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동해시)] [include(틀:강원특별자치도의 역사)] [목차] == 개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강릉시/역사)]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삼척시/역사)] [[동해시]]의 역사는 1980년 이전에는 [[강릉시]]와 [[삼척시]]의 역사였다. 그리고 본 문서는 현재 동해시 지역의 역사를 설명한다. == [[구석기 시대]] == [[구미동(동해)|구미동]]과 [[발한동]]에서 유적이 발견되었다. == [[신석기 시대]] == == [[청동기 시대]] == 청동기 시대 유적으로 지석묘, 유물산포지 등이 있다. 지석묘는 [[송정동(동해)|송정동]]·[[부곡동(동해)|부곡동]]·[[삼화동(동해)|삼화동]]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무문토기인들의 무덤이다. 동해시 북부의 마상천과 남부의 [[전천(하천)|전천]] 유역에 분포한다. == [[삼한]] == [[실직국]] 소속이었다. == [[삼국 시대]] == 102년, 실직국의 항복으로 [[신라]]에 병합되었다. 468년, [[고구려]]에 점령되었다. 505년, [[이사부]]가 수복해 실직주를 설치했다. 642년, 삼화사가 지어졌다. 이 지역은 [[고구려]]의 남하정책과 [[신라]]의 북진정책이 충돌했던 곳이며 선돌은 이 지역을 두고 싸웠던 고구려와 신라의 정계비이다.[* 선돌길이라는 지명이 [[천곡동(동해)|천곡동]]에 남아있다. ] == [[남북국 시대]] == [[통일신라]]의 [[명주]]에 속했으며 [[동해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좌상|삼화사의 철조노사나불좌상]]이 이때 세워졌다. 685년, 하서주에 편입되었다. 757년, [[삼척군]]으로 개칭했다. [* 부곡동의 북평읍은 삼척군의 직할지였다.][* 옛 묵호읍 지역은 옥계면과 우계현에 속했다.] 864년, 삼화사가 삼공암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 [[고려시대]] == [[10도|삭방도]]에 속하다가 이후 [[동계]]에 속했다. 어달산봉수대가 이때 지어졌다. 918년, 관음암이 창건되었다. 995년, 척주에 속했다. 1361년, 해암정이 지어졌다. 1369년, 삼화사가 크게 확장되었다. == [[조선시대]] == 1393년, 삼화사가 현재의 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http://m.d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3632|출처]] 1457년, 삼척도호부에 속했다. [[임진왜란]] 당시 두타산성을 두고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는데, 그 당시 수많은 전사자의 유혈과 화살들이 강을 가득 채워 흘렀다고 하여 '화살 전(箭)' 자를 써, 전천강이라고 부른다.[* 북삼동, 북평동, 송정동, 삼화동 소재] 1705년, 용산서원이 세워졌다. 1796년, [[북평5일장]]이 처음 열렸다.[* 출처[[https://m.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216315]]] 1907년, 왜적에 의해 [[삼화사]]가 소실되었다. 삼화동의 보호수가 조선시대에 [[http://m.blog.daum.net/_blog/_m/articleView.do?blogid=0XcPq&articleno=390|생겼다.]] [[괴란동]]의 보호수도 조선시대에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bntv&logNo=221189554452&proxyReferer=https%3A%2F%2Fm.search.naver.com%2Fsearch.naver%3Fwhere%3Dm%26sm%3Dmtb_jum%26query%3D%25EB%258F%2599%25ED%2595%25B4%25EC%258B%259C%2B%25EB%25B3%25B4%25ED%2598%25B8%25EC%2588%2598|생겼다.]] == [[일제강점기]] == 1910년 8월 29일, [[경술국치]]로 [[일본 제국]]에 강제병합 되었다. 1913년 5월 4일, 북평제일교회가 설치되었다. [[http://m.blog.daum.net/_blog/_m/articleView.do?blogid=0AFVu&articleno=16461198|출처]] [[1914년]]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도상·도하면과 견박면을 합하여 삼척읍 북쪽 3개 면이라는 뜻에서 북삼면(北三面)이라고 했다. 1918년 5월 10일, 북평초등학교 개교 1919년 4월 17일, 송정초등학교 학생들이 만세운동을 [[https://www.google.com/amp/m.ohmynews.com/NWS_Web/Mobile/amp.aspx%3fCNTN_CD=A0002514783|했다.]] 1937년, 북삼화학 (현. [[DB메탈]]) 공장이 지어졌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47/0002223802|출처]] 1940년대부터 구 정수시설이 사용되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2/0002028676|출처]] 1940년, 묵호항역이 지어졌다. [* 출처[[https://m.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216315]]] 1940년 8월 1일, [[동해역]] 영동선이 개통되었다. 1941년, 묵호항이 개항했다. 1941년 7월 22일, 망상초등학교 개교 1942년, 부령 제104호로 [[강릉군]] 망상면이 묵호읍으로 승격했다. 1944년 6월 25일, 삼화초등학교 삼흥분교 개교 1945년, 부령 제149호로 [[삼척군]] 북삼면이 북평읍으로 승격했다. 1945년 8월 15일, [[일본 제국]]에서 독립하였다. == [[미군정]] == 1945년 9월 8일, [[미군정]]이 되었다. 1946년 2월 7일, 북삼초등학교가 개교했다. 1946년 12월 10일, [[북평고등학교]]가 개교했다. 1947년 8월, [[묵호항]]이 개항했다. 1947년 9월 1일, 북평고등학교 초대 입학식 진행. 1948년 6월, 묵호성당이 본당으로 승격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aptainjeon&logNo=220272269238&proxyReferer=https%3A%2F%2Fm.search.naver.com%2Fsearch.naver%3Fwhere%3Dm%26ie%3Dutf8%26query%3D%25EB%258F%2599%25ED%2595%25B4%25EC%258B%259C%2B1948%25EB%2585%2584%26sm%3Dmob_add|참고]] [[http://www.cccatholic.or.kr/index.php?mid=archive3&document_srl=96211|출처]] == [[동해시/역사/대한민국|대한민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동해시/역사/대한민국)]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북삼동/역사, version=30)]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동해시/관광, version=34)]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전천(하천), version=10)]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북삼동, version=202)] [[분류:동해시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