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러시 듀얼/일반 마법]] [목차] == 개요 == [[유희왕 러시 듀얼]]의 일반 마법 카드. == 설명 == || [[파일:ドラゴン・トライブ・フュージョン.jpg|width=100%]] || [[파일:ドラゴン・トライブ・フュージョン(S23P).jpg|width=100%]] ||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드래곤 트라이브 퓨전, 일어판명칭=ドラゴン・トライブ・フュージョン, 영어판명칭=Dragon Tribe Fusi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7 이상 / 드래곤족)가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일반 몬스터(드래곤족) 1장과\, 자신 묘지의 몬스터(드래곤족) 1장 이상을 소재로서 주인의 덱으로 되돌리고\, 퓨전 소환한다. 이 턴에\, 자신은 퓨전 몬스터로밖에 공격할 수 없다.)] 드래곤족 몬스터를 퓨전 소재로 하는 퓨전 몬스터 전용 [[퓨전 소환]] 마법 카드. 러시 듀얼 최초로 묘지의 몬스터를 소재로 사용하는 카드로서, 묘지의 드래곤족을 소재로 확보만 해놓으면 소재 지정이 까다로운 퓨전 몬스터를 더 간단히 불러낼 수 있다. 같은 팩에 데뷔한, 소재 5장을 요구하는 [[F·G·D(유희왕 러시 듀얼)|F·G·D]]를 꺼낼 방법은 [[융합(유희왕 러시 듀얼)|융합]] 말고는 이것 뿐이다. 다만 자신 필드에 레벨 7 드래곤족 몬스터, 그리고 묘지에 소재가 될 드래곤족들을 다 갖춰놓아야 하는 수고가 필요하다. 더구나 자신 필드의 드래곤족 일반 몬스터를 꼭 '1장' 포함해야 하며, 이를 조건이 될 몬스터와 별개로 챙겨야 한다면 한 층 더 번거로워진다. 이들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자칫하면 적지 않은 소비가 들어갈 것이고, 결국 이 카드를 쓰는 메리트도 줄어들어 버린다. 가능하면 레벨 7 드래곤족 일반 몬스터를 [[시크릿오더]] 등을 써서 어드밴티지 소모 없이 전개해두는 편이 좋을 듯 하다. '발동 조건'과 '퓨전 소재'가 달라서 헷갈리기 쉬운데, 발동 조건은 '레벨 7 이상인 드래곤족'이면 효과 몬스터여도 성립하지만, 퓨전 소재는 '필드의 앞면 표시인 드래곤족 일반 몬스터'다[* 즉, 제정에 따라 발동 조건과 퓨전 소재를 모두 만족한 필드여야 발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격룡 드라기아스]]는 발동 조건만 만족시키고 퓨전 소재로는 못 쓰지만, 추가로 자신 필드에 [[더☆드래곤]]이 있다면 연격룡으로 드래곤 트라이브 퓨전을 발동시키고 더☆드래곤을 퓨전 소재로 쓸 수 있다. 다른 소재는 여전히 묘지에서 구해야 하지만. 원칙상 소재가 드래곤족이 아닌 경우라면 퓨전 소환이 불가능하지만, 종족 변경 효과를 써준다면 그런 제한은 없어진다. 가령 필드의 [[암흑 기사 가이아(유희왕 러시 듀얼)|암흑 기사 가이아]]를 드래곤족으로 변경할 수 있다면 묘지의 [[커스 오브 드래곤(유희왕 러시 듀얼)|커스 오브 드래곤]]과 함께 [[용기사 가이아(유희왕 러시 듀얼)|용기사 가이아]]를 퓨전 소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유희왕 고 러시!!(코믹스)|유희왕 고 러시!! 코믹스]]에서는 [[더☆루그]]가 [[유디아스 벨갸]]와의 듀얼 중 사용. 필드와 묘지에 있는 [[더☆드라기아스]] 3장을 소재로 [[더☆트리니티 드라기아스타]]를 퓨전 소환했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23-03-0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LGP1-JP024 | '''[[레전드 각성 팩|レジェンド覚醒パッ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23-07-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S23P-JP004 | トーナメントバトル 2023年7月 上位賞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UR)] || ||<(> 2023-06-0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LGP1-KR024 | '''[[레전드 각성 팩]]'''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관련 카드 == === [[퓨전(유희왕 러시 듀얼)|퓨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