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부산광역시의 지역]][[분류:부산광역시의 역사]]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부산광역시의 자치구, rd1=동래구, other2=양산군에 편입되어 사라진 옛 행정구역, rd2=동래군)] [include(틀:부산광역시의 지역 구분)] || {{{#fff {{{+1 '''동래'''}}}[br]'''東萊 | Dongnae'''}}}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래 지도.svg|width=100%]]}}}||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akaoTalk_20180101_170410936.jpg|width=100%]]}}} || 지금의 [[부산광역시]]의 옛 이름.[* 그러나 지금 [[부산광역시]]의 영역과 옛 동래의 영역은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동래부]]에서 [[부산]]이 떨어져나간 [[20세기]] 초반부터 동래군이 [[부산광역시|부산직할시]]에 완전히 흡수된 20세기 후반까지는 50년이 넘는 기간 동안에는 동래와 부산이 공존했었다. 이 당시 부산은 지금의 [[중구(부산)|중,]][[동구(부산)|동,]][[서구(부산)|서,]][[영도구]](+[[부산진구]] 일부)를 중심으로 한 지역이었다.] 근대 이전까지 부산(동래부)의 중심지역은 지금의 [[동래구]] 일대였다. 현재는 동래구뿐만 아니라 넓은 의미에서 동래권역인 '''[[동래구]], [[연제구]], [[금정구]]'''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쓰인다. == 역사 == [[삼국시대]] 초반에 [[신라]]가 여기까지 진출하기 전에 [[해운대]] 지역에 [[장산]]국(萇山國)과 [[거칠산국]](居柒山國)으로 소국을 이루었다. [[신라]]의 장군 [[거도]]가 [[기병]]의 움직임을 말타기 행사(馬叔)로 위장해서 거칠산국이 방심하게 한 틈에 공격해 멸망시킨 후 신라의 거칠산군(居柒山郡)이 되었고 757년([[경덕왕]] 16년)에 현재까지 쓰이는 [[지명]]인 동래군(東萊郡)으로 개칭되었다. 동래군은 1018년(현종 9년)에 현으로 격하되었다. 한때 [[독로국]](瀆盧國)의 독로를 동래의 어원으로 여겼으나 현재는 아니라고 본다.[* 향가 25수를 처음으로 해석한 [[양주동]] 박사 또한 동래를 독로와 연결시키기 어렵다고 보았고 대다수 언어학자들의 견해 또한 마찬가지로 현재는 독로를 동래의 어원으로 연관시키는 음운설은 부정된다. [[http://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1574027#none|#]] [[http://m.blog.daum.net/bangyang/144?np_nil_b=-2|#]]] 현재에는 잘 안 쓰이지만 원래 萊에는 '거칠다'라는 뜻도 있었으므로[[https://hanja.dict.naver.com/#/entry/ccko/4aa66be9ac5549618c78f5be87bd31d6|#]] 그냥 '거칠산'을 훈차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1547년에 승격되었다가 [[임진왜란]]이 발발한 1592년에 다시 현으로 강등되었고, [[임진왜란]]이 종결 된 후인 1599년 다시 동래도호부로 복위되었다.[*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814445&cid=55778&categoryId=56209|출처]]] [[조선]] 시대에는 초량에 [[왜관]](倭館)이 설치되어 [[일본]]과의 무역 거점 [[도시]]로 기능하였다. 조선에서 일본으로 [[조선 통신사]]를 보낸 것처럼 역으로 일본에서도 조선으로 사신단이 왔지만 이들은 조선 수도 [[한양]]까지는 가지 않고 [[부산]] [[동래]]부까지만 왔다 갔다. 임진왜란의 기억으로 조선은 [[에도 막부]] 정권도 완전히 믿지 못했는데 일본 사신단이 한양으로 가면서 지리를 익혀둘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조선 정부는 일본 사신에게 얕잡히지 않기 위해 동래의 격을 도호부로 높여 중요시했다. 한편 훗날 도시의 이름이 되는 부산(부산포, [[부산진]])이라는 이름은 이 당시 동래도호부 예하의 포구 및 [[진]](鎭)에 불과했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3%EB%B6%80%EC%A0%9C.gif|width=400]] [[1895년]] [[23부제]]를 시행했을 때는 [[포항시]], [[경주시]], [[울산광역시]], [[양산시]] 등 경상도 동쪽을 통째로 떼어서 동래부라고 명명했는데(위의 연두색 범위), 이건 저 안에서 가장 대표적인 도시가 동래였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 아래에 설명할 도시로서의 동래는 동래부 안의 동래군이었다. 이듬해 13도제 시행으로 동래부는 반반 나눠서 [[경상북도]]와 [[경상남도]]의 일부가 되었고, 동래군은 동래부가 되었다. 같은 용어가 전혀 다른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휙휙 바뀌므로 헷갈리기 쉽다. [[파일:attachment/동래/map1.jpg]] 1896년의 모습 [[파일:attachment/동래/map2.jpg]] 1914년 [[1910년]] [[일제강점기]]의 시작과 함께 동래부가 잠시 통째로 부산부로 개칭되었으며, [[1914년]] [[조선총독부]]가 시행한 [[부군면 통폐합]]으로 부산부의 영역이 개항장 일대로 축소되고, 부산부의 잔여지역을 동래군으로 분리하였다. 이와 함께 별개의 행정구역이었던 [[기장군]]이 동래군에 병합되었다. 동래군청은 기존 동래부 관아(동헌)를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기장군 지역만 남은 동래군이 1973년 양산군에 병합될 때까지 현역 군청사로 쓰였다. '''조선시대 건축물'''이 현대에까지 현역 관공서 건물로 쓰인 특이한 케이스.[* 심지어 1973년 이후에도 동래부동헌 건물은 '''[[양산시|양산군]]보건소 동부지소'''로 쓰였다고 한다. 인천 문학초등학교에 있는 오리지널 인천도호부청사 건물도 부천군청, 인천시 문학출장소 건물로 쓰인 적이 있었다.] [[파일:attachment/동래/map3.jpg]] 1945년 광복 직후 일제강점기와 [[8.15 광복]] 이후를 거치면서 지속적으로 동래군은 부산시에 편입, 흡수되었으며, [[1963년]]에는 현 [[기장군]]과 동일한 영역만을 점유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1973년]] 최종적으로 폐지되고 [[양산시|양산군]]에 병합됨으로써 동래군은 소멸되었다.[* 이후 동래군 영역은 [[울주군]]에서 잠시 편입하였다가 도로 환원된 서생면 지역을 제외하고 [[1995년]]에 다시 부산광역시로 돌아가면서 기장군으로 다시 부활하게 된다.] 한편, [[1957년]] 부산시에 [[구(행정구역)|구(區)]]제가 실시되면서 아래 항목의 [[동래구]]가 설치되었으며[* 즉, [[1957년]]부터 [[1973년]]까지는 '부산시 동래구'와 '경상남도 동래군'이 함께 존재했던 것이다.], 폐지된 동래군을 대신하여 동래구가 부산의 옛 이름인 '동래'의 맥을 잇고 있다. 위의 역사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원래는 동래가 상위 지명, 부산이 그 하위 지명이었다. 그러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주객전도|부산과 동래의 지명의 지위가 뒤바뀐 것]]이다. 일제강점기가 아니었다면 동래광역시 부산구가 되었을 것이다. 비슷한 사례로 회덕군 '''대전리'''가 [[광역시]]의 이름으로 격상되고, 상위 지명이었던 회덕은 회덕동으로만 남아버린 [[대전광역시]]의 사례가 있다. 동래는 그래도 [[구(행정구역)|구]] 이름으로 계승됐으니 그나마 선방[* 다만 '회덕'은 온전히 현재의 구 이름으로 계승되진 못했지만, 옛 대전시의 외곽 읍면지역을 관할하던 [[대덕군]]을 거쳐 현 대전광역시 북부를 관할하는 [[대덕구]]의 '덕'으로써 계승됐다. 참고로 '대덕'의 '대'는 대전.] [[구미시]]도 원래 선산군 구미읍이었지만, 구미읍이 시로 승격돼 선산군에서 분리됐다가 [[1995년]] [[도농통합시]]가 출범하면서 역으로 구미시가 선산군을 병합하게 되면서 선산이란 지명은 기존 선산군청 소재지였던 선산읍만을 가리키는 것으로 위상이 뒤바뀌었다. 부산과 통합된 이후에도 1970~80년대까지는 '부산'과는 다른 동래 지역만의 정체성이 남아있었다.[* 비슷하게 [[광주광역시]] [[광산구]], [[인천광역시]] [[부평구]], [[창원시]] [[마산회원구]]와 [[마산합포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사천시]] 시내동지역(구 [[삼천포시]]), [[성남시]] [[분당구]], [[고양시]] [[일산동구]]와 [[일산서구]], [[보성군]] [[벌교읍]] 등 다른 도시에도 비슷한 사례가 많다. 다만 부평의 경우는 원인천과는 역사적으로 별개의 고을이기 때문에 1:1 비교는 곤란하다. 영등포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동래와 부산 시가지 사이의 미개발 지역까지 부산 시가지가 확장되면서 연담화되어 지금은 완전히 부산이라는 도시의 일부로 동화된 상태이다. == 상권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동래역 역사건물 4번 출구쪽부터 해서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수안역]]과 동래시장, 메가마트동래점, 봉생병원, [[동래구청]] 일대에 상권이 분포해 있다. 금정구는 부산대학교 상권이 존재한다 == 교통 == [[부산 도시철도]] 1,3,4호선, [[동해선 광역전철]]이 동래지역을 통과하고, [[충렬대로]] 일대에 동래역이 위치한 내성교차로에서부터 [[원동IC]]교차로까지 [[부산광역시 BRT|간선급행버스체계]]가 운영 중이다. 이 지역이 부산 지역에서 전철 환승역이 가장 많다.[* [[미남역]],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거제역]], [[교대역(부산)|교대역]], [[연산역(부산)|연산역]], [[수영역]]] 다른 지역 못지않게 [[시내버스]]도 많이 통과하지만 길이 좁은 탓에 다른지역과 비해서 [[부산광역시 마을버스|동래구 마을버스]]가 많이 운행되는 걸 볼 수 있으며 거의 대부분 동래역을 기종점으로 삼는다. === 시내버스 === ==== 일반버스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px]][[부산광역시 시내버스|{{{#ffffff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 || 노선번호 || 종별 || 기점 || 중간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 [[부산 버스 29|29]]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3399ff 일반}}}]] || [[금정공영차고지|금정]] || [[노포역]], [[부산외대]], [[부산대학교]], [[서동역]], '''동래시장''', [[교대역(부산)|교대역]], [[부산시청]], 서면, [[범내골]] || 안창마을 || 6~11분 || || [[부산 버스 31|31]]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3399ff 일반}}}]] || [[송정]] || [[해운대]], [[재송역]], '''동래시장''',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교대역(부산)|교대역]], [[거제역]], 서면롯데, 가야, [[서부시외버스터미널|서부터미널]] || 모라주공 || 5~10분 || || [[부산 버스 43|43]]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3399ff 일반}}}]] || [[회동동]] || [[반여동|반여1동]], 동래한전, '''동래시장''',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교대역(부산)|교대역]], [[거제역]], 서면, 진시장, [[부산역]] || 중앙공원 || 6~11분 || || [[부산 버스 44|44]]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3399ff 일반}}}]] || [[반여동|반여3동]] || 동래한전, '''동래시장''',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미남역]], 사직 야구장, 부산시민공원, 어린이대공원 || 당감4동 || 6~7분 || || [[부산 버스 46|46]]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3399ff 일반}}}]] || [[구포동(부산)|구포3동]] || [[덕천역]], [[남산정역]], [[사직 야구장]],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동래중학교→명륜교차로→'''동래전화국'''→'''[[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 동래중학교 || 9~15분 || || [[부산 버스 49|49]]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3399ff 일반}}}]] || [[금정공영차고지|금정]] || [[노포역]], [[부산대학교]], [[온천장역]], '''동래전화국''', '''동래시장''', 연산토곡, 수영교차로 || 광안리 || 6~9분 || || [[부산 버스 50|50]]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3399ff 일반}}}]] || [[평산동(양산)|평산동]] || [[정관읍|월평리]], [[노포역]], 금정구청, 동래우체국, '''동래전화국''',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미남역]], 사직야구장 || 법원.검찰청 || 10~20분 || ||<|2> [[부산 버스 51|51]]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3399ff 일반}}}]] ||<|2> [[금정공영차고지|금정]] ||<|2> [[노포역]], [[부산외대]], [[부산대]], [[온천장]], '''동래전화국''', [[교대역(부산)|교대역]], [[물만골역]], [[배산역]] [[수영역]], [[경성대]], [[대연역]] ||<|2> 동천초교 || 5~7분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심야|{{{#666666 심야}}}]] || 2회 || || [[부산 버스 52|52]]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3399ff 일반}}}]] || [[반여동|반여3동]] || 동래한전, '''동래시장''', [[교대역(부산)|교대역]], [[거제역]], [[부전역(도시철도)|부전역]], 서면, 진시장, 부산고교, [[초량동|초량6동]] || 수정4동 || 6~8분 || || [[부산 버스 57|57]]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3399ff 일반}}}]] || [[사직동(부산)|사직동]] || 부산의료원, [[미남역]],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동래시장''', 연동시장, [[배산역]], 신리삼거리, 서면 || 부산진시장 || 8~9분 || || [[부산 버스 73|73]]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000000 지선}}}]] || [[정관읍|정관]] || [[철마면|철마]], [[안평역]], [[윗반송역]], [[석대역]], [[금사역]], [[명장역]], '''동래시장''',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 동래롯데백화점 || 오전 3회 || || [[부산 버스 77|77]]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3399ff 일반}}}]] || [[학장동]] || [[감전역]], 가야, 서면롯데, [[부전역(도시철도)|부전역]], [[거제역]],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명륜역]], 온천장, [[부산대]] || 장전역 || 9~12분 || || [[부산 버스 100|100]]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3399ff 일반}}}]] || [[청강리공영차고지|청강리]] || [[오시리아역]], [[해운대신시가지|신시가지 남측]], [[해운대역]], 연동시장, '''동래시장''', [[온천장]], [[부산대]] || 장전역 || 10~16분 || || [[부산 버스 100-1|100-1]]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3399ff 일반}}}]] || [[청강리공영차고지|청강리]] || [[해운대신시가지|신시가지 북측]], [[해운대역]], [[부산경상대학|경상대학]],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롯데백화점, [[온천장]], [[부산대]] || 장전역 || 9~17분 || || [[부산 버스 110-1|110-1]]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3399ff 일반}}}]] || [[가야동|가야벽산]] || [[동의대학교]], 서면롯데백화점, [[부산시청]], '''동래시장'''→/←'''동래전화국''', 온천장 || 부산대정문 || 6~7분 || || [[부산 버스 111-1|111-1]]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3399ff 일반}}}]] || [[연제공용차고지|연제]] || 사직야구장, [[미남역]],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명륜역]], [[온천장역]], [[부산대]], [[장전역]], [[산성터널(부산)|산성터널]], [[율리역]] || 금곡동 || 10~13분 || || [[부산 버스 121|121]]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3399ff 일반}}}]] || [[금곡동(부산)|금곡동]] || [[율리역]], [[화명역(도시철도)|화명역]], [[수정역]], [[덕천역]], [[남산정역]], [[만덕역]],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온천장]], [[부산대]] || 장전역 || 25분 || || [[부산 버스 129-1|129-1]]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3399ff 일반}}}]] || [[반송]] || [[윗반송역]], [[금사역]], '''동래시장''',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교대역(부산)|교대역]], [[거제역]], [[부전역(도시철도)|부전역]], 서면롯데 || 신라대학교 || 6~10분 || || [[부산 버스 144|144]]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3399ff 일반}}}]] || [[반여동|반여3동]] || [[재송동]], [[재송역]], 동래한전, '''동래시장''', '''동래역''', [[명륜역]], [[온천장역]], [[부산대]] || 장전역 || 7~12분 || || [[부산 버스 148|148]]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3399ff 일반}}}]] || [[금정공영차고지|금정]] || [[노포역]], [[두실역]], 금정구청, 서동고개, '''동래시장''',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남산정역]], [[구포역]] || 모라주공 || 8~12분 || || [[부산 버스 148-1|148-1]]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3399ff 일반}}}]] || [[학장동]]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서부터미널]], 신모라, [[구포역]], [[덕천역]], 덕천주공, [[만덕역]],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온천장]] || 부산대정문 || 15~24분 || || [[부산 버스 179|179]]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3399ff 일반}}}]] || [[회동동]] || [[온천장역]], '''동래전화국''', [[교대역(부산)|교대역]], 부산시청, [[양정역(부산)|양정역]], 부산시민공원, 당감시장 || 국제백양 || 5~8분 || || [[부산 버스 183|183]]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심야|{{{#000000 심야}}}]]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 || 기장시장, [[윗반송역]], '''동래시장''',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명륜역]], [[온천장역]]→/←[[온천장]] || 부산대정문 || 3회 || || [[부산 버스 189|189]]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3399ff 일반}}}]] || [[반송동(부산)|반송주공]] || [[금사역]], 서동고개, [[명륜역]],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미남역]], 사직 야구장, [[교대역(부산)|교대역]], 연산교차로 || 연산초등학교 || 6~10분 || || [[부산 버스 200|200]]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3399ff 일반}}}]]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 || [[해운대신시가지|신시가지 남측]], [[해운대역]], [[센텀역]], [[재송역]], 동래한전, '''동래시장''',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덕천역]] || 구포시장 || 9~12분 || || [[부산 버스 210|210]]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3399ff 일반}}}]] || [[연제공용차고지|연제]] || [[사직역]], [[미남역]], '''동래전화국'''→/←'''[[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동래시장''', 연산토곡, 수영현대아파트 || 수변공원 || 10~17분 || || [[부산 버스 307|307]]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3399ff 일반}}}]] || [[송정]] || [[해운대해수욕장]], 안락뜨란채아파트, '''동래시장''',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덕천역]], [[구포역]], [[강서구청역]] || [[김해국제공항|김해공항]] || 15~25분 || || [[부산 버스 506|506]]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3399ff 일반}}}]] || [[반여동|반여4동]] || 금사대우아파트, 센텀SK뷰, 안락현대아파트, 동래한전, '''동래시장''',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 [[부산시민공원]] || 15~23분 ||}}} ==== 급행버스 ====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px]][[부산광역시 시내버스|{{{#ffffff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 || 노선번호 || 종별 || 기점 || 중간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 [[부산 버스 1002|1002]]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급행|{{{#f58220 급행}}}]] || [[웅상공영차고지|웅상]] || 덕계, [[노포역]], [[두실역]], 금정구청, 금정세무서, [[온천장역]], '''동래전화국''', [[재송역]], [[센텀시티역]] || 센텀파크 || 15~20분 || ||<|2> [[부산 버스 1008|1008]]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f58220 급행}}}]] ||<|2> [[장안읍|좌천]] ||<|2> [[정관신도시]], [[철마면|철마면사무소]], [[구서역|금정경찰서]], [[장전역]], [[부산대]], [[온천장]]→/←[[온천장역]], [[명륜역]] ||<|2>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 10~13분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심야|{{{#666666 심야}}}]] || 1회 || === 마을버스 === 동래구 마을버스는 6, 6-1번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동래구 내에서만 운행한다.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px]][[부산광역시 마을버스|{{{#ffffff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 || 노선번호 || 종별 || 기점 || 중간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 [[부산 버스 동래1|1]]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6ebf46 동래}}}]] || 명장2치안센터 || 세웅병원, 서2동새마을금고, 명장초교, 동래교육청, '''동래시장''', '''동래향교''' || [[명륜역]] || 15~16분 || || [[부산 버스 동래1-1|1-1]]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6ebf46 동래}}}]] || 동래문화회관 || '''메가마트''',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롯데동래, 동래럭키아파트, 우장춘기념관, [[금강공원]] || 장전중학교 || 60분 || || [[부산 버스 동래2|2]]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6ebf46 동래}}}]] || 남일중학교 || 안락뜨란채205동, 안남초교, 강변뜨란채, '''동래경찰서''', '''동래전화국''' ||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 10분 || || [[부산 버스 동래3|3]]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6ebf46 동래}}}]] || 금정산약수터 || 금정마을, 우장춘기념관, 롯데백화점, [[명륜역]],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메가마트''' || 명륜초교 || 10분 || || [[부산 버스 동래5|5]]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6ebf46 동래}}}]] || 달북마을 || 삼정그린코아, 온천중학교, 달북초등학교, 사직2동주민센터, 금정시장 ||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 8~12분 || || [[부산 버스 동래6|6]]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6ebf46 동래}}}]] || 반여현대아파트 || 센텀SK뷰113동, 서원시장, 동래화목아파트, 복천고분군, '''동래시장''' ||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 15~20분 || || [[부산 버스 동래6-1|6-1]]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6ebf46 동래}}}]] || 센텀롯데캐슬2차 || 선수촌아파트, 센텀SK뷰아파트, [[명장역]], 동래교육청, '''동래시장''' ||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 15분 || || [[부산 버스 동래8|8]]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6ebf46 동래}}}]] || 사직여자중학교 || 사직초등학교, 달북초등학교, 화신아파트, [[미남역]], 사직성당, 금정시장 ||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 10~15분 || || [[부산 버스 부산진17|17]]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6ebf46 부산진}}}]] || 초읍대진아파트 || 어린이대공원, 부산의료원, 사직실내수영장, 사직야구장, [[부산교육대학교|교대]]후문 ||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 15분 || === 기타 === ||<-6>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width=20px]] {{{#ffffff '''경상남도 시내버스'''}}} || || 노선번호 || 종별 || 기점 || 중간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 [[김해 버스 8|8]] || [[김해시 시내버스|{{{#00ac6c 김해}}}]] || 삼계차고지 || [[내외신도시]], [[인제대]], [[강서구청역]], [[구포역]], [[덕천역]] ||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 17~30분 || == 관련 항목 == * [[부산광역시/역사]] * [[동래구]] * [[동래온천]] * [[동래파전]] * [[동래읍성임진왜란역사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