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순우리말 == === 동부, 콩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덩굴성 식물 === [include(틀:곡물)] ||<-2> '''{{{#fff {{{+1 동부}}}[br]Cowpe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부콩.jpg|width=100%]]}}} || || '''학명''' || ''' ''Panicum miliaceum'' '''[br][[L.]] || ||<-2>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fff '''계'''}}}]] ||[[식물|식물계]] Plantae || || [[생물 분류 단계#문|{{{#000,#fff '''문'''}}}]] ||피자식물문(Angiospermae) || || [[생물 분류 단계#강|{{{#000,#fff '''강'''}}}]]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 || [[생물 분류 단계#목|{{{#000,#fff '''목'''}}}]] ||장미목(Rosal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fff '''과'''}}}]] ||콩과(Leguminos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fff '''속'''}}}]] ||동부속(Vigna) || || [[생물 분류 단계#종|{{{#000,#fff '''종'''}}}]] ||'''동부'''(V. unguiculata) || [clearfix] 콩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덩굴성 식물이다. [[이집트]] 또는 [[중앙아프리카]]의 열대지방이 원산지로 추정되는 콩이며, 팥보다 약간 크고 길다. 한자어로는 강두(豇豆)·강자두(豇子豆)·대각두(大角豆)·장두(長豆)라고도 한다. 청포묵을 쑤는 녹두의 대체재로 쓰기도 한다고 한다. 방언으로는 '돈부'라고도 한다. == 한자어 == === 동부(東部), 동쪽 지역 === [include(틀:방향성 세부 지역)] 어떤 지역의 동쪽 부분. 예) [[러시아]]는 [[동유럽|유럽 동부]]에 위치해 있다. [[동서남북]]에 따라 [[서부]], [[남부]], [[북부]]와 자주 함께 쓰인다. === 동부(銅斧), [[구리(원소)|구리]] [[도끼]] === 주로 문화재 쪽에서 [[청동기]] 시대의 [[도끼]]를 동부라고 한다. 가령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8725|유견동부(有肩銅斧)]] 등. 오늘날에는 순우리말로 '구리 도끼'라고 하는 편이다. == 용어 == === -동부, [[유튜브]] 제작 팀을 의미하는 접미사 === [[트위치]]나 [[아프리카TV]] 등에서 스트리밍과 유튜브를 병행하는 일부 [[노캠]] [[인터넷 방송인]]의 밑에서 유튜브를 제작하는 팀을 닉네임의 앞 글자를 따와 'X동부'라고 한다. 가령 [[플레임TV]]의 제작 팀은 '플동부', [[라디유]] 유튜브 제작팀은 '라동부'라고 하는 식이다. 대체로 유튜브 [[섬네일]]을 그리는 섬네일러와 영상 편집을 담당하는 [[편집자]], 스트리밍 관련 활동을 관리하는 [[매니저]], 영상 컨텐츠를 찍는 방송자로 구성되어있다. 스트리머들의 본진은 트위치나 아프리카TV와 같은 실시간 플랫폼이고 유튜브에선 다시보기 편집영상이나 스트리머 캐릭터가 주제인 짧은 애니메이션 같은 것만을 올리는 식의 부차적인 플랫폼으로서 운영하기에, 유튜브 영상 제작 인원이 따로 필요한 것이다. 특히나 노캠 스트리머들은 [[섬네일]]마다 새로운 그림을 그리는 경우가 많으며 영상 내에서도 그림을 활용한 편집이 많은 편이다. 아무래도 방송인의 정체성이 일러스트를 통해 표현되기 때문에, 시청자들도 일러스트를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어 캠을 사용하는 스트리머들과는 다른 특별한 인식이 갖춰져 있다. 그래서 이러한 스트리머 산하 유튜브 제작 팀을 [[노동부]]에서 [[혼성어|앞글자를 바꿔]] 부르기 시작했으며, 말 그대로 스트리머를 위해 노동하는 사람들이라는 의미이다.[*예시 [[임나은]] 유튜브 섬네일에서 임동부를 '임나은 노동부'로 표기한 예 [[https://youtu.be/sRmD9rtTqtc|#]]] 영상 편집만이 아니라 그림, [[Live2D]] 제작, 일부 채팅 메니저 까지 노동자(?)로 본다. 캠을 사용하는 스트리머들은 크게 따로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편집자나 앞글자를 따와서 X집자라고 부르며, [[침착맨]]처럼 X수자와 같은 독자적인 명칭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예시로 '칸'이라는 약칭을 사용하는 두 스트리머가 있는데, '칸집자'를 검색하면 캠 스트리머 [[한동숙]](동수칸)의 편집자가 나오며, '칸동부'를 검색하면 노캠 스트리머 [[강지]] 쪽 버튜버 [[아이리 칸나]]의 편집 팀에 관한 내용이 나온다. [[장삐쭈]]와 [[빨간내복야코]], [[총몇명]] 등처럼 상당한 숫자의 애니메이터와 편집자들을 거느린 유튜브 채널도 있지만 이들도 기본적으로는 동부란 단어는 쓰지 않는다. [[짤툰]](빅픽처팀)이나 [[티타남]](삼성물산), [[벨리곰]](롯데홈쇼핑), [[펭수]](EBS), [[세아 스토리]](스마일게이트) 같은 경우는 특정한 회사/기업에서 운영하는 기업 유튜브 채널이라 그런지 동부란 단어는 쓰지 않는다. 동부 내의 직원들은 스트리머를 보통 [[사장]]님이라고 부르는 편이다. == 인물 == === [[동부(삼국지)|동부]](董扶), 후한 말의 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동부(삼국지))] == 지리의 동부(東部) == === [[미국]] 동부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US_map-East.png]] 영토가 광활하여 동부/서부를 따로 지칭하는 나라 중 한국에서 가장 잘 알려진 예는 미국의 동/서부 구분이다. [[러시아]], [[중국]], [[호주]] 등 여타 [[대국]]과는 달리 동/서부가 비교적 대등하다.[* [[러시아]]는 서부, [[중국]]과 [[호주]]는 동부의 인구 비율이 압도적이다.] 영문 위키피디아를 참고하면 동부 인구는 약 1.8억, 서부 인구는 0.8억으로 2:1 정도는 된다. 또한 주로 동부가 전통적이라면 서부는 개척적이고 이주민이 많다는 이미지 차이도 뚜렷하다. 때문에 [[지역 갈등/아메리카/미국]]에서도 보듯 동부 vs 서부의 라이벌 의식이 있다. 미국의 수도인 [[워싱턴 D.C.]], 세계 경제, 문화, 패션 등의 중심지로 유명한 [[뉴욕시|뉴욕]]이 미국 동부의 대도시로 유명하다. 미국에서는 주로 East([[이스트]])라고 한다. 아메리칸 이스트(American East)이라고도 부른다. [[MLB]]에서는 내셔널리그 동부지구, 아메리칸리그 동부지구에 해당한다. === [[한반도]]의 동부 === 한반도는 대체로 북중남으로 3분하여 분류하며 간혹 [[황해도]]와 [[평안도]]를 서부 지방으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동부 지방을 따로 분류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함경도]], [[강원도]], [[경상도]]가 동쪽에 있기는 하지만 민요를 지역에 따라 구분할 때 같은 예외를 제외하고 셋을 묶어서 동부로 분류하지는 않는다. 다만 고려시대에 경상도의 [[경주시|경주]]를 [[동경]]으로 불렀고 경상도 방언을 동남 방언으로 부르고 함경도 방언을 동북 방언으로 부르는 등 대체로 함경도, 경상도가 동부로 인식되는 편이다. 강원도의 경우 수도권과 묶여서 주로 중부로 인식된다. === [[중국]] 동부 === [include(틀:중국의 행정구역)] 중국지리대구(中国地理大区) 기준 화둥지구(华东地区)를 중국의 동부로 칭한다. 이 중 [[푸젠성]]은 남부로 빼기도 한다. 이 지역은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장강]] 북부는 드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으며 남부는 험준한 산악지역이다. 그래서 화둥지구 북부는 현재까지도 중국의 주요 농산품 생산지인 반면 화둥지구 남부는 농산품으로는 그닥 유명하지 않다. 이 지방은 고대부터 중국의 주요 무역거점이었으며, 남부가 인도/아랍/유럽 상인들이 드나드는 무역기지로 개발된 이후에도 한반도나 일본을 대상으로는 이 화둥지방의 도시들이 주 무역기지였다. 서방 기준으로도 이 지역은 남부 못지않게 중요한 무역기지였으며, 상하이의 경우 상하이 공공조계지가 설치되어 서구 무역기지가 생겨났으며 [[독일 제국]]의 조계지였던 [[키아우초우]]는 현 [[칭다오시]], 즉 화둥지구에 있었다. 개혁개방 이후에도 화둥은 중국 본토의 경제 및 금융 중심지인 상하이시를 중심으로 [[난징시]], [[항저우시]] 등의 거대도시들이 잇따라 존재하는 엄청난 발달을 한 지역으로 유명하다. 그리고 중국을 단순히 남북으로 나눌 경우 보통 남중국의 중심지도 진짜 최남단의 도시들보다는 이 화둥지구의 도시들 중에서 선택되는 편이다. === [[일본]] 동부([[동일본]]) === [include(틀:일본의 지방)] 위 표대로 일반적으로 주부, 간토, 도호쿠, 홋카이도 일대를 동부라고 한다. 단, [[홋카이도]]는 역사적으로도 그렇고 거리상으로도 그렇고 좀 따로 노는 감이 있다. [[JR]]도 홋카이도는 [[JR 홋카이도]]가 따로 있다. 전통적으로 일본은 [[간사이]]와 [[간토]]의 [[라이벌]] 구도가 유명하다. 서부가 좀 더 전통적 중심지라면 동부는 근현대의 중심지라는 이미지이다. 그 경계로는 흔히 [[세키가하라]]를 거론하며, [[세키가하라 전투]] 역시 동군과 서군이 격돌한 전투이다. 서일본과의 유명한 차이로는 송전되는 전기의 [[주파수]]가 60hz, 동일본은 50hz로 다르다는 것이다. [[근대화]] 과정에서 시작이 달라 그렇게 됐다고 한다. 동일본 인구 7241만 명(2010)는 서일본 인구 5560만 명(2010)보다 다소 많은 편이다.[[https://media.toriaez.jp/r1035/096977435304.pdf|#]] 아무래도 [[간토 평야]]에 위치한 [[도쿄권]]이 도시권 인구 4300만 명을 자랑하는 세계 최대급 [[메갈로폴리스]]다 보니 앞서가기 마련이다. 간사이의 [[케이한신]]도 2000만 명 수준으로 한국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정도의 규모는 되나 도쿄권에는 따라가지 못한다. 그래도 여타 국가들이 비하면 비등비등한 편이다. 위에서 그나마 대등하다는 미국도 인구 비율이 2:1인데 일본은 동부가 서부보다 1.3배 정도 많은 수준이다. * [[JR 동일본]] === [[얼음과 불의 노래]]의 지명 [[동부(얼음과 불의 노래)|동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동부(얼음과 불의 노래))] [[웨스테로스]]의 동부라는 뜻이다. 정식 명칭은 아린의 계곡(the Vale of Arryn)이다. == 지명 == === [[동부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동부동)] === [[동부면]], [[경상남도]] [[거제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동부면)] [[분류:지역지리]][[분류:동음이의어]][[분류:콩목]][[분류:이름이 같은 지역/대한민국]][[분류:축약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