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장수풍뎅이)] ||<-2> '''{{{#fff {{{+1 둥글장수풍뎅이}}}[br]Pentodon quadriden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entodon quadridens.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Pentodon quadridens'' '''[br]Gebler, 1844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곤충강(Insect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딱정벌레목(Coleopter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풍뎅이과(Scarabaeidae)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아과'''}}}]] ||장수풍뎅이아과(Dynastin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둥글장수풍뎅이속(''Pentodon'')[* 과거에는 ''Allissonotum'' 속으로 분류되었다.]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둥글장수풍뎅이(''P. quadridens'')''' || [[파일:둥글장수풍뎅이.jpg|width=450]] [목차][clearfix] == 개요 == 장수풍뎅이아과 둥글장수풍뎅이속의 장수풍뎅이로 한국 서해안 주변과 북한,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특징 == 장수풍뎅이아과이지만 [[장수풍뎅이]]와 거의 닮은 데가 없는 장수풍뎅이로 뿔이 없고 전체적으로 둥글둥글해서 꼭 일반 [[풍뎅이]]와 비슷하게 생겼다.[* 사실 뿔이 발달된 장수풍뎅이 종류가 유명해서 그렇지, 장수풍뎅이 종류 중 뿔이 없는 계통도 매우 다양하다.] 한국에 서식하는 장수풍뎅이 중 가장 작으며 가장 희귀한 종류로 이름처럼 전체적으로 둥글둥글 하게 생겼으며 수컷 또한 뿔이 없어 암수가 비슷하게 생겼다.[* 암수 구별은 수컷의 경우, 배 부분이 살짝 파여있는 것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몸길이는 18~22mm로 [[땅굴]]을 파고 생활하며 다른 장수풍뎅이와 다르게 주로 해안가 갯벌 주변, 해안사구, 간척지의 풀 주위에서 살아가며, '띠' 라는 식물을 기주식물로 삼아 살아간다. 불빛에 몰려드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 기타 == [[https://m.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291069368|둥글장수풍뎅이의 혈구 정류와 식균작용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진적이 있는데]] 둥글장수풍뎅이의 유충 혈강내에는 과립혈구세포, 부정형혈구세포, 편도혈구세포, 소구형혈구세포, 원시혈구세포, 지방혈구세포 총 여섯 종류의 혈구세포들이 존재하며, 그중 과립혈구세포가 병원균 침입 시 형태적 변이와 함께 병원균들에 대한 식균작용을 수행하는 면역세포로 관찰 되었다고 한다. [[분류:둥글장수풍뎅이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