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include(틀:중국 인민해방군의 전구)] ||<-2> {{{#ffff00 {{{+2 '''중국 인민해방군 동부전구'''}}}[br]中国人民解放军东部战区[br]People's Liberation Army Eastern Theater Command }}} || ||<-2> [[파일:동부전구 로고.png|width=300]] || ||<-2> {{{#ffff00 '''중국 인민해방군 동부전구 심볼''' }}} || ||<-2> {{{#ffff00 '''모토''' }}} || ||<-2> 당의 지휘를 따르면, 싸움에서 이길 수 있고, 작풍이 우수하다[br](听党指挥、能打胜仗、作风优良) || || {{{#ffff00 '''창설 연도''' }}} ||[[2016년]] [[2월 1일]] || || {{{#ffff00 '''국가'''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중화인민공화국]] || || {{{#ffff00 '''명령체계''' }}}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중앙군사위원회]] || || {{{#ffff00 '''소속''' }}} ||[[파일:중국 인민해방군기.svg|width=30]] [[중국 인민해방군]] || || {{{#ffff00 '''내부조직''' }}} ||동부전구육군, 동부전구해군, 동부전구공군 || || {{{#ffff00 '''군종''' }}} ||[[통합군]] || || {{{#ffff00 '''전력''' }}} ||약 320,000명 || || {{{#ffff00 '''본부''' }}} ||[[중국]] [[장쑤성]] [[난징시]] 쉬안우구(동부전구 총의원 북쪽)[* [[https://www.openstreetmap.org/way/363607514#map=16/32.0535/118.8069|#]]] || || {{{#ffff00 '''행진곡''' }}} ||[[중국인민해방군진행곡]] || || {{{#ffff00 '''참전''' }}} || 없음 || ||<-2> {{{#ffff00 '''지휘''' }}} || || {{{#ffff00 '''동부전구[br]사령원''' }}} || [[파일:중국육군상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상장 [[린샹양]](林向阳)^^([[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육군]])^^ || || {{{#ffff00 '''동부전구[br]정치위원''' }}} || [[파일:중국해군상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상장 류칭쑹(刘青松)^^([[중국 인민해방군 해군|해군]])^^ || || {{{#ffff00 '''동부전구[br]부사령원''' }}} || {{{-2 [[파일:중국공군중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중장 왕캉핑(王抗平)^^([[중국 인민해방군 공군|공군]])^^[br][[파일:중국육군중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중장 훙장창(洪江强)^^([[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육군]])^^[* 동부전구 참모장 겸임][br][[파일:중국육군중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중장 쿵쥔(孔军)^^([[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육군]])^^[* 동부전구 육군사령원 겸임][br][[파일:중국공군중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중장 우쥔바오(吴俊宝)^^([[중국 인민해방군 공군|공군]])^^[* 동부전구 공군사령원 겸임][br][[파일:중국해군중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중장 왕중차이(王仲才)^^([[중국 인민해방군 해군|해군]])^^[* 동부전구 해군(동해함대)사령원 겸임]}}} || || {{{#ffff00 '''동부전구[br]부정치위원''' }}} || {{{-2 [[파일:중국공군중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중장 중웨이궈(钟卫国)^^([[중국 인민해방군 공군|공군]])^^}}}[br]{{{-2 [[파일:중국육군중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중장 인홍원(尹洪文)^^([[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육군]])^^[* 동부전구 정치공작부 주임 겸임]}}}[br] {{{-2 [[파일:중국육군중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중장 탕싱화(唐兴华)^^([[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육군]])^^[* 동부전구 육군 정치위원 겸임]}}}[br][[파일:중국해군중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2 중장 [[메이원]](梅文)^^([[중국 인민해방군 해군|해군]])^^[* 중국 최초의 항공모함 [[랴오닝함]]의 초대 정치위원, 동부전구 해군 정치위원 겸임]}}} || [[파일:external/img.segye.com/20160202003981_0.jpg|width=450]] [[파일:동부전구_2022.jpg|width=450]] [목차] [clearfix] == 개요 == 사령부 위치는 [[난징]]. [[중국 인민해방군]]의 5대 전구 중 동부에 위치한 전구이다. [[장쑤성]], [[상하이시]], [[저장성]], [[안후이성]], [[장시성]], [[푸젠성]] 등을 관할하며 과거의 [[남경군구]]와 권역이 거의 일치한다. 남부전구와 더불어 [[중국]]에서 경제적으로 중요한 지역을 관할하는 전구이다. [[대만]]과 [[남중국해]] 대응에 집중되어있는 전구로서 71(舊12집단군)/72(舊1집단군)/73(舊31집단군) 집단군으로 개편되며 감축이 전혀 없다. 공산당 정권의 핵심 방위 전구인 [[중부전구]]가 가장 대폭해체가 큰데도 말이다. 대만전선에 대한 중국의 입장이 어느정도인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라고도 할 수 있다. 3개 육군 집단군, 1개 해군 함대, 2개 해군육전여단, 2개 공군 기지, 1개 로켓군 기지로 이루어져 있다. == 편제 == === 기능부서 === - 연합참모부 전투국 정보국 정보인증원 군사수요국 합동훈련위원회 동원국 작업국 직속 군복무국 합동작전사령부 - 정치공작부 사무실 조직국 간부국 군민국 홍보국 단체근로자연락국 === 전투부서 ===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동부전구육군]] ==== 사령부는 [[난징시]] - 직할부대 - 제1정보정찰여단 - 제1정보보안여단 - 제1전자대항여단 - 제1화력여단 (远程火箭炮兵; 장거리 로켓포병 (다련장) ) - 제31도하여단 (舟桥; 주교 (Boat & Bridge) ) - 제301해안방어여단 (장쑤성 난퉁시 하이먼시 Sijia(四甲镇) - 제302해안방어여단 (저장성 저우산시) - 제303해안방어여단 (푸젠성 푸저우시 창러구) - 제304해안방어여단 (푸젠성 샤먼시 후리구) 71집단군 (장쑤성 쉬저우시) - 제2합성여단 ,,,중형(重型),,, [合成] - 제35합성여단 ,,,중형(重型),,, - 제160합성여단 ,,,중형(重型),,, - 제178합성여단 ,,,중형(中型),,, - 제179합성여단 ,,,경형(輕型),,, - 제235합성여단 ,,,중형(重型),,, - 제71특수전여단 [特战] 상어부대(海鲨) - 제71포병여단 [炮兵] - 제71방공여단 [防空] (허베이시) - 제71공병방화여단 [工程防化] (벙부시) - 제71육군항공여단 [陆航] - 제71물류지원여단 [勤务支援] 72집단군 (저장성 후저우시) - 제5합성여단 [合成] - 제10합성여단 ,,,중형(重型),,, - 제34합성여단 ,,,중형(中型),,, - 제85합성여단 ,,,중형(中型),,, - 제90합성여단 ,,,경형(輕型),,, - 제124합성여단 ,,,상륙(两栖),,, - 제72특수전여단 [特战] 벼락부대(霹雳) - 제72포병여단 [炮兵] - 제72방공여단 [防空] - 제72공병여단 [工化] - 제72육군항공여단 [陆航] - 제72물류지원여단 [勤务支援] 73 집단군 (푸젠성 샤먼시) - 제3합성여단 ,,,경형(輕型),,, [合成] - 제14합성여단 ,,,상륙(两栖),,, - 제86합성여단 ,,,중형(重型),,, - 제91합성여단 ,,,상륙(两栖),,, - 제92합성여단 ,,,경형(輕型),,, - 제145합성여단 ,,,중형(中型),,, - 제73특수전여단 [特战] 동해비룡부대(东海飞龙) - 제73포병여단 [炮兵] - 제73방공여단 [防空] - 제73공병여단 [工化] - 제73육군항공여단 [陆航] - 제73물류지원여단 [勤务支援] * 직속단위 * 제1종합훈련기지: [[장쑤성]] [[잔장시]] 주롱시 소재 * 제2종합훈련기지: [[푸젠성]] [[푸저우시]] 푸칭시 소재 * 삼계종합훈련기지: [[안후이성]] [[추저우시]] 밍광시 삼계진 소재[* 화이허 이남에서 가장 큰 계약전술훈련기지로 다군종 사단급 대항훈련이 가능하다.] *제73집단군의원 ====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동부전구해군]] ==== 사령부는 [[닝보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동해함대)] 구축함제3지대(驱逐舰第3支队) 구축함제6지대(驱逐舰第6支队) 호위함제13지대(护卫舰第13支队) 호위함제14지대(护卫舰第14支队) 호위함제15지대(护卫舰第15支队) 호위함제16지대(护卫舰第16支队) 잠정제22지대(潜艇第22支队) 잠정제42지대(潜艇第42支队) 등륙함5지대(登陆舰5支队) 작전지원2지대(作战支援2支队) 해항4사(海航4师) 해항6사(海航6师) 해항1사 ====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동부전구공군]] ==== 사령부는 [[난징시]] |||||||| 상하이 기지[* 부군급] || || 7여단 || 저장성 [[자싱시]] [[자싱 난후 공항|난후 공항]] || 61X8X || [[J-16]] || || 8여단 || 저장성 [[후저우시]] 창싱현 창싱공항[* 좌표 30.96861°N 119.73056°E] || 61X9X || [[J-10]]A || || 9여단[* 왕하이 여단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한국전쟁]]때 활약한 장군의 이름에서 따왔다.] || 안후이성 [[우후시]] 주장구 [[우후 완리 공항]] || 62X0X || [[J-20]] || || 78여단 || 상하이 [[충밍구]] [[상하이 충밍 공항|충밍공항]] || 68X9X || J-8DF || || 83여단 || 저장성 [[항저우시]] 젠차오 공항[* 과거에는 민·군 공항이었으나 2000년 12월 [[항저우 샤오산 국제공항|항저우 샤오산 공항]]으로 민항기능이 이전하였다.][* 공항 전체가 '''국가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어있다.] || 69X4X || [[JH-7]]A || || 95여단 || 장쑤성 [[롄윈강시]] [[렌윈강 바이타부 공항|바이타부 공항]] || 70X6X || [[J-11]]B || |||||||| 푸저우 기지[* 부군급] || || 25여단 || 광둥성 [[산터우시]] [[산터우 와이샤 공항]] || 63X6X || [[J-10]]C || || 40여단 || 장시성 [[난창시]] [[난창 샹탕 공항]] || 65X1X || [[J-16]] || || 41여단 || 푸젠성 [[난핑시]] 무이산시 [[우이산 공항]] || 65X2X || [[J-11]]A || || 85여단 || 저장성 [[취저우시]] [[취저우 공항]] || 69X6X || [[Su-30]]MKK || |||||||| 제10폭격사 || || 28연대 || [[안후이성]] [[안칭시]] [[안칭 톈쥬산 공항|톈쥬산 공항]][* 좌표 30°34'55.98"N 117°3'2.48"E] || 20X1X[* 01~49] || [[H-6]]M || || 29연대 || 장쑤성 난징시 뤼허구 [[뤼허 마안 공항|마안공항]][* 좌표 31°59'51.94"N 118°48'56.16"E] || 20X1X[* 51~99] || [[H-6]]H || || 30연대 || 장쑤성 난징시 뤼허구 [[뤼허 마안 공항|마안공항]][* 좌표 31°59'51.94"N 118°48'56.16"E] || 21X1X || [[H-6]]K || |||||||| 제26특수사 || || 76연대 || 장쑤성 우시시 || 3XX7X || [[KJ-2000]], [[KJ-200]], [[Y-8]] || || 77연대 || 장시성 지우장시 || 3XX7X || [[KJ-500]] || || 93연대 || 장쑤성 쑤저우시 || 3XX7X || [[J-8]]F || |||||||| 2023년 여름에 해군 항공대에서 공군으로 이관됨 || || 804여단 || 저장성 타이저우 루차오(台州路桥)기지 || 8XX4X || [[Su-30]]MK2, [[J-10]]A || || 806여단 || 저장성 이우(浙江义乌)기지([[이우공항]]) || 8XX6X ||[[H-6]]G, H-6J|| || 817여단 || 장쑤성 [[창저우시]] 신베이구(창저우 번뉴 국제공항) || ??? || H-6G , H-6J || || 823여단 || [[광시성]] [[구이강시]] 구이핑시 || ??? || H-6G , H-6J || == 전구 소속이 아닌 부대 == === [[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 === === [[중국 인민해방군 전략지원부대]] === ===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 – 무장경찰 상하이 본부(武警上海总队) – 무장경찰 장쑤 본부(武警江苏总队) – 무장경찰 저장 본부(武警浙江总队) – 무장경찰 안후이 본부(武警安徽总队) – 무장경찰 장시 본부(武警江西总队) – 무장경찰 푸젠 본부(武警福建总队) 전부 부군급. == 역대 사령원 == [include(틀:중국 인민해방군 동부전구 역대 사령원)] == 관련 문서 == * [[대만 육군]] [[분류:중국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