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자살)] || [[파일:dnmlfnowe54325.jpg|width=400]] || [목차] [clearfix] == 개요 == {{{+1 Joint suicide | [[同]][[伴]][[自]][[殺]]}}} 동반 자살 또는 집단 자살이라고도 부른다. 한 명이 아니라 여러 명이 함께 [[자살]]하는 것을 말한다. 주로 [[가족]] 단위로 동반 자살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 행위는 (주도자가 살아 남는다는 가정하에) 엄연하게 '''[[자살 사주|촉탁 및 승낙에 의한 살인]]'''에 포함되는 '''[[범죄|범죄 행위]]'''이므로, 어지간하지 않고서야 [[교도소]]행을 면치 못할 것이다. 만일 살아남은 자가 주도자로부터 살아남기 위해 살해했다면 정상참작이 될 가능성이 있다. 사랑하는 남녀가 뜻을 이루지 못해서 동반자살하는 것은 우리말로 [[정사#s-5|정사]](情死)라고 한다. 일본에서는 [[신주#s-2.1|心中(신주)]]라는 단어가 해당 의미를 담고 있다. 다만 신주라는 단어의 뜻이 확장되어 동반 자살, 집단 자살을 통틀어 신주라고 한다. 일례로 일가족 자살이라하면 一家心中(잇카신주)라고 한다.[* '잇카신주'는 [[진중권]]의 과거 저서에서도 언급된 바가 있는 단어다.] 모시던 주군이 죽었을 경우 가신이 따라 죽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순사#s-2|순사]]라고 한다. == 사례 == 역사적으로 대표적인 동반 자살 사례를 꼽자면 [[1960년]] [[4.19 혁명]] 때 벌어진 [[이기붕]] 일가 동반 자살이 있다. 이때 자살을 주도한 이는 이기붕의 장남 [[이강석(1937)|이강석]]이었는데 형태는 역시 자살+살인이었다. 자살을 주도한 이강석이 권총으로 아버지 이기붕과 어머니 [[박마리아]], 동생 이강욱을 사살한 뒤 자신도 권총으로 자살했기 때문이다. [[명나라]]의 마지막 황제 [[숭정제]]도 동반 자살로 생을 마감했는데 역시 숭정제가 손수 자신의 가족들을 베어죽인 후 자신도 목을 매달아 자살했다. 역사 속 동반 자살 사건도 이렇게 대부분 자살과 살인이 동반되는 형태였다. [[일본]]이나 [[한국]]에서는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생판 모르는 남들이 채팅이나 카페 등을 통해 서로 만나 동반 자살하는 사례가 적잖아 있으며, 종교 단체에서 행해지는 집단 자살 또한 행해지고 있다. == 미수 시 처벌 == 자살은 살인에 비해 미수에 그칠 확률도 상당히 높다. 자기 자신을 공격하는 행위는 본능적으로 거부감을 일으키기 때문에 치명상을 입히지 않게 되는 것이다. 실제 역사의 [[도조 히데키 자살 미수 사건]]이 대표적이다. 혼자 하는 자살의 경우 한국 법에는 자살미수했다고 해서 자살시도자를 처벌하는 법률조항은 없다. 하지만 동반자살은 이야기가 다르다. 한국에는 [[자살방조죄]]라는 죄명이 있는데, 동반자살 사건이 발생할 시 그 일행 중 자살 미수로 살아남은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거의 무조건 자살방조죄로 처벌된다.''' 이는 오래전부터 철저히 지켜지는 사법당국의 관례이며, 수없이 많은 자살 관련 판례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당연하지만 살해는 했는데 자살이 미수에 그친 경우엔 [[살인죄]]다. 다만 부모가 자녀를 살해한 후 자살 미수에 그친 경우에는, [[존속살해]]에 준하는 처벌법은 아직 없다. == [[살해 후 자살]]과의 구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살해 후 자살)] 쉽게 말해, 자살할 의도가 있는 다른 사람과 함께 자살하면 동반 자살, 자살할 의도가 없는 사람을 살해한 후 자살하면 살해 후 자살이다. == 관련 문서 == * [[가족주의]] * [[자살]] * [[자살 사주]] * [[아동학대]] * [[대한민국의 아동학대]] * [[구로동 카빈 강도사건]][*살해후자살 동의를 얻은 뒤에 하는 동반자살이라기 보다는, 일방적으로 하는 살해 후 자살에 해당하는 문서이다.] * [[인민사원 집단자살사건]](존스타운 대학살) * [[오대양 집단자살 사건]] * [[부천 세 자매 동반자살 사건]] * [[대구 일가족 변사사건]] * [[원주 아파트 일가족 살인사건]] - 가해자인 아버지가 아들을 살해하고 의식불명 상태의 어머니와 아파트에서 뛰어내려 살인 후 자살하였다. * [[계백]][*살해후자살] - [[황산벌 전투]]에 참전하기 전 자신의 처자식을 자신의 손으로 살해한 일화로 유명하다. 계백 본인은 자살하지 않긴 했지만, 승산이 없어 자살하러 가는 것이나 다름없는 전쟁터로 나가기 직전이었던지라 크게 보면 여기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한국 영화]] [[황산벌(영화)|황산벌]]에서는 계백의 아내가 자신과 아이들을 죽이려는 남편에게 '그게 당신 명예를 위한 것이지 어찌 우리를 위한 것이냐'고 울분에 차서 마구 쏘아붙이는 장면이 있는데, 놀랍게도 이 장면은 한국에서 '살해 후 자살'에 대한 담론이 떠오르기도 한참 전에 나왔다. * [[육수부]] * [[곽하마]][*살해후자살] * [[다자이 오사무]] - 다섯 번의 자살 시도 중에 세 번이 동반 자살 시도였다. * [[박지선]] * [[크리스 벤와]][*살해후자살] - 전직 프로레슬러. 과격한 기술 사용으로 인한 외상성 뇌병증으로 감정조절 및 사고 능력이 '''극도로 악화된 상태'''에서 가족을 살해하고 자신도 목숨을 끊었다. * [[명예살인]] * [[자폭]] * [[옥쇄]] * [[카미카제]] * [[윤심덕]], [[김우진(작가)|김우진]] - 자살 여부가 확실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같이 죽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나카츠카와 일가족 살인사건]][*살해후자살] * [[히로시마 일가족 실종 사건]] * [[후쿠이 화장장 동반자살 사건]] - [[치매]]를 앓는 아내를 간병하던 80대 노인이 정신적 부담과 고통을 감당하지 못하고 아내와 함께 극단적인 선택을 한 안타까운 사건이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환희의 송가(만화)|환희의 송가]] - 위의 사건을 모티브로 한 만화. * [[더 하우스]][*살해후자살] * [[완도 일가족 사망 사건]] - 남편과 아내만이 동반자살에 해당하며, 딸은 자녀 살해 후 자살의 케이스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일산 여중생 자매 백골 시신 사건]][*살해후자살] - 빚과 생활고에 시달린 부부가 두 딸을 먼저 목졸라 살해하고 본인들도 여러 번 동반자살 시도를 했으나 아이러니하게도 미수에 그치고 그때서야 생존을 선택하여 2년 동안 잠적하다가 검거된 사건이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서초동 세 모녀 일가족 살인사건]][*살해후자살] - 경제적으로 코너에 몰린 가장이 가족을 살해하고 자신도 자살하려다가 자신만 살아남았다. * [[동작대교 유아 투기 살인사건]][*살해후자살] * --[[1997년 외환 위기]]-- - 항목 참조. 이 이후로 복지가 강화된 것이 이 때문이다. == 기타 == [[알까기]] 용어로는 [[알까기]]에서 자기 말과 상대편 말이 동시에 아웃될 때 쓴다. 자기 말만 죽고 끝나는 자살에 비하면 그래도 상대편에 타격을 줄 수는 있기 때문에 조금 더 낫다. 특히 반상 위에 남아있는 말의 수가 자기 말이 상대 쪽보다 더 많았을 때 동반자살이 발생했다면 최선은 아니라도 차선은 될 수 있다. 단, 그 반대라면 차악에 해당한다. 살해 후 자살의 유명한 예로 [[https://www.youtube.com/watch?v=IoqQhKDrUVw|포천 자매 살인사건]]이 있다. 자살 시도 후 미수에 그치자 자녀들을 먼저 살해한 후 자신들도 자살 시도를 했다고 하나, 미수에 그쳤다는 이유로 도피하여 살았던 사건이다. [[NELL]]의 [[Separation Anxiety]] 앨범 수록곡 Moonlight Punch Romance의 가사가 동반자살을 의미한다는 해석이 있다. [[분류:자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