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두산]][[분류:로봇]][[분류:2015년 기업]] [include(틀:산업용 로봇 제조회사)] [include(틀:두산)] ||<-2> '''{{{+2 두산로보틱스}}}''' '''Doosan Robotics''' || ||<-2> [[파일:두산 로고.svg|width=100%]]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창립일''' ||[[2015년]] [[7월 31일]] || || '''본사'''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산업로 156번길 79 ([[고색동]], [[수원델타플렉스]]) || || '''대표이사''' ||박인원, 류정훈 || || '''규모''' ||[[대기업/대한민국|대기업]] || || '''모기업''' ||[[두산]] || || '''업종''' ||산업용 로봇 제조업 || || '''매출액''' ||449억 5367만원[*기준 2022년] || || '''영업이익''' ||142억 4353만원[*기준 2022년] || || '''자산총액''' ||388억 3678만원[*기준 2022년] || || '''상장 여부''' ||[[상장 기업]] || || '''상장 시장''' ||[[유가증권시장]] || || '''시가총액''' ||2조 937억원[*기준 2023년 10월 28일] || || '''종목코드''' ||[[https://m.stock.naver.com/domestic/stock/454910/total|454910]] || || '''링크''' ||[[https://www.doosanrobotics.com/ko/Index|[[파일:두산 로고.svg|width=80]]]] || [목차] [clearfix] == 개요 == 두산로보틱스는 [[두산|두산그룹]]의 계열사로, 산업용 [[로봇]] 제조업체이다. == 지배 구조 == ||'''주주명''' ||'''지분율''' || ||[[두산]] ||90.9% || ||코봇홀딩스(유) ||6.8% || ||기타 ||3.3% || == 역사 == 2015년 7월 31일 설립되었다. === [[유가증권시장]] 상장 === 2023년 9월 8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할 예정임을 알렸다.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등 7개 증권사가 청약을 취급하며, 주당 공모가액은 26,000원이다. 총 1620만 주를 공모할 예정이며, 9월 21일과 22일에 공모주 청약을 하였다. 9월 22일의 일반투자자 경쟁률이 524.05 : 1일 정도로 경쟁률이 어마어마했다. 상장은 10월 5일 진행되며 청약 자격은 아래와 같다.[* [[https://www.doosanrobotics.com/ko/ir/announceDetail?id=a5545b1e-8557-ee11-be6e-6045bd1d78cf|출처]]] || 우리사주조합 조합원 ||3,240,000주[* 20.0%] || || 기관투자자 ||8,910,000주 ~ 12,150,000주[* 55% ~ 75%] || || 일반투자자 ||4,050,000주 ~ 4,860,000주[* 25 ~ 30%] || 2023년 10월 5일, 예정대로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였다.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두산로보틱스 상장식.jpg|width=100%]]}}}|| || 가운데 빨간 옷을 입은 두 사람이 두산로보틱스의 박인원, 최정훈 대표이사이다. || 원래 주당 공모가는 26,000원으로 예정되었지만, 전장 시초가가 무려 '''67,600원''' 이었다. 하지만 이후 주가가 급격히 하락해 46,450원까지 내려가다 장 마감 직전에 약간의 급등을 하여 '''51,400원'''으로 장을 마감하였다. 이것도 공모가에 비하면 97.69% 높은 가격이라 공모주 청약으로 주식을 미리 배정받은 사람들에게는 꽤 만족스러울 수익을 안겨줬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상장 직후에 산 사람들에게는 큰 손실을(...)--- 또한 두산로보틱스의 상장으로 인해 [[두산]]의 주가는 약 -20% 가량 하락했다. 원래 자회사가 상장하면 모회사의 주가가 떨어지는 것은 자주 있을법한 일이라 큰 문제는 아니지만, [[레인보우로보틱스]], 에스피시스템즈, 뉴로메카, 유진로봇 등의 타 로봇 회사들의 주가까지 약 -10% 가량 하락해버렸다. == 제품 == 크게 H시리즈, M시리즈, A시리즈, E시리즈로 분류할 수 있다. || '''H시리즈''' ||H2017 ||H2515 || || '''M시리즈''' ||M0609 ||M0617 ||M1013 ||M1509 || || '''A시리즈''' ||A0509 ||A0509s ||A0912 ||A0912s || || '''E시리즈''' || == 사업 == 협동 로봇 시장 국내 점유율 1위, 세계 점유율 5위이다.[* 5위이지만 2022년 기준 7%가량에 불과하다. 한국이 로봇 밀도가 높은 이유도 한 몫하는듯 하다.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20116187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