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구(대구)의 법정동)] [include(틀:대구10미)] ||<-2> '''[[중구(대구광역시)|{{{#000000,#dddddd 중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동인동}}}'''[br]東仁洞 | Dongin-dong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중구 동인동, 너비=100%, 높이=100%)]}}}|| ||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 '''행정표준코드''' || 3410087 || || '''관할 법정동''' || 동인동1~4가 || || '''하위 행정구역''' || 23통 133반 || || '''면적''' || 0.99㎢ || || '''인구''' || 8,321명[* 2023년 10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8,405.05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국회의원 | 중구·남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임병헌]] ,,(초선),, || ||<-2> '''대구광역시의원 | 제1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임인환]] ,,(재선),, || ||<-2> '''중구의원 | 가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권경숙 ,,(재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동현 ,,(초선),, || || [include(틀:공석/행정구역)] || 1석[* 이경숙 전 의원 피선거권 상실로 인한 공석]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국채보상로142길 19-5 (동인동4가) || || [[http://www.jung.daegu.kr/new/dong/pages/int/page.html?mc=0981|동인동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대구광역시]] [[중구(대구광역시)|중구]]에 있는 [[동(행정구역)|동]]. 대구10미 중 하나인 [[찜갈비]] 맛집이 모여 있는 [[동인동찜갈비골목]]으로 유명하다. [[북구(대구광역시)|북구]] [[칠성동]]은 [[경부선]]을 경계로 접하고, [[수성구]] [[수성동4가]] 및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신천동(대구)|신천동]]과는 신천을 중심으로 마주보고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동운정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었고, [[경마장]]이 설치된 적이 있었다고 한다. 동인동은 1946년에 동 명칭을 정하였는데 대구 읍성의 동쪽에 있다고 하여 동녘 “동(東)”자에 사람들이 어질다고 하여 어질 “인(仁)”자를 써서 동인동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성리 등 일부가 일제 강점기인 1911년 일본에 의해 동운정(東雲町)으로 개칭되었으며, 합방 당시 채전(菜田)이었던 자리에 무라베(女)가 집을 많이 지어 일본인만 살게 하여 일본인 집성지를 이루었던 곳이다. 광복 후 1946년에 동인동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1949년 대구시에 편입되었으며, 1952년 동인1가, 동인2가, 동인3가, 동인4가로 분동되었다. 1963년 구제 실시로 지금의 [[중구(대구광역시)|중구]] 동인 1, 2가동으로 개편되었다. 1975년 동인1가 일부와 동인3가 일부를 [[북구(대구광역시)|북구]]로 편입하여 [[중구(대구광역시)|중구]] 동인동의 경계가 일부 조정되었다. 1981년 대구시가 대구직할시로 승격되고, 1995년 대구광역시로 명칭이 변경되면서 대구광역시 [[중구(대구광역시)|중구]]에 편입되었다. 1998년 동인 1·2가동과 동인 4가동을 통합하여 동인 1·2·4가동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 동인동1가 === ||<-2> '''[[중구(대구광역시)|{{{#000000,#dddddd 중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동인동1가}}}'''[br]東仁洞一街 | Dongin-dong 1(il)-ga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중구 동인동1가, 너비=100%, 높이=100%)]}}}|| ||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 '''행정표준코드''' || 2711010100 || || '''관할 행정동''' || 동인동 || || '''면적''' || 0.18㎢ || [[대구광역시청/동인청사|대구광역시청 동인청사]], [[대구광역시의회]]가 있으며, [[대구광역시청]]은 [[달서구]] [[두류동]]으로 이전할 예정이다. [[동인동찜갈비골목]]이 이 곳에 있다. [clearfix] === 동인동2가 === ||<-2> '''[[중구(대구광역시)|{{{#000000,#dddddd 중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동인동2가}}}'''[br]東仁洞二街 | Dongin-dong 2(i)-ga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중구 동인동2가, 너비=100%, 높이=100%)]}}}|| ||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 '''행정표준코드''' || 2711010200 || || '''관할 행정동''' || 동인동 || || '''면적''' || 0.20㎢ || [[중구청(대구)|구청]], [[중구의회(대구광역시)|구의회]], 대구의 대표적인 공원인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및 [[국채보상운동기념도서관]]이 이 곳에 있으며,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국채보상기념도서관]] 옆에 있다.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에서 바로 길을 건너면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경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대학]]이 있다. 달구벌대종이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내부에 있는데, [[대구광역시]]에서는 매년 [[12월 31일]] [[제야의 종]] 신년 타종식을 이 곳에서 진행한다. [clearfix] === 동인동3가 === ||<-2> '''[[중구(대구광역시)|{{{#000000,#dddddd 중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동인동3가}}}'''[br]東仁洞三街 | Dongin-dong 3(sam)-ga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중구 동인동3가, 너비=100%, 높이=100%)]}}}|| ||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 '''행정표준코드''' || 2711010300 || || '''관할 행정동''' || 동인동 || || '''면적''' || 0.34㎢ || [[신천교(대구)|신천교]]를 경계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신천동(대구)|신천동]]과 만난다. 대구에서 가장 오래된 아파트였던 [[동인시영아파트]]가 있던 동네다. 2020년에 철거했으며, [[태왕아너스]] 라플란드로 재건축 예정이다. [clearfix] === 동인동4가 === ||<-2> '''[[중구(대구광역시)|{{{#000000,#dddddd 중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동인동4가}}}'''[br]東仁洞四街 | Dongin-dong 4(sa)-ga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중구 동인동4가, 너비=100%, 높이=100%)]}}}|| ||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 '''행정표준코드''' || 2711010400 || || '''관할 행정동''' || 동인동 || || '''면적''' || 0.27㎢ || [[동신교]]를 경계로 [[신천동(대구)|신천동]]과 [[수성구]] [[수성동4가]] 총 3개구가 교차하는 곳이다. 동인초등학교가 이 곳에 있다. [clearfix] == 주요 시설 == === 기관 === * [[대구광역시청/동인청사|시청 동인청사]] * [[대구광역시의회|시의회]] * [[중구청(대구)|중구청]] * [[국채보상운동기념도서관]] === 교육 === ==== 초등학교 ==== * 동인초등학교 ==== 대학교 ==== *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 [[경북대학교 간호대학]][*이전예정] === 관광 === *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 [[동인동찜갈비골목]] === 주거 === || 건설사 || 아파트명 || 입주 || 규모 || 난방방식/연료 || || 시립 || 시영아파트 || [[1987년]] || 3개동 총 250가구(4층) || 개별난방/기름 || || [[태왕이앤씨]] || 태왕아너스 라플란드[* [[동인시영아파트]] 재건축] || 미정 || 373세대 || 미정 || || 현대건설 || 힐스테이트 동인 센트럴 || 2024년 4월 예정 || 410세대 || 미정 || || 대우산업개발 || 엑소디움 센트럴 동인 || 2022년 12월 입주예정 || 630세대 || 미정 || || [[대우건설]] || 동인3가 주택재개발 || 입주미정 || 1,383세대 || 미정 || || [[KCC건설]] || 동성로 스위첸 웰츠타워 || 입주미정 || 222세대 || 미정 || || [[DL건설]] || 동인4가7통 재개발 || 입주미정 || 376세대 || 미정 || || [[(주)대원|㈜대원]] || 동인 센트럴 대원칸타빌 || 2024년 6월 입주예정 || 410세대 || 미정 || == 교통 == === 버스 === ==== 간선 ==== * 동인네거리, 신천교 정류장 : [[대구 버스 425|425]], [[대구 버스 651|651]] * 중구청, 동인초등학교 정류장 : [[대구 버스 518|518]], [[대구 버스 724|724]], [[대구 버스 805|805]], [[대구 버스 909|909]], [[대구 버스 가창2|가창2]], [[대구 버스 급행3|급행3]][*가 중구청 정류장만 정차], [[대구 버스 급행5|급행5]][*가 중구청 중류장만 정차] * 동인치안센터 정류장 : [[대구 버스 156|156]], [[대구 버스 306|306]], [[대구 버스 403|403]], 425, [[대구 버스 650|650]], [[대구 버스 980|980]], 가창2 * 태평상가 정류장 : [[대구 버스 101, 101-1|101(-1)]], [[대구 버스 401|401]], [[대구 버스 524|524]], [[대구 버스 618|618]], 651, [[대구, 경산 버스 708|708]], 980 * 국채보상기념공원 정류장[* [[경대병원역|삼덕네거리]] 방향에만 정류장이 있다.] : 306, [[대구 버스 323, 323-1|323-1]], 403, 805 * [[대구광역시청/동인청사|대구광역시청 동인청사]] 정류장 : 524번, [[대구 버스 동구2|동구2번]], [[대구 버스 급행6|급행6번]]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광역시 대구읍성 관련 지명)] [[분류:중구(대구)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