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인천 도시철도 1호선에 있는 동명의 역, rd1=동막역)] [include(틀:폐쇄된 교통시설)] ||<-3> {{{+2 '''동막역'''}}}[br]{{{#red,#ff0000 '''(폐역)'''}}} || ||<-3> {{{#!folding 경성순환노선(폐지) 운행계통보기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585858 {{{#!html
외선순환
}}}}}}[[서강역#s-3.1|서 강]][br]← 1.2 km || [[경성순환노선|{{{#FFF {{{#!html
경성순환노선
}}}}}}]] || {{{#585858 {{{#!html
내선순환
}}}}}}[[공덕리역|공덕리]][br]0.8 km → || }}}}}} || ||<-3>[include(틀:지도, 장소=37.5459228%2C126.9444727, 너비=100%, 높이=225px)]|| ||<-3> '''다른 문자 표기''' || || 가나 ||<-2> [ruby(東幕, ruby=トンマク)] || || 로마자 ||<-2> Dongmag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마포구]] || ||<-3> '''역 운영기관''' || || [[용산선|{{{#ffffff 용산선}}}]] ||<-2> [[조선총독부]] 철도국 → 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청]] || ||<-3> '''개업일''' || ||<-3> 1929년 9월 20일 || ||<-3> '''폐업일''' || ||<-3> 1972년 5월 1일 || ||<-3> '''열차거리표''' || || [[용산역|{{{#000000,#e5e5e5 {{{#!html
용산 방면
}}}}}}]][[공덕리역|공덕리]][br]← 0.8 km || '''[[용산선|舊 용산선]]'''[br]동 막 || [[가좌역|{{{#000000,#e5e5e5 {{{#!html
가좌 방면
}}}}}}]][[서강대역#s-2.1|서 강]][br]1.2 km → || [목차] == 개요 == {{{+1 東幕驛 / Dongmag Station }}} ## 상단 역명란은 정보만을 전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절대 개드립을 적지 마세요. (https://namu.wiki/thread/ThePlacidAndSincereDirection) [[서울특별시]] [[마포구]] 대흥동에 위치한 [[용산선]] [[철도역]]이었다. 1929년에 개업해 1972년에 폐역되었다. == 상세 == 처음에는 [[경성순환노선]] 운행을 위해 생겼다. [[일제강점기]]에 [[서강역]]과 [[공덕리역]] 사이에서 영업을 하였다. 그러다 해방 이후, [[용산선]]이 화물전용 노선으로 격하되는 [[크리]]를 맞자, [[보통역]] 지위는 유지하되 전용 화물역으로 변경되었다. 그 이후에도 1972년까지 버티는 끈질긴 [[생명력]]을 보여주었으나, 결국 [[서강역]]과 지나치게 짧은 역간거리가 문제가 되어 폐역되었다. 그 이후 주변은 빠르게 도시화가 진행되어 역이 있었다는 것을 무색하게 만들었다. 옛모습은 2011년도 포스트이긴 하지만 [[http://naver.me/xk09UInV|링크]] 참조. 막힐 경우 '용산선 동막역'이라 치고 검색 후 접속시 열람 가능하다. 이후에도 역간거리가 문제되어 동막역은 [[경의선]] 2단계 구간에서도 재개통하지 못하였다. 재개통을 검토했으나, 이번에는 [[공덕역]]과 450m밖에 안 떨어졌다고 빠져버렸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6988|마포구 문서]]에 용강동()과 대흥동()의 옛이름 동막(독막)은 독을 구워 파는 마을이라는 뜻인 ‘독막(甕幕)’ 또는 ‘독마을(甕里)’ 가운데 독막을 일제강점기에 소리나는대로 적은데서 유래하였으며, 조선후기인 1895년에 한성부 서서(西署) 용산방(성외) 옹리상계, 옹리중계, 옹리하계였고 1911년에 경기도 경성부 용산면(龍山面)에 속한 동막상계(東幕上里)와 동막하계(東幕下契)로, 1914년에 경기도 고양군 용강면에 속한 동막상리(東幕上里)와 동막하리(東幕下里)로, 1936년에 경성부 용강정(龍江町)과 대흥정(大興町)으로 바뀌였다는 식으로 설명하였다. 1936년에 행정구역명에서 사라졌어도 상호명(어학원 지점명, 교회 명칭, 부동산 이름)으로 남아있다. 현재는 인근의 [[수도권 전철 6호선]] [[대흥역]]이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용산선의 역 목록)] [[분류:1929년 개업한 철도역]][[분류:1972년 폐지된 철도역]][[분류:경성순환노선]][[분류:마포구의 폐지된 철도역]][[분류:순우리말 역]][[분류:용산선의 폐지된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