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봉철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br][[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8.svg|width=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1996년 한국시리즈|{{{#ffffff 1996}}}]]''' || ---- ||<-5>
'''{{{#ffffff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46번}}}''' || || 결번 || {{{+1 →}}} || '''{{{#0047ab 동봉철[br](1992~1995)}}}''' || {{{+1 →}}} || 홍광천[br](1996) || ||<-5> '''{{{#ffffff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27번}}}''' || || 한명호[br](1993~1995) || {{{+1 →}}} || '''{{{#0047ab 동봉철[br](1996~1996.5.24.)}}}''' || {{{+1 →}}} || 김훈[br](1996.5.25.~1997) || ||<-5> '''{{{#ffffff [[해태 타이거즈|'''{{{#ffffff 해태 타이거즈}}}''']] 등번호 44번}}}''' || || [[이병훈(야구)|이병훈]][br](1994~1996.5.24.) || {{{+1 →}}} || '''{{{#ff0000 동봉철[br](1996.5.25.~1996)}}}''' || {{{+1 →}}} || [[김창희(야구)|김창희]][br](1997~2002) || ||<-5> '''{{{#fff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25번}}}''' || || 박재호[br](1994~1996) || {{{+1 →}}} || '''{{{#ffffff 동봉철[br](1997~1998.5.1.)}}}''' || {{{+1 →}}} || [[정영규]][br](1998.5.2.~2000) || ||<-5> '''{{{#fff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43번}}}''' || || [[정영규]][br](1995~1998.5.1.) || {{{+1 →}}} || '''{{{#ffffff 동봉철[br](1998.5.2.~1998)}}}''' || {{{+1 →}}} || 임광규[br](1999~2000) || ||<-5> '''{{{#000000 [[쌍방울 레이더스|'''{{{#000000 쌍방울 레이더스}}}''']] 등번호 32번}}}''' || || 김훈[br](1998.8.1.~1998) || {{{+1 →}}} || '''{{{#ffc81e 동봉철[br](1999)}}}''' || {{{+1 →}}} || 팀 해체 || }}}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mage/ohmynews/2007/07/14/1184394911.819561_punctum_287885_57%5B648715%5D.jpg|width=100%]]}}} || ||<-2> '''{{{+2 동봉철}}}[br]董奉瞮 | Dong Bong-Cheol''' || ||<|2> '''출생''' ||[[1970년]] [[1월 2일]] ([age(1970-01-02)]세) || ||[[서울특별시]] [[성북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서울화계초등학교|화계초등학교]] {{{-2 (졸업)}}}[br][[신일중학교(서울)|신일중학교]] {{{-2 (졸업)}}}[br][[신일고등학교 야구부|신일고등학교]] {{{-2 (졸업)}}}[br][[중앙대학교 야구부|중앙대학교]] {{{-2 ([[사진학과|사진학]] 88 / [[학사]])}}} || || '''포지션''' ||[[외야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92년/신인드래프트#s-3.2|1992년 2차 1라운드]] (전체 7번, [[삼성 라이온즈|삼성]]) || ||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1992~1996)''' [br] [[해태 타이거즈]] (1996) [br] [[LG 트윈스]] (1997~1998) [br] [[한화 이글스]] (1998) [br] [[쌍방울 레이더스]] (1999) || || '''지도자''' ||[[경찰 야구단]] 타격코치 (2012) [br]도봉구 리틀야구단 감독 (2018~2019) [br] 스포츠투아이 부설 야구학교 수비코치 (2020~) ---- [[대한민국 여자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 (2017~2018) || || '''해설위원''' ||[[SPOTV]] 야구 해설위원 (2014~2015)[* [[오키나와]] 연습경기 중계에 [[해설자]], 2015년 시범경기로 나왔다.] [br] [[KBS 해피FM]](제2라디오) 야구 해설위원 || || '''경력''' ||[[한국야구위원회|KBO]] 육성위원 (2014)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삼성 라이온즈]], [[해태 타이거즈]], [[LG 트윈스]], [[한화 이글스]], [[쌍방울 레이더스]] 소속으로 뛰었던 외야수. 신인시절부터 두각을 보이며 삼성 라이온즈의 차기 간판 타자가 될 것으로 보였지만, 부상과 부진으로 일찍 내리막을 겪고 8년간 무려 5팀을 오간 [[저니맨]]이 되었다. == 선수 경력 == [[서울화계초등학교]] - [[신일중학교(서울)|신일중학교]] - [[신일고등학교 야구부|신일고등학교]] - [[중앙대학교 야구부|중앙대학교]] (사진학과 1988학번) 시절 공수주 3박자를 겸비한 좌타자로 줄곧 국가대표로 뛰었지만, 신인 드래프트에서 [[임선동]], 손경수 등에 밀려 [[서울특별시]] 연고 팀에 지명되지 못하고 [[삼성 라이온즈]]의 2차 1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하게 된다. 입단 이후 최초 2년 간 3할 타율, 20도루를 기록하는 등 잘 나갔다. 특히 입단 첫 해인 1992년에는 전 경기에 출장하면서 3할에 두자리수 홈런 달성 및 20도루 이상을 기록했다. 이해 타격 sWAR 5.63을 기록하며 리그 7위, 팀내 1위에 오르며 골든글러브도 노려볼 만한 성적이었지만, [[김응국]]이 우승 버프를 받으며 수상하지 못했다. 당시 [[염종석]]과 [[정민철]]이라는 걸출한 고졸출신 투수 두 명이 나온 탓에 결국 [[KBO 신인상]]은 놓쳤지만, 그해 신인으로 데뷔한 타자 중에서는 단연 최고의 성적을 냈다. 역대 22세 선수들의 타격 sWAR을 비교해보면 [[장종훈]], [[이승엽]]에 이어 3위 라인인 [[이정후]], [[장성호]]와 겨우 0.01 차이 나는 5위. 당시 '''미스터 라이온즈'''로 유명한 [[도이 마사히로]]의 지도가 컸다. 입단 2년차인 1993년에는 허리 부상 탓인지 6월이 되어서야 간신히 경기에 출전할 수 있었는데, [[방위병]] 복무를 병행하여 자연히 홈 경기에만 출장한 관계로 규정 타석은 채우지 못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0.345라는 높은 [[타율]]에 20도루, 타격 sWAR 4.87을 기록하며 리그 7위, 전체 외야수 중 1위에 올랐다.~~정작 팀내에선 4위다. TOP7에 4명이나 있는 93삼성의 위엄~~ wRC+도 무려 187.5로 규정 타석만 채웠으면 골든글러브는 무조건 가져갔을 성적.~~컴프매에서의 미친 성적이 이해간다.~~ 이 시절을 현재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아시안게임 국대]]의 [[류중일]] 감독이 평가하기를 '최고의 2번 타자'라고 한다. 1번 타자는 류중일 자신이었고 당시 2번의 역할이 번트 or 진루타 등의 소극적인 역할로 그쳐왔던 반면, 동봉철은 강력한 공격력을 바탕으로 타점을 올리며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지금도 [[류중일]] 감독이 항상 '''강한 2번 타자'''를 강조하는 데는 이런 과거의 경험도 영향이 있다.[* 21세기 들어서 [[세이버매트릭스]]가 발달하면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메이저리그]]에서 강한 2번타자론이 각광받게 된 것을 보면 동봉철은 나름 선구자인 셈.] 그러나 1994년에는 부진했고, 급기야 다음 해인 1995년에는 [[신동주(야구)|신동주]]에게 중견수 자리를 내준 뒤 좌익수로 자리를 옮겼다. 결정적으로 1995년 시즌 후 [[백인천|백골프]]가 감독으로 취임하면서부터 야구 인생이 꼬이게 된다. 1996년 5월 27일, [[김태룡(1968)|김태룡]]과 함께 [[이병훈(야구)|이병훈]], 김훈을 상대로 [[해태 타이거즈]]에 트레이드됐고, [[현대 유니콘스]]와의 [[1996년 한국시리즈]] 6차전[* [[전설의 타이거즈]] 채널에도 시리즈 하이라이트 영상이 있으며 9회초 동봉철의 중전안타 영상이 있다.]에서 9회 초 쐐기 타점을 올리는 등 해태에서는 우승 반지도 얻어냈지만 같은 해 [[11월 5일]] [[조현(1976)|조현]]과 [[최훈재]]를 상대로 [[송유석]][* [[해태 타이거즈 하와이 항명사건]]의 보복이었다.], [[최향남]]과 함께 [[LG 트윈스]]로 다시 [[트레이드]]됐다. 해태 시절은 짧은 몇개월 사이에 한국시리즈 타점 등 이미지는 상대적으로 강렬히 남겼는데, 반면 1997년 LG에서의 시즌은 삼성을 떠난 뒤 불안정하던 모습을 완벽하게 일신하는 모습이었다. 신장염으로 한시즌을 통으로 날린 김재현의 빈자리를 완벽하게 메우며 시즌 내내 풀타임 출장 및 1번 유지현-2번 동봉철-3번 서용빈으로 이어지는 테이블세터의 한 축을 맡았다. 시즌 내내 꽤 중요한 타이밍에서 적시타나 출루를 쏠쏠하게 해주면서 팬들의 여론도 좋았다. 특히 LG가 6회까지 0대2로 끌려가던 친정팀 삼성과의 플레이오프 5차전에서는 기습번트 안타로 팀 타선의 물꼬를 터주었고, 팀은 이후 집중타로 단숨에 6대2로 역전 및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그러나 1998 시즌 김재현의 복귀와 맟물려 타격 슬럼프에 시달리며 [[정영규]]를 상대로 [[한화 이글스]]에 트레이드됐다. 1998 시즌 후에는 내야수 [[이민호(1969)|이민호]]와 함께 투수 임창식을 상대로 [[쌍방울 레이더스]]에 트레이드됐고, 통풍성 관절염과 척추염으로 1999 시즌 후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이광길]], [[임호균]][* 단 이쪽은 롯데와 삼청태만 뛰었다.] 등과 함께 1세대 저니맨이고, 1년에만 3차례 팀을 옮기는 서러움을 두 번이나 맛본 선수지만 나무위키에는 어찌 된 일인지 [[최익성]], [[최향남]] 등에게 밀려서 [[저니맨]] 항목에 언급되지 않았고, 등록도 상당히 늦게 되었다. == 은퇴 이후 == 은퇴 후 [[2000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2년 간 유학했다. 귀국한 뒤에는 SW밸리엔터테인먼트와 휴즈엔터테인먼트 등지에서 연예인 매니지먼트업에 잠시 종사했다. [[중앙대학교 야구부|중앙대]] 재학 시절 전공한 [[사진학과|사진학]] 기술을 살려 사진 스튜디오를 운영하기도 했고, LG와 쌍방울에서 한솥밥을 먹었던 후배 곽재성과 함께 강남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등 야구와 거리를 두며 살았다.[[http://mbiz.heraldcorp.com/view.php?ud=20080512000058#cb|#]] [[2012년]]에는 [[경찰 야구단|경찰청]]의 타격코치로 부임하며 오랜만에 야구 현장으로 복귀했다가, 1시즌 만에 그만두었다. 이후로는 해설가로 활동 중이다. 2014년 들어서 [[SPOTV]] [[오키나와]] 연습경기 중계에 [[해설자]]로 나왔고, [[KBS 제2라디오]] 한정으로 라디오 프로야구 중계에 해설가로 참여 중이다. [[2015년]] 시범경기 때는 [[SPOTV]]에서 해설위원으로 참여하기도 했다. 2014년에는 [[한국야구위원회|KBO]]의 육성위원으로 위촉되었다. 2017년 여자야구대표팀 감독에 선임되었다.[* [[https://sports.v.daum.net/v/20170726163104554|[콤팩트뉴스] 한국 여자야구연맹, 아시안컵 대표 20명 명단 발표]]] 2019년 12월, 스포츠투아이 부설 야구학교에 수비코치로 합류했다. == 기타 == [[동(성씨)|동]]씨가 희성이라[* 집성촌이 함경도 지방에 있어서 북한에 더 많이 분포해 있다고 한다.] 신인 시절 때에는 이름을 '봉동철'로 오해받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아마도 동씨 성을 가진 한국인들 중에서는 보이그룹 [[BIGBANG|빅뱅]]의 멤버 [[태양(BIGBANG)|태양]](본명 동영배)과 그의 친형인 배우 [[동현배]]와 함께 거의 셋 뿐인 유명인듯 하다. [[컴투스 프로야구 for 매니저]]에서는 방위병으로 복무 했던 93년 시즌이 컴프매 규정타석을 만족해 몬스터 카드가 출시 되었는데, 엄청난 퍼포먼스를 자랑하며 동봉철이 들어갈 수 있는 대부분의 덱에서 쟁쟁한 다른 외야수 들을 제치고 주전 자리를 챙겨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일명 '''듣보철''', '''적폐철'''[* 삼성 올스타, 삼성-@ 형태의 대부분의 듀얼 올스타, 90연대 올스타 등...] 이후 컬렉터블 스타덤 6th에서 프리미엄 스킨까지 출시 되면서[* 스타덤 팩의 프리미엄 선수들은 과거 선수 위주로 편성이 되어 있는데 6th 시점에서 프리미엄 스킨을 받은 삼성 선수들을 살펴보면 '''[[김시진]]''', '''[[이승엽]]''', '''[[장효조]]''', '''[[이만수]]''', '''[[양준혁]]''', '''[[임창용]]''', [[김성래]], [[권오준]] 그리고 동봉철이다. 즉 '''[[김일융]]''', '''[[김상엽]]''', '''[[박충식]]''' 과 같은 많은 레전드 선수들을 제치고 먼저 스킨이 출시된 것이다!] 컴프매의 동봉철 사랑이 인증되었다. 이후 컴프매 유저들 사이에서 프리미엄 스킨을 출시해달라고 징징거릴 때 마다 "동봉철도 스킨이 있는데 왜 xxx는 없나요?"하는 식으로 자주 언급되는 중. 다만 2020년 이후로는 유저들의 연구와 전력 인플레로 인해 주로 삼성 관련덱에만 기용된다. == 연도별 성적 == ||<-15>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 1992 ||<|4> [[삼성 라이온즈|삼성]] || 126 || 410 || .317 || 130 || 18 || '''7''' [br] (5위) || 11 || 52 || '''95''' [br] (3위) || 24 || 85 || .476 || '''.433''' [br] (5위) || || 1993 || 68[* 방위 복무에 따라 홈 경기에만 출장했기 때문에 출전 경기수가 적다.] || 249 || .345 || 86 || 10 || '''5''' [br] (5위) || 5 || 28 || 53 || 20 || 44 || .486 || .442 || || 1994 || 100 || 319 || .254 || 81 || 12 || 2 || 5 || 33 || 44 || 15 || 53 || .351 || .359 || || 1995 || 110 || 293 || .235 || 69 || 11 || 0 || 1 || 18 || 54 || 11 || 49 || .283 || .344 || || {{{#ffff00 연도}}} || {{{#ffff00 소속팀}}} || {{{#ffff00 경기수}}} || {{{#ffff00 타수}}} || {{{#ffff00 타율}}} || {{{#ffff00 안타}}} || {{{#ffff00 2루타}}} || {{{#ffff00 3루타}}} || {{{#ffff00 홈런}}} || {{{#ffff00 타점}}} || {{{#ffff00 득점}}} || {{{#ffff00 도루}}} || {{{#ffff00 4사구}}} || {{{#ffff00 장타율}}} || {{{#ffff00 출루율}}} || || 1996 || [[삼성 라이온즈|삼성]] / [[해태 타이거즈|해태]] || 101 || 264 || .182 || 48 || 12 || 4 || 3 || 19 || 37 || 15 || 44 || .292 || .298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 1997 || [[LG 트윈스|LG]] || 122 || 363 || .262 || 95 || 17 || 4 || 5 || 29 || 64 || 25 || 49 || .372 || .348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 || {{{#ffffff 타수}}} ||{{{#ffffff 타율}}}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 1998 || [[LG 트윈스|LG]] / [[한화 이글스|한화]] || 64 || 139 || .201 || 28 || 4 || 0 || 3 || 17 || 22 || 2 || 32 || .295 || .347 || || {{{#ffcc00 연도}}} || {{{#ffcc00 소속팀}}} || {{{#ffcc00 경기수}}} || {{{#ffcc00 타수}}} || {{{#ffcc00 타율}}} || {{{#ffcc00 안타}}} || {{{#ffcc00 2루타}}} || {{{#ffcc00 3루타}}} || {{{#ffcc00 홈런}}} || {{{#ffcc00 타점}}} || {{{#ffcc00 득점}}} || {{{#ffcc00 도루}}} || {{{#ffcc00 4사구}}} || {{{#ffcc00 장타율}}} || {{{#ffcc00 출루율}}} || || 1999 ||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 || 59 || 168 || .274 || 46 || 8 || 0 || 1 || 14 || 18 || 4 || 31 || .339 || .385 || ||<-2> '''[[KBO 리그|KBO]] 통산''' [br] (8시즌) || 750 || 2205 || .264 || 583 || 92 || 22 || 34 || 210 || 387 || 116 || 387 || .372 || .373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성북구 출신 인물]][[분류:1970년 출생]][[분류:1992년 데뷔]][[분류:1999년 은퇴]][[분류:외야수]][[분류:좌투좌타]][[분류:삼성 라이온즈/은퇴, 이적]][[분류:해태-KIA 타이거즈/은퇴, 이적]][[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빙그레-한화 이글스/은퇴, 이적]][[분류:쌍방울 레이더스/은퇴, 이적]][[분류: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야구 감독]][[분류:광천 동씨]][[분류:신일고등학교 출신]][[분류:희귀성씨인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