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광주 도시철도 2호선에 있는 동명의 역, rd1=두암역(광주))] ||<-3> {{{+2 '''두암역'''}}} || ||<-3> [include(틀:지도, 장소=42.036389 129.102394, 너비=100%, 높이=250px)] ||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Tuam || || [[한자]] ||<-2><|2> 頭岩 || || [[중국어]] || || [[일본어]] ||<-2> - || ||<-3> '''주소''' || ||<-3> [[함경북도]] [[무산군]] 문암리 || ||<-3> '''역 등급''' || ||<-3> 불명[br](청진철도총국 관리) || ||<-3> '''운영 기관''' || || [[백무선]]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3> '''개업일''' || || [[백무선]] ||<-2> 1944년 12월 1일 || ||<-3> '''열차거리표''' || || [[백암청년역|{{{#585858 {{{#!html
백암청년 방면
}}}}}}]][[연수역(백무선)|연 수]][br]← 8.3 ㎞ || '''[[백무선]]'''[br]두 암 || [[무산역|{{{#585858 {{{#!html
무산 방면
}}}}}}]][[연상역|연 상]][br] 6.4 ㎞ → || {{{+1 頭岩驛 / Tuam Station }}} [목차] [clearfix] == 개요 == [[백무선]]의 [[철도역]]. [[함경북도]] [[무산군]] 문암리 소재. == 역명 유래 == 해방당시에는 함북문암(咸北文岩)역으로 불렸다. 그러나 문암역은 지금은 남한 구간이지만 38선때는 북한이었던 [[동해북부선]]의 역, [[평라선]]의 역([[문암역]] 문서에서 다루고 있다.) 등이 북한에 있어 혼란을 막기 위해 개칭된 것으로 보인다.[* 한국 전쟁 이후 음성에서 개업한 남한의 충북선 역도 있지만 패스] == 특징 == 역의 구조는 1면 2선으로 승강장은 가운데에 위치한다. 바로 인접한 주택가는 역의 동쪽에 철길을 따라 줄지어 있다. 리의 소재지는 그보다 조금 동북쪽에 더 많은 수의 집들이 있다. 현재 북한 행정상 무산군의 마지막역(혹은 첫번째 역)이다. 연사군의 연수역과는 연면수의 철교만 4개로 여러차례 다리를 건넌다. [[분류:백무선]][[분류:북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