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일본]]을 이르는 별칭 東瀛 == [include(틀:일본 관련 문서)] [include(틀:무림의 세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D1B43 0%, #be0029 20%, #be0029 80%, #6D1B43);" '''{{{#fff,#fff {{{+1 동영}}}[br]東映}}}'''}}}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s6.alphacoders.com/361118.jpg|width=100%]]}}} || ||<-2> {{{-1 [[일본]]의 대표적인 성채인 [[오사카성]]}}} || || {{{#fff,#fff '''소속'''}}} ||[[새외무림]] || || {{{#fff,#fff '''중심지'''}}} ||[[일본]] || [clearfix] 본래 [[중국 신화|중국 전설]]에서 [[신선]]이 산다는 [[삼신산]] 봉래산(蓬萊山), 방장산(方丈山), 영주산(瀛洲山) 중 영주산의 별칭이다. 삼신산이 원래 [[보하이 해|발해만]] 지방의 전설이라는 것에도 알 수 있듯이, 예로부터 이 산들은 [[중국]] 동쪽 바다 건너편에 있다는 믿음이 있었고 실제로 중국에서 동쪽으로 바다를 건너면 나오는 [[한반도]] 또는 [[일본]]에 삼신산이 존재한다는 전설이 있어서 과거 중국에서는 삼신산 중 하나인 동영(영주산)이 일본을 지칭하는 이름으로 쓰이기도 했다. 여기에서 유래해 [[무협소설]] 세계관에서 흔히 [[일본]]을 동영이라고 지칭한다. '[[부상국]]' 이라고 하기도 한다. [[무협지]]에서는 동영의 [[절정고수]]가 [[천하제일인]]을 찍으러 왔다가 뭔가 사달이 생기거나, 중국진출을 노리는 [[새외무림]] [[문파]]나 집단으로 등장하는 두가지 패턴을 주로 쓴다. [[중국무술]]에 대한 고증도 영 기대하기 어려운 판이므로 [[일본 고류 무술|일본 고무술]]에 대한 고증은 거의 보기 힘들고, 대부분 [[무협소설/용어|무협의 클리셰]]에 가깝다. [[무협물]]에 등장하는 동영 고수는 [[발도술]] 내지는 기궤(奇詭)하고 악랄한 도법을 쓴다거나, [[닌자]]가 [[인술|사용하는 술법]]을 쓴다. [[명나라]]대를 배경으로 해 [[왜구]]와 싸우는 패턴도 있다.(소림곤왕, 철혈무정로 등) 고전무협영화에선 중국 고수와 동영 고수가 솜씨를 겨루는 소재를 즐겨쓴다. 대부분 애국심을 강조하는 안 봐도 비디오 [[양판소]] 수준이지만, 의외로 숨은 걸작들이 있다. 마지막 결투신을 부산 태종대 자살바위에서 찍은 것으로 유명한 [[정소동]] 감독의 생사결(1982)은 무협팬에게 호평을 받았다. 가장 많이 등장하는 집단은 아래와 같다. * [[살막]] [[닌자]]/[[살수]]들로 이뤄진 [[살인 청부업자]] [[암살단|암살자 집단]]. == 2011년생 아역배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홍동영)] == [[낮에 뜨는 달]]의 등장인물 == [[동영(낮에 뜨는 달)]] 문서로. == [[토에이]]의 한국식 독음 == 한자(일본어) 표기는 {{{+2 [ruby(東映, ruby=とうえい)]}}}로 자세한 것은 [[토에이]] 문서를 참고. == [[중세]] [[중국]] [[전진(오호십육국시대)|전진]]의 인물 董榮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동영(전진))] [[분류:동음이의어]][[분류:새외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