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떡볶이 프랜차이즈)] ||<-2> {{{#fff {{{+2 '''두끼'''}}}[br]{{{+1 '''DOOKKI'''}}}}}} || ||<-2> [[파일:두끼 로고.svg|width=200]] || || '''명칭''' ||두끼떡볶이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설립일''' ||[[2014년]] [[12월]] || || '''대표자''' ||남승우 || || '''주요 사업''' ||음식점 || || '''직원 수''' ||35명 || || '''운영''' ||(주)다른 || || '''기업규모''' ||[[중소기업]] || ||<|2> '''주소'''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성남대로]] 1540, 2층 [br] ([[복정동]] 642, DM빌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성남대로 1540, 너비=100%)]}}} || || '''링크''' ||[[https://www.dookki.c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 | [[https://www.facebook.com/dookkidookki|[[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 [[https://www.instagram.com/topokki_dookki|[[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 [[https://www.youtube.com/@user-xp1kf6ev9p|[[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https://blog.naver.com/dareun_dookki|[[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2]]]] | [[https://www.jobkorea.co.kr/Recruit/Co_Read/C/dareun2771|[[파일:잡코리아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_메인.jpg|width=100%]]}}} || || '''떡볶이로 한끼, 볶음밥으로 두끼!''' || 두끼떡볶이는 [[떡볶이]] [[무한 리필|무한리필]] [[뷔페]] 프랜차이즈이다. 2014년 고대 안암점을 1호로 시작하여, 2023년 현재는 '''전세계 11개국에 380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해외 진출 국가로는 [[대만]], [[태국]], [[싱가포르]],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미국]], [[호주]]가 있다. 특히 두끼는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한류의 영향뿐만 아니라 기존 떡볶이 재료에 현지인들이 선호하는 식재료를 함께 제공하는 [[현지화]] 전략이 성과를 거둔 것으로 보인다. 2023년 기준 필리핀은 20개, 대만은 18개, 베트남의 경우 무려 '''89개'''의 지점이 있을 정도로 성공적으로 진출했다. 최근에는 호주 시드니와 미국 휴스턴에도 지점이 생겼다.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등 인구 다수가 [[무슬림]]인 국가에서도 인기를 끌었는데, [[할랄 푸드]] 인증을 적극적으로 도입했고 재료와 소스를 선택해서 만들어 먹을 수 있다는 점이 인기 비결이었다고 한다. 무한리필 식당 중에서는 보기 드물게 [[혼밥]]이 가능하지만, 혼밥이 불가능한 지점도 존재하니 방문 전 전화나 인터넷을 통해 미리 확인하도록 하자. == 설립 계기 == 두끼떡볶이는 2014년 떡볶이 전문가 김관훈 대표(현 CMO[* 최고 마케팅 책임자.]), 프랜차이즈 전문가 남승우 대표, 재무 및 해외사업 전문가 박도근 대표(현 [[CFO]])가 의기투합하여 설립한 브랜드이다. '''무한리필 즉석떡볶이'''라는 독특한 콘셉트로 시작한 두끼는 2019년 연매출 2000억 원을 돌파했으며, 2023년 현재는 전세계 11개국에 380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는 K-떡볶이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한 두끼지만 그 출발점은 ‘떡볶이 동호회’였다. 떡볶이 전문가인 김관훈 대표는 ‘떡볶이의 모든 것’이라는 이름으로 사업자 등록을 하여 떡모바, 떡모 푸드트럭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그의 또 다른 핵심 사업은 떡볶이 창업 컨설팅이었다. 평소 알고 지내던 [[BBQ]]의 분식 프랜차이즈 ‘올떡’의 남승우 전략기획본부장이 퇴사 후 ‘비앤에스’라는 회사를 만들어 컨설팅 사업에 합류했다. 둘은 다양한 떡볶이 경험을 바탕으로 떡볶이집 창업을 원하는 고객에게 상권과 입지에 맞는 컨설팅을 제공했다. 두 사람의 떡볶이 창업 컨설팅 및 식자재 유통 사업은 2년간 순항했다. 그러던 어느 날 남 대표가 함께 떡볶이 브랜드를 만들어보는 게 어떻겠냐고 김 대표에게 물었다. “이렇게 좋은 시스템을 컨설팅해주는데 우리도 우리만의 브랜드를 만들어보자”는 제안이었다. 둘은 떡볶이의 시장성과 브랜드 콘셉트를 고민하기 시작했다. 최종 결정한 아이템은 즉석떡볶이였다. ‘죠스떡볶이’ ‘아딸’ 등 당시 유명 떡볶이 프랜차이즈 대부분은 철판에 조리한 떡볶이를 그릇에 내어주는 형태였다. 그러나 즉석떡볶이를 떠올렸을 때 생각나는 브랜드는 딱히 없었다. 즉, 떡볶이 프랜차이즈 자체는 [[레드오션]]이지만 즉석떡볶이는 [[블루오션]]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그리하여 2014년 12월, 고려대가 있는 서울 성북구 안암동에 두끼 1호점을 오픈했다. 상권 테스트 차원에서 대학가, 쇼핑몰, 주택가에 오픈한 후 결과가 성공적이면 본격적으로 프랜차이즈를 키워볼 계획이었다. 두끼 1호점은 오픈 3개월 만에 맛집 소개 프로그램인 tvN의 [[테이스티로드]]에 섭외됐고 방송 이후 두끼의 인기는 더욱 높아졌다. 대학가에서 성공했으니 다음 목표 상권은 쇼핑몰이었다. 두끼를 테스트할 쇼핑몰을 물색하던 중 한 사람이 떠올랐다. [[백화점]]이나 [[쇼핑몰]]에 떡볶이집이 없다는 점이 의아하다며 얼마 전 찾아왔던 한 사장님이었다. 다시 연락해 보니 아직 떡볶이집을 오픈하기 전이었고 두끼 브랜드를 설명하며 합류를 제안했다. 사장님은 본인이 원하던 떡볶이 매장이 바로 이런 것이었다며 합류를 결정했다. 떡볶이 전문가 김 대표, 외식 프랜차이즈 전문가 남 대표, 마지막으로 합류한 박도근 대표까지 의기투합한 세 사람은 2015년 3월, 주식회사 다른을 설립했다. ‘다른 사람이 모여 함께하는 기업’이라는 뜻이었다. 회사를 설립하고 본격적으로 두끼 프랜차이즈 사업에 뛰어들었다. 계획대로 쇼핑몰 상권을 테스트하기 위해 서울 송파구 [[가든파이브]]에 두끼 2호점을 오픈했다. 대학가에 이어 쇼핑몰까지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오픈 직후 2호점의 기본 웨이팅 시간은 1∼2시간이었고 일 매출이 500만 원 이상인 날이 대부분이었다. 대학가에 이어 쇼핑몰 상권에서 흥행한 두끼는 마지막 주택가에서의 테스트만 남겨둔 상황이었다. 그러나 [[위례신도시]] 등 주택가에서 두끼 프랜차이즈 가맹점 문의가 쇄도하며 직접 테스트할 필요가 없게 됐다. 2014년 12월 문을 연 두끼는 1년 만에 전국 46개 매장으로 확대되었으며, 2019년에는 마침내 연매출 2000억 원을 달성하게 되었다. [[https://dbr.donga.com/article/view/1901/article_no/10834|"현지 입맛에 따라 재료를 다양하게" 즉석떡볶이를 '고급 한식'으로 브랜딩]] == 해외 진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_해외.png|width=100%]]}}}|| 국내에서 떡볶이 프랜차이즈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두끼떡볶이는 해외에서, 특히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두끼의 공동창업자이자 재무 및 해외사업 전문가인 박도근 대표는 처음부터 해외진출을 생각하고 사업을 시작하였다고 이야기한 바 있다. 단순히 매출을 올리겠다는 각오보다는, '''두끼라는 브랜드의 특성상 국내에서의 한계가 명확했기 때문이다.''' 박 대표의 설명에 따르면 국내에서 운영하는 두끼떡볶이의 매장 크기는 132~231㎡(약 40~70평) 내외로, 이를 전국에 가장 많이 확장시킨다면 250~300개가 한계점일 것으로 예상된다. [[https://www.ajunews.com/view/20170601132250193|두끼떡볶이 박도근 대표 “떡볶이로 한식 전도사 역할 할 것”]] 그도 그럴 것이 두끼는 국내 떡볶이 브랜드 중 가장 큰 매장 크기를 보유하고 있다. [[동대문 엽기떡볶이]], [[신전떡볶이]] 등 타 떡볶이 브랜드는 매장 식사보다는 주로 [[배달]] 매출이 주수입이다. 그러나 매장 크기가 크고 배달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두끼는 전국에 확장할 수 있는 가맹점의 수가 배달 전문 브랜드보다 적을 수밖에 없다. 또한 가맹사업을 하면서 지켜야 할 것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이 [[상권]] 보호인데, 각 가맹점 간 상권을 보호하면서 국내에 최대로 지점을 늘리면 300개를 넘기기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가까운 지역에 비슷한 업종, 브랜드의 매장이 함께 있는 것은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심지어 같은 브랜드라면 서로에게 손님을 빼앗기는 건 당연한 일. 그렇기에 가맹본부(프랜차이즈 본사)는 가맹점주들을 배려하여 해당 가맹점 위치를 조정해주어야 한다.] 그렇게 국내 시장의 한계를 예견한 박 대표는 사업 초기 단계부터 해외 사업을 계획했고, 해외 시장에 맞게 맞춤형 식재료를 제공하는 등의 유연한 운영방식[* 실제로 고객들이 자신의 기호에 맞춰 떡볶이를 만들어 먹다 보니 한국의 경우는 매운 소스가 많은 붉은색이 주를 이루고 대만이나 싱가포르 등 중화권은 짜장과 궁중소스를 많이 먹어 거무죽죽한 편이다.]을 구상해냈다. 이러한 노력들로 두끼는 해외에서의 성공적인 확장을 이끌어냈다. 그러나 두끼도 처음부터 성공적으로 해외에 정착한 것은 아니었다. 2015년 중국 상하이에 첫 두끼 매장을 오픈했지만, 2016년 한국에 [[THAAD]] 배치가 발표되자 중국정부가 한류 문화와 상품 등을 금지하는 [[한한령]]을 내렸기 때문이다. 중국 국민이 단결해 한국 이발소도 안가는 상황에서 달리 방도가 없었던 두끼는 결국 중국 매장 폐점을 결정했다. 그러나 박 대표는 해외 진출을 포기하지 않았다. 중국에서 철수한 이후 같은 중화권인 대만을 공략했다. 매장 오픈 후 건물 1층에서 4층까지 대기 줄이 설 정도로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심지어는 2019년 대만의 현지 설문조사에서 레스토랑 부문 1위에 두끼가 선정되기도 했다. 중국의 [[딤섬]], 일본의 [[스시]], 이탈리아의 [[파스타]]와 [[피자]] 등 다양한 국가의 외식 브랜드를 제치고 한국의 '''[[떡볶이]]''' 프랜차이즈인 두끼가 1위에 오른 것이다. 그렇게 대만에서 흥행한 두끼는 이후 급속도로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 7개국에 진출했다. 현재 두끼의 해외진출 현황은 2023년 처음 진출한 호주와 미국을 합치면 총 11국, 380개점에 달한다. 해외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한식 중 하나인 한국식 치킨의 대표 브랜드 [[BBQ]]가 전세계 700여개점을 보유하고 있으니, 떡볶이라는 '''지극히 한국적인 아이템'''으로 380개점을 돌파한 것은 대단하다고 볼 수 있다. 여담으로 두끼떡볶이가 해외에 성공적으로 진출한 후 몇 개의 모방 브랜드가 생겨났을 정도로, 현지인들에게도 매력적인 브랜드로 비쳐지는 듯하다. [[https://youtu.be/vtDF6k4aabo?si=9wvbVltaaD8v_i6o|베트남의 카피 브랜드 Joopii]] == 셀프바 == 모든 재료는 매장별 재고상태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니, 원하는 재료가 있다면 방문 전 전화나 인터넷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다. === 소스 === ||
'''{{{#fff,#ddd 두끼소스}}}''' || '''{{{#fff,#ddd 떡모소스}}}''' || '''{{{#fff,#ddd 동대문소스}}}''' || '''{{{#fff,#ddd 부산소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두끼소스.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떡모소스.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동대문소스.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부산소스.png|width=100%]]}}} || || '''{{{#fff,#ddd 두끼마라탕소스}}}''' || '''{{{#fff,#ddd 찐마라탕소스}}}''' || '''{{{#fff,#ddd 크림소스}}}''' || '''{{{#fff,#ddd 궁중소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두끼마라탕소스.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찐마라탕소스.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크림소스.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궁중소스.png|width=100%]]}}} || || '''{{{#fff,#ddd 카레분말}}}''' || '''{{{#fff,#ddd 짜장분말}}}''' || '''{{{#fff,#ddd 땅콩소스}}}''' || '''{{{#fff,#ddd 라유소스(고추기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카레분말.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짜장분말.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땅콩소스.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라유소스(고추기름).png|width=100%]]}}} || || '''{{{#fff,#ddd 마유소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마유소스.png|width=100%]]}}} || || || || === 떡 === ||
'''{{{#fff,#ddd 날씬이쌀떡}}}''' || '''{{{#fff,#ddd 구멍쌀떡}}}''' || '''{{{#fff,#ddd 콘치즈떡}}}''' || '''{{{#fff,#ddd 두끼떡}}}'''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날씬이쌀떡.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구멍쌀떡.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콘치즈떡.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두끼떡.png|width=100%]]}}} || || '''{{{#fff,#ddd 치즈떡}}}''' || '''{{{#fff,#ddd 고구마떡}}}''' || '''{{{#fff,#ddd 밀별대떡}}}'''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치즈떡.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고구마떡.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밀별대떡.png|width=100%]]}}} || || === 튀김 === ||
'''{{{#fff,#ddd 순살치킨}}}''' || '''{{{#fff,#ddd 고구마튀김}}}''' || '''{{{#fff,#ddd 야채튀김}}}''' || '''{{{#fff,#ddd 치즐링감자튀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순살치킨.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고구마튀김.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야채튀김.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치즐링감자튀김.png|width=100%]]}}} || || '''{{{#fff,#ddd 야끼만두}}}''' || '''{{{#fff,#ddd 미니돈까스}}}''' || '''{{{#fff,#ddd 김말이튀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야끼만두.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미니돈까스.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김말이튀김.png|width=100%]]}}} || || === 사리 === ||
'''{{{#fff,#ddd 우동곤약}}}''' || '''{{{#fff,#ddd 중국당면}}}''' || '''{{{#fff,#ddd 분모자}}}''' || '''{{{#fff,#ddd 뉴진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우동곤약.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중국당면.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분모자.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뉴진면.png|width=100%]]}}} || || '''{{{#fff,#ddd 옥수수면}}}''' || '''{{{#fff,#ddd 라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옥수수면.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라면.png|width=100%]]}}} || || || === 야채&토핑 === ||
'''{{{#fff,#ddd 완자}}}''' || '''{{{#fff,#ddd 볶음밥}}}''' || '''{{{#fff,#ddd 양파}}}''' || '''{{{#fff,#ddd 푸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완자.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볶음밥.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양파.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푸주.png|width=100%]]}}} || || '''{{{#fff,#ddd 목이버섯}}}''' || '''{{{#fff,#ddd 깻잎}}}''' || '''{{{#fff,#ddd 새알만두}}}''' || '''{{{#fff,#ddd 삶은계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목이버섯.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깻잎.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새알만두.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삶은계란.png|width=100%]]}}} || || '''{{{#fff,#ddd 팽이버섯}}}''' || '''{{{#fff,#ddd 양배추}}}''' || '''{{{#fff,#ddd 청경채}}}''' || '''{{{#fff,#ddd 순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팽이버섯.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양배추.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청경채.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순대.png|width=100%]]}}} || || '''{{{#fff,#ddd 대파}}}''' || '''{{{#fff,#ddd 어묵면}}}''' || '''{{{#fff,#ddd 비엔나}}}''' || '''{{{#fff,#ddd 알배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대파.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어묵면.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비엔나.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알배추.png|width=100%]]}}} || || '''{{{#fff,#ddd 숙주}}}''' || '''{{{#fff,#ddd 유부}}}''' || '''{{{#fff,#ddd 어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숙주.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유부.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어묵.png|width=100%]]}}} || || === 추가메뉴 === ||
'''{{{#fff,#ddd 볶음밥용 치즈}}}''' || '''{{{#fff,#ddd 눈꽃치즈}}}''' || '''{{{#fff,#ddd 크런치 치즈퐁듀}}}''' || '''{{{#fff,#ddd 치즈볼 5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_볶음밥용치즈.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_눈꽃치즈.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_크런치치즈퐁듀.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_치즈볼.png|width=100%]]}}} || || '''{{{#fff,#ddd 꿔바로우 3개}}}''' || '''{{{#fff,#ddd 우삼겹 100g}}}'''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_꿔바로우.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_우삼겹.png|width=100%]]}}} || || || === ETC === ||
'''{{{#fff,#ddd 탄산음료}}}''' || '''{{{#fff,#ddd 라면}}}''' || '''{{{#fff,#ddd 아이스크림}}}''' || '''{{{#fff,#ddd 어묵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탄산음료.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라면들.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아이스크림.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어묵바.png|width=100%]]}}} || || '''{{{#fff,#ddd 커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 커피.png|width=100%]]}}} || || || || == 가격 == || '''연령''' || '''가격''' || || 성인 || 10,900원 || || 초·중·고 || 9,900원 || || 어린이 || 5,900원 || || 36개월 미만 || 무료 || 이용시간은 1시간 30분이다. 그리고 일부 메뉴는 추가 비용을 지불해야 이용할 수 있다. 최근 인건비, 식자재비 인상 등의 이유로 가격이 성인 기준 10,500원으로 인상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가성비면에선 압도적이다. 분식이 저렴한 음식이란것도 옛말이고 현재는 떡볶이 1인분에 튀김 1인분만 주문해도 10,000 원에 육박하는 상황인지라...) 일부 매장에선 15,000원을 지불하면 포장용기에 떡볶이 재료(떡, 야채), 튀김, 소스, 육수를 담아갈 수 있다. 또한 2020년 하반기부터 포장시 컵밥이 추가됐고, 3,000원을 추가하면 사이즈 업 또는 소스를 추가하여 포장 가능하다. == DOO771 == [[파일:DOO771.png|width=400px]] [[2023년]], '''DOO771'''라는 프리미엄 분식 비스트로를 새롭게 런칭하였다. 기존의 두끼와는 다르게 주문한 음식이 미리 조리되어 나오는 식이다. 현재로서는 [[서울특별시/강남|강남]]에서만 볼 수 있다. == 여담 == * 레시피는 [[https://dookki.co.kr/menu/recipe|두끼 공식 홈페이지]]에도 올라와있지만 [[구글]]에 '두끼 황금레시피'를 검색해서 그 레시피대로 먹는 게 훨씬 맛이 좋다. * [[테이스티로드]]나 식객남녀 등에도 나왔다. [[https://youtu.be/7bbKQVqcGCs|테이스티로드에서는 '떡볶이 무한리필 뷔페']]로, [[https://youtu.be/-0F7xJtha28|식객남녀에서는 '학생들을 위한 가성비 맛집'으로 출연]]했다. * 창업자 김관훈 대표는 [[2020년]] 10월 7일 방영되었던 [[유 퀴즈 온 더 블럭]] [[유 퀴즈 온 더 블럭/75회|75회]]에 출연하였다. * 2022년 9월 19일 무한 마라탕 프로모션을 진행하여 폭발적인 반응으로 한달 연장 진행하였다. * 2022년 하반기 들어서 1인 고객을 받지 않고 있다. 하지만 지점마다 케바케라서 받는 지점도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끼_앞접시.jpg|width=400]]}}}|| * 앞접시가 여느 식당에서 볼 수 있는 접시와는 다른데, 이는 창업 준비 당시 남대문시장 한켠에 버려지다시피 한 것을 보고 '저걸 앞접시로 쓰면 재밌겠다' 싶어서 제조사를 찾은 후 도입한 것이라고 한다. 이는 베트남에 개점한 짝퉁 브랜드를 [[떡볶퀸]]이 리뷰한 영상에서 김관훈 창업주가 직접 밝혔다. [[https://youtu.be/vtDF6k4aabo|리플 참고]] ~~닉네임이 일반 유저처럼 설정된 게 함정~~ * 2022년 하반기, 대학 커뮤니티 에브리타임 등지에서 '두끼 아티스트'의 두끼떡볶이 레시피가 화제가 되었다. [[https://youtu.be/z0MG15I1hE4?feature=shared|두끼 알바생들 기겁하는 미친 레시피]] ~~이 레시피대로 먹으니 확실히 더 맛있다는 의견이 많다.~~ == 논란 == === 사이즈 업 이벤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G_3264.jpg|width=100%]]}}} || || '''논란의 사이즈 업 이벤트''' || 2500ml, 2900ml 용기에 각각 15,000원, 18,000원을 내면 마음껏 포장할 수 있는 이벤트를 진행한 적이 있다. 사장이 [[눈치]]를 준다는 반응이 많다. 그중 심한 건 정당하게 돈을 지불하고 음식을 담는데, 사장이 담지말라고 손님들 앞에서 소리치거나 야채만 빼고 튀김, 떡만 담았던 걸 골고루 담아야한다고 다시 빼라고 했던 케이스도 있었다. 이는 정당하게 돈을 지불하고 이용하는 소비자 관점에선 큰 논란이 될수도 있다. [각주] [[분류:분식 체인점]][[분류:음식 체인점]][[분류:2014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