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궤간)] [목차] == 개요 == {{{+3 Dual Gauge}}} [[한국어]]로는 '쌍궤([[雙]][[軌]])'라고도 하며, 북한에서는 ‘혼합선’이라고 한다.[* 가령 표준궤와 광궤의 듀얼게이지인 경우 넓은철길-표준철길혼합선이라고 한다.] [[궤간]]이 다른 철도 노선들을 병행하여 다니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진 방법 중 선로 측에서 대응하는 방법. 반대로 철도차량 측에서 대응하는 방법도 있다. [[궤간가변]] 참조. 특수 설계하지 않은 이상, 한 열차가 다른 궤간의 구간에 들어올 수 없기 때문에 2가지 이상 궤간의 열차가 한 선로 위에서 운행해야 할 경우에 설치한다. 한국에서는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런 구간은 전무하다. 762 mm짜리 [[협궤]]인 [[수인선(협궤)|수인선]], [[수려선]]이 있었지만 수려선은 [[폐선]]되고 수인선은 협궤 운행 당시에도 듀얼 게이지 설치 없이 표준궤인 [[안산선]] 옆에 병행하여 운영되다가 최종적으로 [[표준궤]]로 [[수도권 전철 수인선|개궤되어서]][* 안산선과 병행했던 구간은 수인선 - 안산선의 복복선 구조를 만드는 대신 기존 안산선 구간을 수인선과 공유하는 것으로 처리했다. 그래서 현재 수인선과 안산선이 공유하는 [[오이도역]] - [[한대앞역]] 구간은 기존 안산선을 운행하는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4호선]]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전동차]]와 수인선을 운행하는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수인·분당선 전동차]]가 같이 다닌다.] 주요 간선은 표준궤로 통일된 상황이다. 한반도에서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역]]에서 북한의 [[청진역]]까지 들어오는 선로에 표준궤와 러시아 [[광궤]]가 동시에 설치되어 있다. 러시아 광궤는 1,520mm 인데, 이게 표준궤와 호환이 되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3선으로 놓자니 불과 85 mm밖에 차이가 나지 않아 이것도 불안한 관계로 약간씩 엇갈려서 4선을 설치했다. 위 사진만 보아도 선로가 ABAB 형태로 엊갈려 있음을 색상으로 알아볼 수 있다. [[러시아]]도 그렇게 중요하게 관리하지 않고 있고, [[북한의 철도 환경]]은 열악하므로 [[남북 통일]]이 이루어졌을 때 개량이 시급할 것으로 보인다. 더 복잡한 경우는 3가지 궤간이 한꺼번에 만나는 경우인데, 이런 경우는 트리플 게이지이다. 구글에 triple gauge rail로 이미지 검색해 보면 몇 가지 사례를 볼 수 있다. 보통 3선이나 4선으로 놓는데, 3선의 경우 한쪽을 자연히 많이 사용하게 되므로 마모율이 높아지고, 따라서 더 많은 관리가 필요하다.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의 경우 레일 사이가 좁아 제설이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더불어 [[분기기]] 구조가 복잡해지고 신호기와 보안장비(ATS 및 ATC 지상자 등) 설치 장소를 세심하게 설정해야 하며, [[가공전차선]]을 쓰는 경우 [[팬터그래프]]와 전차선이 비대칭하게 만나는 문제점이 있다. == 듀얼게이지로 지어진 구간 == * [[두만강선]] * [[평라선]] [[청진청년역]]~[[라진역]] [[파일:attachment/Dual_Gauge_Hasan.png]] [[러시아]] [[하산(러시아)|하산]]의 1,520mm [[광궤]]-[[표준궤]] 듀얼게이지. [[북한]]과 인접한 지역이다. * [[하코네 등산철도]] [[이리우다역]]~[[하코네유모토역]]: 현재 오다와라~이리우다 구간의 3선은 철거되었다. [[파일:iriuda-dg.png|width=640]] [[일본]]의 [[하코네 등산철도선]] 구내([[이리우다역]] 근처) * [[케이큐]] [[케이큐 즈시선|즈시선]] [[카나자와핫케이역]]~[[진무지역]]: [[JR 동일본]] 산하의 차량제조업체 종합차량제작소가 표준궤를 쓰는 즈시선 바로 옆에 위치해 있는데, 협궤차량의 입출고를 위해 진무지역까지 듀얼게이지를 설치해놓았다. * [[오우 본선]] [[진구지역]]~[[미네요시카와역]]: [[아키타 신칸센]](표준궤)과 선로를 공유해야 하는 특성 상 복선 철로 중 하나가 듀얼게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나머지 하나는 표준궤 전용) * 스페인 [[AVE]](고속철도)와 기존선 연계구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50px-Huesca_carril.jpg]] [[스페인]]의 광궤(이베리아 궤간 1,668mm)와 [[표준궤]] 듀얼게이지 * [[홋카이도 신칸센]] [[신나카오구니 신호장]]~[[키코나이역]] ([[세이칸 터널]] 포함): 원래는 듀얼게이지가 아니었으나,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을 위해 듀얼게이지를 설치하게 되었다. * 베트남 하이퐁선과 동당선: 동당선은 중국 난닝으로 가는 국제열차의 운행을 위해 듀얼게이지를 설치하였다. [[파일:友谊关镇铁路.png]] [[중국]] [[광시좡족자치구]] 핑샹시 유이진의 [[표준궤]]-[[협궤]] 듀얼게이지. [[베트남]] 국경 부근이다. * 중국 샹구이철도 핑샹 ~ 유이관(湘桂铁路 凭祥 ~ 友谊关) 구간: 베트남 하노이로 가는 국제열차의 운행을 위해 듀얼게이지를 설치하였다. == 관련 문서 == * [[철도 관련 정보]] * [[궤간]] * [[협궤]] * [[표준궤]] * [[광궤]] * [[개궤]] * [[궤간가변]] [[분류: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