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파일:attachment/body_382_1.jpg|width=350]] {{{+1 [[動]][[脈]] / Artery}}} [[심장]]에서 나가는 [[혈액]]이 지나가는 [[혈관]]이다. 심장이 피를 내보내기 위해 강한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동맥 혈관벽은 두꺼우며 탄력이 높고 수축도가 높다. 산소가 가득한 신선한 혈액은 [[허파]]에서 폐정맥을 통해 심장에 도달한다. 이 피를 심장이 받아, 좌심실과 연결된 [[대동맥]](Aorta)을 통해 피를 내보낸다. 흔히 동맥은 붉은색이고 정맥을 푸른색이라고 알고있지만 꼭 그런것은 아니다. 혈중 산소농도에 의해 색이 결정되는데, 동맥이 반드시 산소 함량이 높은 것은 아니다. 우심실을 통해 빠져나가는 폐동맥은 온몸에 산소 배달을 마치고 산소포화도가 낮아진 채 대정맥을 통해 들어온 혈액이 나가는 경로다. 혈액은 폐동맥을 통해 곧 폐로 들어가 산소를 새롭게 받고, 이렇게 산소를 가장 많이 지니게 된 혈액이 '''폐정맥'''을 통해 심장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심장 구조도를 보면, 폐정맥은 정맥임에도 불구하고 붉게 그리며, 폐동맥은 동맥임에도 불구하고 파랗게 그리는 경우도 볼 수 있다. 당연하게도 반대의 경우도 있으니, 파란색과 붉은색이 어떤 의미인지는 각 그림을 살펴야 한다. 어쨌든 심장에서 나가는 피가 흐르는 것이 동맥이기 때문에, 몸에 퍼져 있는 동맥은 보통 압력이 높고, 몸의 안쪽에 위치한다. 그래서 보통 동맥이 다치려면 더 깊은 상처가 나야하며, 한 번 다치면 압력이 높아 [* 일반인이 흔히 볼 수 있는 의학드라마에 나오는 클리셰 중 하나인 피가 천장까지 뿜어져 나오는 장면이 정상 혈압일 때 그 정도로 나온다고 보면 되니 얼마나 압력이 강한지 대강 느낄 수 있다.] 피를 더 빨리 잃기 때문에 동맥의 손상은 자칫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심장에 가까운 위치의 동맥일수록 더 위험한데 빠르면 1분 안에도 사망할 수 있으며, 적절한 응급조치가 없을 경우 금방 과다출혈로 사망할 수 있다. 피부 가까이 있는 얇은 정맥은 판막이 존재하고 압력이 거의 없다시피하여 검붉은 피가 비교적 느리게 흘러나오고 일정량이 나오면 대부분 멎는 반면, 몸 내부에 가깝게 위치한 동맥이 손상되면 새빨간 피가 강하게 뿜어져 나오거나 다량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http://youtu.be/dR-wA4SmbO4|예시. 혐주의. 19금이 걸려있다.]][* 영상 속 인물은 적절한 응급처치를 받고 살아남았다고 한다.] == 주요 특징 == 동맥의 굵기는 직경이 2~3cm인 대동맥부터 수밀리미터 이하의 세동맥까지 다양하다. 동맥의 벽은 3개 층으로 이루어지는데, 가장 안쪽부터 내막, 중막, 가장 바깥의 외막으로 구성된다. 신체에 분포해 있는 동맥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모든 장기 및 조직에는 이들에게 혈액을 공급하는 여러 가지의 동맥분지가 존재한다. 이러한 동맥들은 보다 가느다란 동맥인 세동맥으로 갈라지고, 세동맥은 이보다 더욱 가는 구조인 [[모세혈관]]으로 연결된다. 이곳에 고의로 손상을 입히든, 사고로 손상을 입든, 동맥이 터지면 [[급소|생명이 위험하다.]] 하지만 다행히도 창작물에서 보듯 손목을 한 번 슥 긋는다고 해서 동맥까지 끊어질 확률은 적다.[* 다만 영화 [[아저씨(영화)|아저씨]]의 [[차태식|차태식]]처럼 고도의 [[나이프 파이팅|나이프 파이팅]] 훈련을 받은 사람이면 어느 정도 가능하다. 아저씨에서도 슬로우 모션으로 보면 순식간에 손목에 칼을 깊게 집어넣은 다음 손목을 가르는 걸 볼 수 있다.] 사람을 죽음에 이르게 할만한 동맥 대부분은 신체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칼로 동맥을 손상시키려면 손목의 중간까지 헤집어야 한다. 당연히 엄청난 고통이 뒤따르고, 인간의 생존본능에 직접적으로 반하기 때문에 사람이 제정신으로 그 단계까지 가기는 어렵다. 물론 손목이 절단되면 당연히 생명이 위험하게 된다. 일례로 [[https://www.google.com/amp/s/mnews.joins.com/amparticle/15824290|해병대 교육 훈련단 수류탄 사고]]가 있다. 이렇기에 쉽게 끊어지지 않는다만 물론 [[경동맥]]과 같은 예외는 있다...[* 근데 [[닥터프렌즈|의사들]]의 말에 따르면 경동맥도 생각보다 찌르기 어려운 건 마찬가지라고 한다. 드라마 등에서 보이는 대로 하면 대부분 경동맥이 아닌 경정맥에 간다고...] 심지어 슈퍼에 침입한 술 도둑을 잡는다고 급히 술병을 도둑에게 던졌는데, 하필이면 '''술병 파편 깨지면서 그 파편들 중 일부가 종아리 동맥을 끊어버렸고'''[* 아마도 뒤정강동맥(posterior tibial artery)일 것이다.] 과다출혈이 터져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32&aid=0001958817|술병 맞은 술도둑이 사망한 사고]]도 있다. 모든 혈관이 중요하지만, 생명과 직결되는 동맥 중 하나는 관상동맥(Coronary artery)[* 흔히 심장동맥이라고 부르는 혈관]이다. 바로 심장의 근육을 먹여살리는 동맥인데, 이곳이 [[협심증]] 등으로 좁아지다 어느 순간 틀어막히는 것이 흔히 말하는 [[심근경색]]이다. 이 상태에서 치료를 서두르지 않으면 심장이 제구실을 못하게 되며, 심장이 고장나면 다른 혈관이 아무리 건강해도 소용없다. == 관련 질병 == 대표적으로 [[동맥경화]]가 있으며, 어느 동맥이 좁아지느냐에 따라 관상동맥협착증, 뇌혈관질환, 콩팥혈관질환, 말초혈관질환 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 동맥 천자 == 동맥에서 피를 뽑는 것이다. [[채혈]] 문서에도 나와있듯이 매우 아프고 뻐근하다. --3월에는 동맥채혈을 하는 의사들이 전부 신입으로 교체되니 최대한 3월에는 아프지 말자.-- 여담으로 장기적으로 동맥 채혈이 필요한 환자는 동맥에 수액 라인을 미리 꽂아놓는다. == 관련 문서 == * [[생물학 관련 정보]] * [[의료 관련 정보]] * [[혈관]] * [[정맥]] [[분류:동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