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악마성 시리즈]][[분류:1989년 게임보이 게임]][[분류:플랫폼 게임]] [include(틀:악마성 시리즈)] |||||||||| '''발매순''' || || 1988년[br][[악마성 드라큘라(아케이드 게임)|아케이드판]][br]AC || {{{+1 ← }}} || 1989년[br][[드라큘라 전설]]/[[게임보이]][br][[악마성 전설]]/[[패미컴]] || {{{+1 → }}} || 1990년[br][[악마성 스페셜 나는 드라큘라 군]][br][[패미컴]] || |||||||||| '''연도표''' || || 1479년[br][[Castlevania: Curse of Darkness]][br][[PS2]] || {{{+1 ← }}} || 1576년[br][[드라큘라 전설]]/[[게임보이]][br][[드라큘라 전설 ReBirth]]/[[Wii]] || {{{+1 → }}} || 1591년[br][[드라큘라 전설 2]][br][[게임보이]] || ||<:><-2>[[파일:Castlevania_-_The_Adventure_-_(JP)_-_01.pn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북미판 표지 ▼ [[파일:Castlevania_-_The_Adventure_-_(NA)_-_01.jpg|width=100%]]{{{#9a1019 }}}}}}}}}}}} || ||<|2> {{{#ffffff '''타이틀'''}}}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html ドラキュラ伝説}}}'''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html Castlevania: The Adventure}}}''' || ||<|2> {{{#ffffff '''국내명'''}}} ||'''캐슬바니아: 디 어드벤처''' ,,([[한국어 위키백과]]),, || ||'''드라큘라 전설''' ,,(※ 비공식 명칭),, || || {{{#ffffff '''유통 / 퍼블리셔'''}}} ||[[코나미|[[파일:코나미 로고.svg|height=16]]]] || ||<|2> {{{#ffffff '''프로그래머'''}}} ||야마다 요시아키 ,,(山田善朗),, || ||마에가와 마사토 ,,(前川正人),, || ||<|2> {{{#ffffff '''아티스트'''}}} ||나카자토 노부야 ,,(中里伸也),, || ||키무라 코이치 ,,(木村幸一),, || ||<|3> {{{#ffffff '''음악'''}}} ||한자와 노리오 ,,(半沢紀雄),, || ||후나우치 히데히로 ,,(船内秀浩),, || ||후쿠다케 시게루 ,,(福武茂),, || || {{{#ffffff '''플랫폼'''}}} ||[[게임보이|[[파일:게임보이 로고.svg|height=18]]]] || ||<|3> {{{#ffffff '''출시일'''}}}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1989년 10월 27일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1989년 12월 15일|| ||[[PAL]] 1990년 9월 28일 || || {{{#ffffff '''장르'''}}} ||[[액션 어드벤처]], [[플랫폼 게임]] || ||<-2> {{{#ffffff,#ffffff {{{#!folding 타 기종 이식 ▼ ||<|3>
[[닌텐도 3DS|[[파일:닌텐도 3DS 로고.svg|height=10]]]][br],,{{{#000000 ([[버추얼 콘솔]] 지원)}}},, ||{{{#000000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2012년 3월 14일}}} || ||{{{#000000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2012년 10월 25일}}} || ||{{{#000000 [[PAL]] 2012년 7월 5일}}} || || [[플레이스테이션 4|[[파일:PlayStation 4 로고.svg|height=12]]]] {{{#000000 |}}} [[엑스박스 원|[[파일:Xbox One 로고.svg|height=12]]]][br][[Nintendo Switch|[[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height=15]]]] {{{#000000 |}}} [[Steam|[[파일:스팀 로고.svg|height=15]]]][br],,{{{#000000 (애니버서리 컬렉션)}}},, ||{{{#000000 2019년 5월 16일[br],,(◈ 전세계 공통),,}}} ||}}}}}} || [목차] == 개요 == [youtube(rQhKKcg5t2c)] >すべての戦いはここから始まる── >모든 싸움은 여기서부터 시작되었다── 1989년 게임보이(GB)로 첫발매된 휴대용 [[악마성 시리즈]]. 주인공은 [[크리스토퍼 벨몬드]]이며 연도는 1576년. 초대 [[악마성 드라큘라]]의 매뉴얼에 써있던 '영웅 크리스토퍼 벨몬드'와 드라큘라의 싸움을 그린 작품이다. 명작 [[악마성 전설]]과 비슷한 시기에 등장했지만[* 정확히는 두 달 정도 빨리 나왔다. 드라큘라 전설 출시일이 1989년 10월 27일이고, 악마성 전설 출시일은 1989년 12월 22일] 그 완성도는 악마성 전설 쪽과 비교도 안될 정도로 끔찍해서 많은 혹평을 받았다. 휴대용 게임기로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세이브는 고사하고 이 당시 흔하던 패스워드 컨티뉴조차 허락되지 않은, 논스톱 논버라이어티 액션의 결정판.''' 스태프의 악의마저 느껴지는 듯한 악마같은 스테이지 구성에 대체 왜 넣었는지 알 수 없는 채찍 파워 다운그레이드 시스템, 애매한 점프 판정 덕분에 정말 조금이라도 잘못하면 자폭하기 쉬운게임. 자신의 인내력을 테스트해 보기에는 더없이 좋은 [[악마성 시리즈]]이다. 덤으로 캐릭터의 이동속도가 그야말로 '''지독하게 느려서''' 게임의 템포도 상당히 늘어진다. 조금 과장해서 말하면 이 게임을 하고 나면 마리오에서 소닉의 속도감을 느낄 수 있을 정도. 얼마나 처절한지는 [[크리스토퍼 벨몬드]] 문서 참조. 제작자가 게임보이의 성능을 이해하지 못해서 저런 막장 게임이 나오게 되었다는 변명이 있지만... 그렇게 따지면 [[빅 릭스]]나 [[슈퍼맨 64]]도 실드쳐야 한다. ~~그나마 이 작품은 게임보이 초창기라 노하우가 부족하다는 변명으로 칠 수 있겠으나 진짜 망작인 [[악마성 드라큘라 칠흑의 전주곡|칠흑의 전주곡]]은 그런 실드조차 못친다...~~ 악마성 시리즈 최악의 작품으로 흔히 꼽히는 게임 중 하나이지만, 곡만은 당시 코나미 게임답게 뛰어나서 'Battle of the Holy' 같은 명곡들은 팬들에게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 후에 같은 기종으로 나온 후속작 [[드라큘라 전설2]]는 좀 나아져서 [[악마성 시리즈]]에 먹칠은 하지 않는 퀄리티를 보여줬으며, 십수 년 후 [[드라큘라 전설 리버스]]란 제목으로 리메이크되었는데.. 말 그대로 환골탈태. [[AVGN]]에서는 이 게임이 망작임에도 불구하고 리뷰되지 않았다. 4부에 걸쳐 악마성 시리즈를 특집으로 다뤘지만 이 게임을 포함한 휴대용 게임기로 나온 악마성 시리즈 대부분은 리뷰하지 않았다. == 매뉴얼에서 발췌한 게임 정보 == * 아이템에 대해서 '''[[하트(악마성 시리즈)|하트]]''' 라이프 2 메모리 회복. 즉, 2칸. '''시리즈 중 유일하게 하트가 체력회복 구실을 한다.''' '''점멸하는 하트''' 라이프 전부 회복. '''십자가''' 일정 시간동안 크리스토퍼가 점멸. 즉, 무적. '''1UP''' 플레이어 잔기가 1 상승. '''수정''' 채찍의 공격력 상승. '''점멸하는 수정''' 보스 출현. '''코인''' 득점 요소. * 등장 보스 [[파일:external/image.yes24.com/zeld.jpg]] 1 스테이지 보스 젤드. [[파일:external/image.yes24.com/anda_mall.jpg]] 2 스테이지 보스 언더몰. [[파일:external/image.yes24.com/gobans.jpg]] 3 스테이지 보스 고번즈. 파이널 스테이지 보스는 [[드라큘라 블라드 체페슈|드라큘라 블라드 쩨뻬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