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프랑스의 이념)] [include(틀:보수주의)]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드골리즘.jpg|width=100%]]}}} || || {{{+1 '''드골주의'''}}}[br]'''Gaullisme / Gaullism''' || [목차] [clearfix] == 개요 == 드골주의는 [[프랑스]] 전 [[프랑스 대통령|대통령]]인 [[샤를 드 골]]의 정치, 사회, 철학적 [[이데올로기]]를 의미한다. 정치적으로는 [[보나파르트주의]] 전통에 가깝다고 평가받는다. 드골주의의 주된 요소는 [[지도주의]](Dirigisme), [[제노포비아]]에 기반하지 않은 강한 프랑스 [[내셔널리즘]], [[신대통령제]]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 성향 == 정통 드골주의는 대통령 중심주의적인 통치방식을 옹호하며, [[내셔널리즘]]과 [[보수주의]]적 색채를 지니며, 경제적으로는 복지지향적이며 소위 [[지도주의]]라고 불리는 [[경제적 개입주의|국가개입주의]] 성향을 띠고, 문화적으로는 68혁명 이전까지 보수주의를 이루는 근본적 가치관이던 전통보수주의 성향을 띤다. [[보나파르트주의]] 전통의 (공화주의적 형태로의) 계승자라는 말도 있다. 문화적인 부분에서 [[프랑스]]는 [[샤를 드골|드골]]의 프랑스와 [[프랑수아 미테랑|미테랑]]의 프랑스가 있다는 얘기가 있는데, 이 얘기는 드골의 많은 부분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한 부류[* 대부분 [[우파]] [[보수주의]]자들이다. 보수주의자들중에서도 개량 보수주의자들은 소수이고, 정통 보수주의자들이 대부분이다.]있고, 미테랑의 많은 부분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한 부류[* 대부분 [[좌파]] [[사회주의]]자들이다. 사회주의자들 중에서도 정통 사회주의자들은 소수이고, 개량 사회주의자들이 대부분이다. 단, 사회주의자들이 미테랑을 많이 지지했다고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첫 번째 당선 초기까지이다. 미테랑은 경제정책에 있어서는 문외한에 가까웠고, 그랬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주류인 정책을 따라가거나, 보수정당 출신 [[자크 시라크]] 총리에게 내정을 거의 일임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프랑스의 사회주의자들은 미테랑의 사회•문화정책에 대해서는 높게 평가하지만, 나머지정책에 대해서는 대부분 낮게 평가한다.] 있다는 얘기다. [[샤를 드골|드골]]의 사상은 단순 좌우로 구분이 어렵기도 한데, 실제로 드골주의자들 중에 [[사회주의]] 성향을 띄는 좌파 드골주의자도 존재한다. 물론 대부분의 드골주의 정당들은 범 우파 계통으로 분류된다. 정확히 말하면 드골주의의 핵심요소는 [[신대통령제]]라거나 [[독재]]라고까지 할 정도는 아니지만 '[[권위]]를 가진 지도자'를 중심으로 '강력한 [[국가]]'를 지향하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자유-사회적 규범(질서)라는 도식에서 드골주의는 범 우파적인 성격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강한 국가에 의한 개입주의 성향을 가지고 이 통제력을 통한 재분배나 복지에 긍정적인 드골주의의 성격상 경제적 우파의 전형인 [[경제적 자유주의]]와는 상성이 좋지 않다. 따라서 경제적으로 사회주의, 복지 및 재분배 성향이 강하더라도 사회문화적으로는 우파 지향에 긍정적인 드골주의 좌파의 성립이 가능한 것이고, 좌파/우파를 하나의 기준으로 구별하려고 할 경우 드골주의를 어느 쪽에 넣어야 할지 애매해 보일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좌파보단 우파에 가깝다고 평가된다. 드골주의의 경우 복지 문제에 온정적인 입장을 취하는 '''[[가부장적 보수주의]]'''로 분류된다. 다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정통 드골주의에 한정되며, 신드골주의(Neo-Gaullism)자들의 경우는 드골의 [[사상]]을 부분적으로 옹호하면서도 [[경제적 자유주의]]를 수용하며, [[자유보수주의]]를 표방하는 경우도 있다. 좌우구분이 어렵다고 하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사회적 평등'보다는 '사회질서'를 기반으로 대중들을 주로 포섭한 [[이념]]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보수주의]] 이념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다. 좌파주의적 드골주의(leftist Gaullism)는 소수 케이스에 가깝고[* 드골주의 자체가 [[보수주의]]로 간주되기 때문에 우익 드골주의(Rightist Gaullism)라는 표현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일반적 드골주의, 정통 드골주의, 신드골주의 모두 우파 계통으로 간주된다. 이렇게 [[샤를 드골|드골]]의 사상 자체가 양쪽에 걸쳐있기 때문에 드 골을 좋아하는 사람들 뿐만 아니라 드 골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 중에서도 드 골의 몇가지 정책에 대해서는 지지하는 경우를 흔하게 볼 수 있다.[* 또 정책 외적인 부분으로 가면, 역시 [[샤를 드골|드골]]의 대부분의 정책에 동의하지 않지만, 정치인으로서 장황하게 변명하지 않고 분명하게 인정하는 드골의 태도를 좋아하는 사람들도 많다. 이 때문에 드골이 [[프랑스]] 국민이 존경하는 인물 순위 1위에 선정될 수 있었던 것이다.] == 정당 == 당연하지만 전부 [[프랑스]]의 [[정당]]들이다. * 약진하는 프랑스 (Debout la France) * 대중공화연합 (Union Populaire Républicaine) * 시민공화운동 (Mouvement républicain et citoyen): 다만 이쪽은 [[민주사회주의]] 성격을 띄는 좌파 드골주의 정당이다. * [[공화당(프랑스)|공화당]] (Les Républicains): 다만 이쪽은 신드골주의로 분류된다. == 같이 보기 == * [[국민보수주의]] * [[대중주의]] * [[복지국가]] * [[영광의 30년]] * [[프랑스의 핵개발]] * [[페론주의]]: 드골주의와 유사성 때문에 종종 비교되곤 한다. [[보수주의|보수]]적이고 민족주의적이지만 동시에 어느 정도는 민주적인데다가 복지 지향적이며, 대중주의적이라는 측면에서 말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샤를 드골)] [[분류:프랑스의 사상]][[분류:대중주의]][[분류:보수주의/분파]][[분류:가부장적 보수주의]][[분류:프랑스 내셔널리즘]][[분류:공화주의]][[분류:인명으로 된 사상]][[분류:샤를 드골]] ##드골주의가 보수주의는 맞지만 우익포퓰리즘 외에 좌익포퓰리즘의 사례도 있으므로 '우익대중주의'가 아닌 '대중주의' 분류를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