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fff '''동물원의 관련 틀 및 선정 이력'''}}}}}}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김광석)] ---- [include(틀:엠넷 선정 레전드 100 아티스트)] }}} || ||<-2> {{{#!wiki style="margin:-10px -10px" ||
[[파일:동물원 zoo.jpg|width=100]]||{{{#000000 {{{+1 '''동물원'''}}}[br]Zoo}}} ||}}} ||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동물원 밴드.jpg|width=100%]]}}} || |||| '''초창기 동물원 멤버들의 모습''' || ||<|2> '''그룹명''' ||'''동물원''' || ||'''Zoo'''{{{-2 (영어)}}} || || '''장르''' ||[[발라드]], [[포크]] || || '''멤버''' ||박기영, 배영길, 유준열 [*이전멤버 [[김광석]], [[김창기]], 박경찬, 최형규, 이성우][* 김광석, 최형규, 이성우는 동물원 2집까지 참여했으며, 김광석은 이후 동물원 5-2집에서 <이젠 떠나가세요>를 불렀다. 김창기와 박경찬은 동물원 7집까지 참여했다.] || || '''활동 기간''' ||[[1988년]] [[1월 15일]] ~ 현재 || || '''데뷔''' ||[[1988년]] [[1월 15일]][* 앨범 발매일 기준] 정규 1집 [[동물원 1집|거리에서/변해가네]][br](데뷔일로부터 '''[dday(1988-01-15)]일'''째) || [목차] == 개요 == > '''대중을 감동시킨 순수음악''' > ---- > [[Mnet 레전드 아티스트 100]] 소개 문구 [[1988년]] 1집으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이다. "무진기행"이라는 카페에서 모여 놀던 친구들이 취미로 음악을 만들다가 당시 잘나가던 [[산울림]]의 [[김창완]]의 손에 이들의 녹음 테이프가 들어가게 되어[* 김창기 작사 작곡의 사랑의 썰물이 임지훈의 노래로 히트하게 되어 김창완이 만들어둔 노래 있으면 가져오라고 했다니 우연히 손에 들어간 것은 아니다.] 그 후 1집을 내게되고 인기가 좋자[* 당시 음반을 100만장 이상 판매하였다고 한다.]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이들은 처음에 '''이대생을 위한 발라드'''라는 이름으로 활동할 '''뻔'''했다. [[김창완]]이 제안한 이 이름은 '''[[이화여대]]생에게만 팔아도 천 장은 팔릴 거'''라는 이유에서 제안했다고.] 동물원이라는 이름은 [[김창기]]의 2집 노래인 동물원에서 따왔다고 한다.[* 특이한 이름 때문에 이야기도 많았는데, 1989년 [[별이 빛나는 밤에]]에 혼자 출연한 [[김광석]]에게 [[이문세]]가 '''"동물원에서 굶겼어요? 왜 다른 친구들을 냅두고 가출을 해요(..)"'''라고 농담하기도 했다.] 멤버들은 각각 별명이 있었다. 총 9장의 앨범을 냈으며 초창기 가장 유명했던 노래는 <거리에서>, <변해가네>, <흐린 가을 하늘에 편지를 써>, <혜화동> 등이 있다. 그 후에는 오랜만에 6집의 <널 사랑하겠어>가 가요톱텐에서는 10권까지 들었고 인기가요 베스트 50에서는 1위 후보까지 오르면서 [[히트곡]]이 된다. 또한 2012년 효린이 삼성 미러팝 광고 송으로 리메이크하여 1위를 하게 된다. <[[널 사랑하겠어(효린)|널 사랑하겠어]]> 그리고 훗날 [[무한도전]]의 [[무한도전 미남이시네요]]와 [[무한도전 못·친·소 페스티벌]]을 통해 화제가 된 '''<우리들은 미남이다>''' 역시 동물원의 작품이며 [[대한민국]]의 호러 게임인 [[화이트데이: 학교라는 이름의 미궁]]의 오프닝/엔딩 테마곡인 <기억속으로>[* <기억속으로> 는 8집에 수록되었으며 이후 9집에서 풀 버전이 수록된다.[[https://www.youtube.com/watch?v=PSp6BT1pvwA|#]]] 또한 동물원의 작품이다. 천지무용 시리즈의 외전격이자 [[KBS]]에서 방영된 [[마법천사 루비]](원제 : 마법소녀 프리티 사미)의 엔딩곡 역시 동물원의 노래.[* 오프닝곡도 작사 및 작곡을 했으나 노래 가사 소절의 일부가 피처링으로 참여한 바 있다.] 일부 노래가 [[응답하라 1988]]등의 드라마로 재조명되었고, 그중 2집에 수록되어있는 [[혜화동(노래)]]은 [[박보람]]이 리메이크했다. 파스텔톤으로 그려진 동화풍 음반 표지는 당시 라디오 작가로 활동했던 김숙이 씨가 담당했다. 김광석의 초기 솔로 음반 표지 역시 그녀의 작품들이다. [[김창기]], 박기영, 박경찬, 유준열, 최형규, 김광석, 이성우가 1집 멤버였고, 그중 [[김광석]]은 대학생 밴드로서가 아니라 진짜 음악 인생을 살고 싶어해 2집 작업 이후로 솔로로 독립하여 가수가 되었으나 1996년 세상을 떠났다.[* 그 후 김광석 추모 콘서트에는 동물원이 참여하는 게 정석이 되었다. 동물원 멤버는 김광석의 옛 친구들. 그 외에 옛날부터 김광석과 친분이 깊은 [[윤도현]]도 참여.] 기타의 이성우도 독립[* 두 장의 독집 앨범을 냈다.]하여 전문음악인이 되었다. 그 후 최형규도 나가게 되어 오랫동안 5인조로 활동하다, 그 이전부터 편곡 일을 돕던 배영길이 6집부터 멤버로 들어온다. 가장 [[히트곡]]을 많이 만들던 [[김창기]]는 의사 일을 하면서 TV에도 가끔 출연한다. 하지만 유명인보다도 의사로서의 일에 전념하겠다는 뜻에 따라 7집 이후로 동물원을 탈퇴. 박경찬도 직장 일에 전념하기 위해 탈퇴했다. 2010년대, 복고풍이 유행하고 [[김광석]]이 재조명받자, [[김광석]]이 초기에 [[노찾사]]나 동물원에 참여한 것이 알려지게 되었고, 김광석 음반과 더불어 동물원 음반의 가격도 상승했다. 김광석 2, 4집과 동물원 1집이 LP로 재발매 되었다. 현재는 배영길, 박기영, 유준열 세 명만 남아 있다. 모두 직장일에 전념해서 바쁘지만 가끔씩 방송에 출연하거나 지역행사 공연, 김광석 추모 콘서트에 참여하여 활동하고 있다. 현재, 동물원 단독 공연은 보기 힘들다. 그래서 동물원을 보기 위해서는 지역에서 주관하는 행사 일정을 살펴야 한다. == 발매 음반[* [[한국어 위키백과]] 출처.] == === 1집 [[동물원 1집|동물원]] (1988) === [include(틀: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순위=16,연도=1998,순위2=21,연도2=2007,순위3=38,연도3=2018)]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물원1.jpg|width=100%]]}}} || || '''{{{#fff 발매일}}}''' || '''{{{#fff 타이틀}}}''' || || 1988.01.15 || [[동물원 1집|1집]] 거리에서/변해가네 || 1. [[거리에서]] 2. 말하지 못한 내사랑 3. [[잊혀지는 것]] 4. 지붕위의 별 5. 어느하루 6. 무전여행 7. 비결 8. 변해가네 9. 귀 기울여요 10. [[그리움]] 11. 여기서 우리 12. [[아! 대한민국]] ([[건전가요]]) 한국대중음악 100대명반 中 21위이다. === 2집 [[동물원 두 번째 노래모음]] (1988) === [include(틀: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순위=24,연도=1998,순위2=43,연도2=2007,순위3=49,연도3=2018)]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물원2.jpg|width=100%]]}}} || || '''{{{#fff 발매일}}}''' || '''{{{#fff 타이틀}}}''' || || 1988.09.30 || [[동물원 두 번째 노래모음|2집]] 두번째 노래모음 || 1. [[흐린 가을 하늘에 편지를 써]] 2. 새장 속의 친구 3. 동물원 4. 이별할 때 5. 별빛 가득한 밤에 6. 잘가 7. 길 잃은 아이처럼 8. [[혜화동(노래)|혜화동]] 한국대중음악 100대명반 中 43위다. === 3집 동물원 세번째 노래모음 (1990)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물원3.jpg|width=100%]]}}} || || '''{{{#fff 발매일}}}''' || '''{{{#fff 타이틀}}}''' || || 1990.07.01 || 3집 세번째 이야기 || [include(틀:100BEAT 선정 90년대 베스트 앨범, 순위=49)] 1. [[시청앞 지하철 역에서]][* 2020년 [[곽진언]]이 리메이크해서 불렀다. 해당 곡은 [[tvN]] 목요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 [[슬기로운 의사생활 시리즈/OST|OST]]에 수록됐다.] 2. 유리로 만든 배 3. 노래 4. 사랑해요 5. 표정 6. 길을 걸으며 7. 나는 나 너는 너 8. 글쎄, 그걸 어떻게 말하나 9. 가을은 10. 모두가 자라온 지나간 시절엔 === 4집 동물원 네번째 노래모음 (1991)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물원4.jpg|width=100%]]}}} || || '''{{{#fff 발매일}}}''' || '''{{{#fff 타이틀}}}''' || || 1991.08 || 4집 네번째 노래모음 || 1. 아침이면 2. 우리 이야기 3. 내 잘못이었어 4. 다시 제자리로 5. 그대 흔적이 사라질 때까지 6. 옛 정거장 7. 먼 훗날 그대에게 8. '명화극장'을 본 후 9. 다시 꿈을 꾸기 시작하란 의미일까? 10. 바람부는 저녁에 === 5-1집 동물원 (1993)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물원5.jpg|width=100%]]}}} || || '''{{{#fff 발매일}}}''' || '''{{{#fff 타이틀}}}''' || || 1993.03.31 || 5집 5-1 || 1. 우리가 세상에 길들기 시작한 후부터 2. 쥐덫 3.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4. 세상에 속을지라도 5. 그럴 땐 생각해봐 6. 하늘, 노을 그리고 이별 7. 숨찬 도시를 넘어 8. 일기예보 9. 내일 아침이 오면 10. [[백마에서]][* 박기영이 지은 노래중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노래라고 한다.] === 5-2집 동물원 (1993)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물원52.jpg|width=100%]]}}} || || '''{{{#fff 발매일}}}''' || '''{{{#fff 타이틀}}}''' || || 1993.03.31 || 5집 5-2 || 1. 모든걸 다 가질순 없어 2. 언제나 마음은 3. 어느 날 해는 지고 4. 내 오랜 사랑은 5. 주말 보내기 6. 이젠 떠나가세요 [* 김광석 보컬곡] 7. 첫눈 내리던 지난 겨울날 8. 거울 9. 흑백사진 === 동물원 IN CONCERT (1994)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물원콘.jpg|width=100%]]}}} || || '''{{{#fff 발매일}}}''' || '''{{{#fff 타이틀}}}''' || || 1994 || IN CONCERT || 1. 언제나 마음은 2. 시청앞지하철역에서 3. 유리로 만든 배 4. 혜화동 5. 이별하던 날 6. 우리가 세상에 길들기 시작한 후부터 7. 귀 기울여요 8. 백마에서 9. 다시 제자리로 10, 미남이다 11. 표정 12. 변해가네 === 6집 널 사랑하겠어 (1995)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물원6.jpg|width=100%]]}}} || || '''{{{#fff 발매일}}}''' || '''{{{#fff 타이틀}}}''' || || 1995.10 || 6집 6 || 1. [[널 사랑하겠어]][* [[효린]]이 [[널 사랑하겠어(효린)|리메이크]]해서 다시 불렀다.] 2. 하소연 3. 내가 가진 좋은 점 4. 갈 수 없는 나라 5. 사막을 건너는 법 6. 산다는 것은 7. 가을의 노래 8. 추운 날 9. 잠들지도 깨어나지도 못 하는 꿈 10. 어떤 시인의 노래 11. 너도 자유로웠으면 해 12. 그대를 위한 소품 === 다시 가본 동물원(1996)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물원다가본.jpg|width=100%]]}}} || || '''{{{#fff 발매일}}}''' || '''{{{#fff 타이틀}}}''' || || 1996.09 || 다시 가본 동물원 || 1. 넌 충분히 아름다운 걸 2. 이별 그 후 3. 넌 그걸 어떻게 생각하니 4. 월급 봉투 5. 그래 그렇게 6. 거리에서 7. 변해가네 8. 말하지 못한 내 사랑 9. 흐린 가을 하늘에 편지를 써 10. 혜화동 11. 별빛 가득한 밤에 12. 시청 앞 지하철 역에서 13. 유리로 만든 배 14. 사랑해요 15. 우리들은 미남이다 셀프 리메이크 형식으로 제작한 동물원의 공식 베스트 음반. `거리에서`는 트럼펫 연주곡으로 재편곡해 수록했다. === 7집 일곱번째 (1997)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물원7.jpg|width=100%]]}}} || || '''{{{#fff 발매일}}}''' || '''{{{#fff 타이틀}}}''' || || 1997.12 || 7집 일곱번째 || 1. 사랑니 2. 사랑은 3. 그대를 사랑해요 4. 투명인간 5. 오랜 희망 6. 잃어버린 나 7. 별 8. 그리운 우리동네 9. 길 10. 포스터 === 8집 여덟번째 이야기 동화(冬畵) (2001)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물원8.jpg|width=100%]]}}} || || '''{{{#fff 발매일}}}''' || '''{{{#fff 타이틀}}}''' || || 2001.01 || 8집 여덟번째 이야기 동화(冬畵) || 1. A Duel 2. 기억속으로[* 앞서 개요 문단에서도 서술했 듯, [[대한민국]]의 호러 게임 [[화이트데이: 학교라는 이름의 미궁|화이트데이]]의 오프닝 곡으로도 사용되었다.] 3. 다시 널 부르지 않도록 4. 금지된 꿈 5. 새 옷 6. 사랑점 7. 행복한 나무 8. 내가 아프게 한 사람들에게 9. 잊었던 날 10. 작아지는 꿈 11. 우리 이렇게 헤어지기로 해 12. 씽씽씽 13. 숨겨진 나침반 14. 너에게 감사해 === 9집 아홉번째 발자국 (우리가 지금 보다는 조금 더 수줍던 날의 이야기) (2003)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물원9.jpg|width=100%]]}}} || || '''{{{#fff 발매일}}}''' || '''{{{#fff 타이틀}}}''' || || 2003.12.22 || 9집 아홉번째 발자국 || CD1 1. 단순한 남자 2. 세상에 내가 태어나 잘한 일 3. 신혼일기 4. 오늘도 하늘을 본다 5. 남자들이란 6. 어리석은 사랑의 노래 7. 긴 그림자 8. 첫 추운 바람에 가슴을 쓸며 9. 수줍던 날의 이야기 CD2 1. 비에 젖은 정원 2. 오늘은 3. 슬프지 않은 건 꿈을 꾸는 일보다도 더욱 중요해 4. 피터 팬 5. 내 눈을 가만히 바라 봐, 거기에 있어 6. 새장 속의 친구 7. 알 수 없는 일 8. 기억 속으로 9. 당신의 이미지 책자 형태의 9,999장 한정반으로 제작되었다. 그래서 CD마다 일련번호가 스탬프로 찍혀있다. === 13년 만에 다시 가 본 동물원 (2017)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물원13년.jpg|width=100%]]}}} || || '''{{{#fff 발매일}}}''' || '''{{{#fff 타이틀}}}''' || || 2017.01.20 || 13년 만에 다시 가 본 동물원 || 1. 다시 돌아, 봄 2. 바다 3. 안구건조증 14년만에 발표한 동물원의 신보. 디지털 싱글로만 발매되었다. == 여담 == * 구성원이 하나같이 엘리트로 보인다.. [[김창기]]는 [[연세대 의대]] 출신에 국민학교 5학년 때 담임선생님의 권유를 받아 작곡대회에 참여해서 입상했다고 하며 현재는 [[매봉역]] 인근에서 [[정신과]] [[의사]] 일을 하고 있다. 박기영도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출신에 예전에는 음식점 수입 쪽 일을 했으며 KFC 등의 매장 수입과 관련된 일을 했다. 현재는 그 일에서 나와 [[동물원]] 활동을 계기로 예술대학 교수로 일하는 중이다.[* 2014년 후반부터 [[가톨릭관동대학교]] 실용음악학과장으로 재임했다. 2019년부터 홍익대학교 공연예술학부장으로 재임 중이다.] 박경찬은 [[고려대]] 출신으로 [[LG]] 소속 [[연구원]]이며, 유준열 역시 [[고려대]] 출신으로 신한과학에서 일하는 중이다. 배영길은 [[건국대]] 출신으로 영화 시나리오 [[작가]] 겸 [[프로듀서]]로 일하고 있다. ~~진작에 엘리트끼리 모인 건가…~~ * 포크 음악 그룹으로 흔히 기억되지만, 그 전에 대학생/직장인 밴드[* 동아리와 흡사하다.]다. 그래서 [[김광석]]처럼 전문 음악인이 되고 싶어 탈퇴한 멤버도 있고 자신의 직장일에 충실하려고 탈퇴한 멤버도 있다. 멤버들이 모두 악기를 다루면서 작사, 작곡 능력이 있었고 대부분 노래도 불렀다. 말이 대학생/직장인 밴드지 프로 같은 아마추어를 얘기할 때 대표적으로 얘기가 되던 그룹이었다. [[분류:한국의 밴드]][[분류:1988년 데뷔]][[분류:민중가요 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