''에 오르기까지 한다. 그렇게 흑룡을 중심으로 한 흑룡 천하는 [[기계천사|파란 악마들]]이 올 때까지 계속되는 상황이 온다. 그러나 GX를 거치며 기계천사에게 자리를 뺏긴 용들은 점점 떨어지더니 랭크에선 아예 보이지 않게 되었다. 간간히 [[히어로(유희왕)|히어로]]와 합세한 [[붉은 눈의 흑인룡]]이나 [[푸른 얼음의 백야룡]]정도가 보이긴 하지만 여전히 강력한 티어 덱들 앞에선 그 드높은 공격력을 써보지도 못하고 밀릴 때가 많다. 그러다 2018년 10월경 싱크로 소환이 듀얼링크스에도 본격 도입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는데, 푸른 눈 카드군이 파란 눈의 호인, 하늘빛 눈의 은룡 등의 싱크로 관련 서포트를 서서히 받았으며, 여기에 [[THE WHITE DRAGON OF LEGEND]] 스트럭처 덱까지 가세하여 폭풍 푸시를 받았다. 그 결과, 로망 덱으로 취급받던 백룡 덱이 티어권에도 얼굴을 내미는 강력한 덱으로 돌아왔다. 소환 전개 문제는 [[코스모브레인]], 마/함 제거 문제는 [[하얀 영룡]], 효과 몬스터 제거 문제는 사이코 에이스 등으로 보완하면서 백룡의 높은 깡타점으로 밀어붙이는 형식. 2019년 5월에 백룡의 인기가 시들기 시작한 시점에 태고의 백석이 나와 태고의 백석을 어떻게든 묻는 형태의 백룡 덱이 1티어로 올라갔으며 같은 5월 달에 흑룡 스트럭처가 나와 흑인룡과 '''[[붉은 눈 융합]]'''이 함께 들어간 붉은 눈 덱이 티어를 입성하게 되었으며 백룡과 흑룡이 나란히 랭겜을 지배하게 되었다. 데스페라도의 출시로 백룡과 흑룡이 함께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고 그중에서도 흑룡은 붉은 눈 융합 특유의 디메리트, 흑인룡의 수동적인 내성 획득 조건 때문에 사장되었으며 단순 비트 위주로 승부하던 백룡도 위기를 맞았다. 그러던 중 2019년 9월 DSOD 월드가 나오면서 [[푸른 눈의 백룡]]을 '''[[푸른 눈의 아백룡]]'''으로 바꾸는 스킬을 가진 [[카이바(DSOD)(유희왕 듀얼링크스)]]가 등장하면서 서서히 푸시가 생기고, 2020년 3월에 [[JUDGEMENT FORCE]]에서 나머지 파란 눈 카드들이 전부 추가되었으며 [[푸른 눈의 정령룡]]이 커버로 등장해 주면서 대폭 강화되었다. 이 팩에서는 라이트로드 카드들의 핵심 카드들과 [[저지먼트 드래곤]]도 출시되어서 활약을 했다. 2020년 1월에 [[DRAGUNITY OVERDRIVE]]가 춣시되면서 드래그니티도 강화되었다. 또한 --종족은 번개족인-- 썬더 드래곤들의 에이스 카드인 [[혼원룡 레비오니아]]가 출시되면서 강력한 모습을 보였다. 푸른 눈도 다시 서서히 내려오면서 사장되던 중 2021년 2월 아백룡이 드디어 실물로 출시되면서 다시 한번 티어권으로 솟아올랐다. 여러모로 오프와 동일하게 여기서도 지원을 자주 받으며 저력이 있는 종족이다. == 서포트 카드 == === 몬스터 카드 === ==== 메인 덱 ==== * [[가면룡]] * [[거신룡 펠그란트]] * [[다크 플레어 드래곤]] * [[데코이 드래곤]] * [[드레드 드래곤]] * [[바렛 싱크론]] * [[바렛(유희왕/카드군)#바렛 칼리버|바렛 칼리버]] * [[백그랜드 드래곤]] *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 * [[비스테드#비스테드 마그나무트|비스테드 마그나무트]] * [[아크브레이브 드래곤]] * [[어썰트와이반]] * [[영묘의 수호자]] * [[윤회룡 삼사라]] * --[[이클립스 와이반]]-- * [[코도모 드래곤]] * [[크리스탈 드래곤(유희왕)|크리스탈 드래곤]] * [[하이버네이션 드래곤]] ==== 엑스트라 덱 ==== * [[갤럭시 스텔스 드래곤]] * [[성각#성각용왕-아툼스|성각용왕-아툼스]] * --[[수호룡(유희왕)#수호룡 아가페인|수호룡 아가페인]]-- * --[[수호룡(유희왕)#수호룡 엘피|수호룡 엘피]]-- * [[수호룡(유희왕)#수호룡 피스티|수호룡 피스티]] * [[천구의 성각인]] * [[No.46 신영룡 드래글루온]] * --[[No.95 갤럭시아이즈 다크매터 드래곤]]-- === 마법 카드 === * [[거룡의 도약]] * [[거신룡의 유적]] * [[드래고닉 택틱스]] * [[드래곤 자각의 선율]] * [[드래곤 부활의 광주]] * [[드래곤 실드]] * [[드래곤메이드#드래곤메이드의 전환|드래곤메이드의 전환]] * [[드래곤의 제왕#드래곤을 부르는 피리|드래곤을 부르는 피리]] * [[종족 장착 마법#드래곤의 보물|드래곤의 보물]] * [[백은의 날개]] * [[부활의 복음]] * [[산(유희왕)|산]] * [[성설의 반짝임]] * [[스탬핑 크러시]] * [[오드아이즈 어드벤트]] * [[오드아이즈 퓨전]] * [[용의 거울]] * [[용의 계곡]] * [[용의 교감]] * [[용의 영묘]] * [[용의 투지]] * [[용황신화]] * [[은룡의 굉포]] * [[조화의 패]] * [[천화의 감옥]] * [[초재생능력(유희왕)|초재생능력]] * [[화룡의 화염탄]] * [[환계돌파]] === 함정 카드 === * [[더블 드래곤 디센트]] * [[드래곤족 봉인항아리]] * [[드래곤즈 바인드]] * [[버스트 브레스]] * [[붕계의 수호룡]] * [[레드 데몬즈 드래곤#스카레드 코쿤|스카레드 코쿤]] * [[정룡#아룡전생|아룡전생]] * [[드래곤의 구슬]] * [[용의 분노(유희왕)|용의 분노]] * [[용의 환생]] * [[용의 혈족]] * [[용혼의 성]] * [[타이란트 윙]] * [[포톤 라이징 스트림]]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종족, version=1388, paragraph=2.4, title2=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종족별 관련 카드, version2=181, paragraph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