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기공룡 둘리)]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gamespot.co.kr/X0ZolBCUms30IpbTdniD.jpg|width=100%]]}}} || || '''{{{#ffffff [[경기도|{{{#ffffff 경기도}}}]] [[부천시|{{{#ffffff 부천시}}}]] [[상동(부천)|{{{#ffffff 상동}}}]][* 당시 [[원미구]] 상동]에 위치한 둘리 광장에 있는 둘리 조형물의 모습.[* 관리가 안 되고 때가 끼어 방치되다 2014년 8월에 철거되었다.] }}}'''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기도]] [[부천시]]에서 조성했던 문화의 거리 사업. [[아기공룡 둘리]]의 주인공 [[둘리]]를 주제로 한 상징물 거리였다. 구 [[도로명주소]]로는 '둘리x길'로 명명되었다가, 2010년 도로명 개정 이후 '상일로94번길' 및 '[[송내대로]]73번길'로 개칭되었다. == 역사 == [[부천시]]는 [[부천국제만화축제]], [[한국만화박물관]] 등을 설치하는 등 시에서 만화에 관한 사업을 적극적으로 진행하며 문화 도시의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둘리의 거리' 사업은 만화 관련 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실제로 둘리는 2003년 부천시 명예 시민으로 등록되는 등 부천시에서는 둘리를 이용한 다양한 홍보 정책을 추진하였다. 둘리의 거리는 2000년 [[중동신도시]] 내에 폭 10m, 거리 300m로 조성되었으며, [[수도권 전철 1호선]] [[송내역]] 북쪽에 위치해 있다. 거리에는 둘리 광장을 비롯 둘리에 관한 각종 상징물이 세워졌다. 또한 둘리 광장에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각종 둘리 행사를 개최할 계획도 세워졌다. 그러나 '''사후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제도적 장치도 마련되지 않았다.''' 결국 둘리의 거리는 성인용품점, 성인 [[PC방]], [[술집]], [[유흥업소]] 등 천진난만한 아이들과는 전혀 거리가 먼 시설들이 잔뜩들어선 유흥가가 된데다가, 유흥가 발달도 송내역에 대한 투자가 미흡하고, [[중동신도시]]의 발달과 송내역 자체가 [[부평역]]과 [[부천역]] 상권의 [[빨대효과]]로 인해, 심하게 타격을 입으면서 인근의 투나[* 구 [[뉴코아]] 중동점. 현재는 건물 절반 이상이 [[유베이스]]라는 [[콜센터]] 아웃소싱 업체가 차지할 정도로 쇼핑몰로서의 기능을 거의 잃어버렸다. 지금은 해체된 프로게임단 [[위메이드 폭스]]의 전신인 SG 패밀리를 후원했던 적이 있다.]와 같이 쇠퇴했다.[* [[역곡역]]의 상권도 역시 [[영등포역]]과 [[부천역]] 상권의 [[빨대효과]]로 인해 쇠락하고 있지만, 역곡역의 경우에는 주변 지역들이 개발이 많지 않은 것이 문제이며, 송내역의 경우에는 [[상동지구]]의 개발과 [[수도권 전철 1호선]]과 [[부천시 버스 목록|부천시 시내버스]]와 [[인천광역시 시내버스]]가 만나는 교통의 요충지이기 때문에, 송내역의 발전이 충분했지만 부천시는 송내역에 대한 관심이 적은데다, 둘리의 거리와 같은 뻘짓으로 인해 오히려 쇠퇴의 길을 걸었다. 여기에 송내역 이용객도 2012년 [[서울 지하철 7호선]]이 [[부평구청역]]까지 연장되어 수요가 그쪽으로 분산되어 예전에 비해 줄어들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둘리에 대한 권리를 가지고 있는 둘리나라 측에서 부천시에 '둘리의 거리' 명칭 폐지를 요청했고, 시 의회에서 이를 받아들여 둘리의 거리는 사라진 상태라고 알려졌지만, 2013년 4월에 송내역 북부 이전 둘리의 거리를 지나던 사람이 확인한 바로는 여전히 둘리의 거리란 명칭이 그대로 남아있고 둘리 관련 조형물이 그대로 남아있었다. 위 사진에 나온 흉물스런 둘리는 남아있었으나 새단장을 하여 많이 깨끗해졌고 결국 철거되었으며 둘리의 거리는 송내로데오거리[* 둘리의 거리 조성전 원래 이름이 송내로데오거리였다. 여담으로 투나가 있는 반대쪽 블럭의 거리는 영화의 거리였다.]로 바뀌었다. 더불어 광장 공원 조성공사를 새롭게 진행하고 있지만, 송내역은 이미 상권이 사실상 붕괴가 되어서, 현재까지도 회복을 제대로 이루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둘리의 거리 사건은 [[지방자치단체]]의 [[전시행정|전시성 홍보 사업]]의 어두운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 중 하나이자, 둘리의 거리(현 송내 로데오거리)와 송내역의 발전은 커녕, 오히려 쇠퇴해버린 대표적 사례로 언급되고 있다. 이후에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이 원작에서도 [[고길동]] 집이 있는 쌍문동이니 둘리 거리 원조라고 내세우면서 둘리 테마 거리와 둘리 뮤지엄을 조성했다. [각주] [[분류:부천시]][[분류:아기공룡 둘리]][[분류:없어진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