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Cc6IT0EUsAA5H_B.jpg]] [youtube(hjmfMIRWKwA)] > '''{{{+1 "여보세요? 잠깐만요!"}}}''' > '''{{{+1 "아~ 아퍼~~~!!!"}}}''' モグラ叩き Whack-A-Mole [[일본]]의 카토 제작소 소속 디자이너가 [[1974년]] 노트 디자인으로 구상하고, 야마다 카즈오가 개발, 토고(동양오락기)에서 1975년 발매한 전자입력형 [[아케이드 게임]](에레메카)이다. 현재 특허권은 [[반다이]]가 가지고 있다. 큰 인기를 끌어 이후 [[남코]]의 [[http://bcaweb.bai.ne.jp/miyooo/OKASI.html|과자 대작전]] 등 [[아류작]]이나 표절작들이 우후죽순 등장하기 시작했다. [[미국]]에선 [[1976년]] 크리에이티브 엔지니어링에서 아론 페치터가 처음 발매했다. 시기상으로 보면 명백히 베낀 것이지만, 그 당시 저작권 의식이 희박한 것도 있고, 게임 외적인 부분(기기 디자인)이나 미묘하게 룰(두더지의 숫자, 점수표기)이 다르므로 두더지를 망치로 때려 점수를 올리는 게임방식 만으로는 법적인 [[표절]]이 성립되지 않는다고 한다. 한국이나 중국 등 다른 국가에서 성행하는 두더지 게임들도 마찬가지이다. 8~90년대 [[대한민국]]의 [[문구점]]나 야구 연습장[* 일반적인 야구장이 아닌, 동전을 넣으면 기계가 일정 시간 내쏘는 야구공을 방망이로 때리는 곳이다.], 오락실 변두리, 관광지 등에 [[필수요소]] 급으로 배치되었던 [[게임기]] 중 하나.[* 요즘은 인기가 많이 식어 좀처럼 보기 힘들고 오래됐거나 영화관에 부수적으로 있는 [[오락실]] 등에 심심찮게 존재한다. 또한 싱글로케이션 방식으로 오락실이 아닌 장소에 한두개 설치된 경우도 많다. (예를 들면 앞서 말한 문구점이나 야구연습장, 고속도로 휴게소)] 펀치나 3점슛 게임기와 마찬가지로 점수판[* 경우에 따라 고득점 전용 점수판이 있기도 하다.] 외에는 비디오 표시가 없다. 제한 시간 내에 8개 내외의 구멍에서 무작위로 [[갑툭튀]]하는 두더지의 머리를 구멍 안으로 들어가기 전에[* 여담으로 두더지가 나왔다가 들어가는 시간이나 속도는 기기 설정에 따라 다르다. 심하면 나온지 1초 만에 들어가 버리는 경우도 있었다.] 게임기와 줄로 엮인[* 이는 도난 및 유실 방지를 위해서다.] 망치로 보다 많이 때리면 된다.[* 이때 [[타격감]]을 위한 "아야!!" "아파요!!" 같은 음성이 재생되는건 덤. 심지어 두더지를 많이 때릴 경우 두더지의 반응이 갈수록 험악해지다 "못됐네 진짜..." 같은 욕설까지 하는 경우도 있었다.] 물론 경우에 따라 [[한 번에 한 놈 법칙|한번에 1마리]]가 아닌 2~3마리가 동시에 튀어나와, 고득점을 위해선 빠른 반사신경과 이를 받쳐주는 빠른 손놀림이 필수이다.[* 물론 어떤 기종은 나오는 순서가 정해져 있기도 했다.] 게다가 일부 기종은 보다 많이 때려잡을수록 보상 개념으로 제한 시간을 일정량 더 늘려주기도 했으며, 제한시간이 끝나면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라는 음성이 나오는 기기도 있었다. 당시 많은 인기가 있어서 게임기가 아닌 장난감 버전으로 나온 것도 많았다. 회전하는 원형 판 위에 갑툭튀하는 [[두더지]]를 끝에 [[자석]]을 매단 [[낚싯대]]로 모두 낚아올리는 [[바리에이션]] 장난감, 타격감을 올려주는 점수판과 스피커를 넣기 힘들어서 그냥 빼버린 장난감 등도 있었다. 물론 이런 거 없이 원판을 재현한 버전도 있다. 아무튼 두더지를 패는 게임 특성상, 필연적으로 두더지 말이 터지거나 박살나[* 아마 [[슬레지해머]] 급으로 무식하게 내려친 결과일 듯.] 이를 꿰메거나 메워놓는 상태가 안 좋은 기기도 있으며, 이와 함께 타격을 감지하는 센서도 함께 고장나면 때려도 무득점이거나 반대로 냅둬도 알아서 오르는 황당한 경우도 존재했다. 여담으로 대학축제에서 두더지 말을 인간이 몸으로 때우는 게임을 운이 좋으면 볼 수도 있는데 두더지 역은 주로 새내기 남학생이 맡는다. 1994년 KBS 드라마 느낌에서 나온다. [[무한도전]] [[https://play-tv.kakao.com/embed/player/cliplink/60104823|버전]]도 있다. [[https://www.facebook.com/LADbible/videos/2235502709830240/|공사장판 두더지 게임]] [[리듬게임]]을 접목하면 [[유비트 시리즈]]가 된다 [[카더라 통신|카더라]]. [[포켓몬스터]]에 등장하는 [[닥트리오]] 계열의 모티브이기도 하다. [[스트리트 파이터 2]]에서 캡콤이 직접 공식적으로 감수한 스핀오프작으로 권성두더지가 있는데, 스트리트 파이터 2를 두더지게임으로 어레인지한것이다. 두더지 게임과 펀치 게임을 퓨전한 것이 바로 [[북두의 권 펀치매니아]]이다. 어린이용 장난감으로도 많이 나왔다. 문방구 등지에서 수천원에 살 수 있는 램프 들어오는 두더지 버튼을 누르는 것도 있고, 아예 두더지게임을 축소한 핑거게임제 두더지잡기도 있다. [[분류:오락실]][[분류:게임기]][[분류:1977년 이전 아케이드 게임]][[분류:체감형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