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한민국의 웹툰 작가, rd1=동사원형(웹툰작가))] [목차] == 개요 == [[동사(품사)|동사]]의 [[활용]]이 존재하는 언어에서, [[동사(품사)|동사]]의 기본형을 부르는 말이다. [[사전]]에서 주로 볼 수 있는 형태라 '사전형(辭典形)'이라고도 하며, 국어 용어에선 '으뜸꼴'[* 동사뿐만 아니라 [[형용사]]의 원형을 이르는 의미로도 쓰인다는 차이가 있다.]'이라고 하기도 한다. [[영어]]로는 'base/basic/original/root/simple form of the verb'이며, 간단히 verb root로도 쓴다.(구글 미국 검색결과 기준) 전세계에서는 [[부정사]](infinitive) 라고 적으면 동사원형을 가리키는 사례가 많다. 좀 더 정확히는 bare infinitive라고 한다. 영어로 된 축약어는, 국내외 모두 공식적으로 없다. 다만, 필요하면 대문자 R로 쓰는 것이, 기존의 문법용 축약어와 겹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일부는 root verb를 줄인 'RV'로 표기한다. 예) ||현재형||과거형||과거 분사형|| ||make||made||made|| 이 중에서 현재형인 make가 동사 원형이다. [[사동 표현|사역동사나 감각동사]]의 뒤에는 동사원형이 오는 경우가 많다. 이는 [[고대 영어]]에서부터 내려오는 유구한 전통이며, [[독일어]]를 포함한 게르만어파 언어들에서는 흔하게 발견되는 통사 구조다. == 예시 == 언어 중 동사 원형이 규칙적으로 정의되어 있는 언어가 존재한다. * [[한국어]]: [[다(종결어미)|~다]] * [[일본어]]: う단 어미[* '종지형([ruby(終止形, ruby=しゅうしけい)])', '연체형([ruby(連体形, ruby=れんたいけい)])'이라고 불린다.][* 명사를 수식할 때에도 동사원형을 취한다(단, [[하치조 방언]] 같이 동사원형이 아닌 경우도 있다).] * [[튀르키예어]]: ~mak * [[에스페란토]]: ~i [[분류:품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