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 4호선의 환승역, rd1=동래역(도시철도))] ||<-3> {{{+2 '''동래역'''}}} || ||<-3> [[동해선 광역전철|[[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width=30]]]] || || [[부전역(동해선)|{{{#!html
부전 방면}}}]][[교대역(부산)|교 대]][br]← 1.2 ㎞ || [[동해선 광역전철|{{{#!html
동해선
(K114)
}}}]] || [[태화강역|{{{#!html
태화강 방면}}}]] [[안락역|안 락]][br]0.9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동래역 부산동해선, 너비=100%, 높이=100%)]}}} || ||<-3> [[낙민역|[[파일:Busan4.svg|width=17]] {{{#005bac '''4호선 낙민역으로 갈아타기'''}}}]]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Dongnae || || [[한자]] ||<-2> 東萊 || || [[간체자]] ||<-2> 东莱 || || [[가나(문자)|가나]] ||<-2> [ruby(東莱, ruby=トンネ)] || ||<-3> '''주소''' || ||<-3> [[부산광역시]] [[동래구]] [[낙민로]] 27[br](舊 [[낙민동]] 112-3) || ||<-3> '''관리역 등급''' || ||<-3> [[무배치간이역]](위탁)[br]([[부전역(동해선)|부전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 ||<-3> '''운영 기관''' || || [[동해선]] ||<-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00]]]] || ||<-3> '''개업일''' || || [[동해선]] ||<-2> 1934년 7월 15일 || || [[동해선 광역전철|{{{#ffffff 동해선}}}]] ||<-2> 2016년 12월 30일 || ||<-3> '''역사 구조''' || ||<-3> 지상 2층 || ||<-3> '''승강장 구조''' || ||<-3>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 || ||<-3> '''철도거리표''' || || [[부산진역(경부선)|{{{#!html
부산진 방면}}}]][[교대역(부산)|교 대]][br]← 1.2 ㎞ || '''[[동해선]]'''[br]동 래 || [[영덕역|{{{#!html
영덕 방면}}}]][[안락역|안 락]][br]0.9 ㎞ → || ||[[파일:동해선 동래역 전경(2023.07).jpg|width=100%]]|| || 동래역 현재 모습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동래역(동해선) 스탬프.jpg|width=150]] [[파일:동래역(동해선) 스탬프_1.jpg|width=150]] || || 동래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각각 동래역 구역사와 동래학춤, 동래역사를 형상화했으며, 첫 번째 스탬프는 부산경남본부에서 제작하였고, 두 번째 스탬프는 동해선 전철 개통 기념으로 제작되었다. 첫 번째 스탬프는 글씨체가 약간 변경된 채로 [[센텀역]]에 비치중이다. || >'''옛 역사는 문화재로, 새 역사는 이용객 중심으로''' >동래역은 1934년 7월 동해남부선 중 부산진~해운대 구간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옛 역사는 1934년에 신축되어 수 차례 증 · 개축이 이루어졌지만. 벽돌과 벽돌과 박공지붕 등의 보존상태가 뛰어나다. 부산의 성장과 함께했던 대표적인 근대건축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 2019년 6월 5일 국가 등록문화재 제753호로 등록되었다. 현재 새로운 동래역 3번 출구 인근 구역사의 원래 자리에 소중하게 보존되어 있다. 2016년 12월 광역철도 전용역사로 다시 태어난 동래역은 바닷가에 인접한 동해선의 특성을 살려 돌고래를 형상화하여 디자인되었는데, 자전거 이용자와 영유아 동반객 등 이용객을 이용한 배려가 돋보인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동해선 광역전철]] K114번. [[부산광역시]] [[동래구]] [[낙민로]] 27 ([[낙민동]]) 소재. == 역 정보 == || {{{#!folding [ 사진 모음 펼치기 · 접기 ] ||[[파일:구동래신동래.jpg|width=100%]]||[[파일:donghaedongrae1.jpg|width=100%]]|| || 구 역사에서 바라본 신 역사 || 1번 출구 || ||[[파일:donghaedongrae2.jpg|width=100%]]||[[파일:주민센터와동래역.jpg|width=100%]]|| ||<-2> 2번 출구와 그 앞 [[수민동]] 행정복지센터 인근 모습 || ||[[파일:donghaedongrae3.jpg|width=100%]]||[[파일:donghaedongrae4.jpg|width=100%]]|| || 역명판 || 개찰구 || }}} || 동해남부선 복선 전철화 사업 이후 [[선상역사|고가역]]으로 탈바꿈했다. 위치는 [[부산 도시철도 4호선]] [[낙민역]] 300미터 정도 남쪽이여서 환승통로는 없고 공식 환승역은 아니지만 교통카드 이용시 개찰구 통과 후 30분 안에 [[낙민로]]를 따라 낙민역으로 가서 찍으면 [[간접환승|무료환승처리는 된다.]] 4호선 낙민역 안내방송에서도 동해선 환승 안내를 하고있다. 출구 정보 표시는 1번 출구 4호선 낙민역, 동래고등학교, 주차장 2번 출구 수민동주민센터 3번 출구 4호선 [[낙민역]], 낙민초등학교, 동래고등학교가 표기 되어 있으며 주차장을 제외하고 낙민역, 낙민초등학교, [[동래고등학교]]로 찾아 갈 경우 3번 출구가 1번 출구보다 더 가까우니 참고하여 이용하면 좋다. [[2014년]] [[11월 5일]]부터 [[2015년]] [[10월 11일]]까지 동해남부선 복선 전철화 사업으로 [[승강장]]만 고가 위 신 역사로 이전하여 공사판 즉 전형적인 [[선개통 후완공]] 상태에서 일반열차를 취급하기도 했다. [[https://blog.naver.com/kimhr91/220172429239|당시 승강장까지 가는 과정.]] 승강장은 나무판자였으며 [[동해선 광역전철]]이 개통한 이후에는 일반열차가 정차하지 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계단]] 등 높이는 미리 [[고상홈]]용으로 설계되어 있었다. [[2015년]] [[10월 12일]]부터는 신설 중인 역사에 [[승강장]] 공사를 해야 하는 관계로 여객열차 취급중단 및 무배치간이역으로의 격하가 행해졌다. 대신 여객열차는 [[센텀역|수영역]]에 정차를 하기 시작하였다. [[http://www.letskorail.com/ebizcom/event/total/EbizcomEventTotallw_cus06101_detail.do?searchKeyword2=568|#]] [[2016년]] [[12월]] 광역철도 전용 역사로 재개업했다. == 구 역사 == ||<-5>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장.svg|width=26]]]]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ffffff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 || 752호 ||<|2> ← || '''753호''' ||<|2> → || 754호 || || 고성 최동북단 감시초소 || '''부산 구 동래역사''' || 세종 구 산일제사 공장 || ---- ||[[파일:IMG_5304.jpg|width=100%]]||[[파일:olddongrae2.jpg|width=100%]]|| ||<-2> 구 역사 || '''1934년 [[동해남부선]] 개업 당시'''부터 약 '''80년''' 동안 영업을 해왔던 역사가 매우 깊은 건축물이다. 2013년 10월 1일 한국철도공사는 동해남부선 [[경주역(폐역)|경주역]], '''동래역''', [[불국사역]] 3개 역을 철도기념물로 지정하고 '''[[http://news.korail.com/main/php/search_view.php?idx=34033&pg=1|보존하기로 했다.]]''' 그러나 철도기념물 제도는 사측에서 자체적으로 마련한 것이기 때문에 역 건물 보존 근거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실제로 [[포항역(폐역)|구 포항역]]은 2015년 10월에 철거되었다. 다행히 구 동래역사는 2019년 6월 5일에 '''등록문화재 제 753호로 지정'''되면서 철거 가능성이 완전히 소멸하였다. == 논란 == === 부실 공사 의혹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동해선 광역전철/논란, 문단=2.2)] [[부산MBC]]에서 지붕 부실 공사 의혹을 단독 보도한 적이 있다. === 역명 중복 문제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과는 직선 거리로 1.3㎞나 떨어져 있고, 오히려 [[부산 도시철도 4호선]] [[낙민역]]과 더 가까운 '''전혀 다른 역'''이지만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과 역명이 중복된다. 이는 [[거제역]], [[해운대역]] 등은 [[부산 도시철도]]와 혼선을 줄 수 있는 역명 개정이 논의되어 각각 [[거제해맞이역]], [[신해운대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지만, 동래역은 역명 개정에 대한 언급이 없었기 때문이다. 결국, 동래역은 도시철도와 똑같은 이름으로 가게 되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794633|노선도에는]] [[동래역(도시철도)]]는 그냥 동래역, 이 역은 동래(동해선)역으로 표시되어 있다. [[파일:낙민동래국철.jpg]] 도시철도와 광역철도간 역명 중복으로 인하여 그 피해는 승객들이 떠안게 되었으며, 특히 외지인이나 초행 이용객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 비슷한 사례로 서울 신촌역 또한 2호선과 경의선간 역명이 중복되며, 도시철도 동래역처럼 지하철 신촌역 승객 수가 훨씬 많다.] [[동래역(도시철도)|도시철도 동래역]]으로 가기 위해 이 역에 내렸다가 환승통로를 찾지 못해 역무원에게 문의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 모양. 혹시라도 잘못 내렸다면 다시 부전행 열차를 타고 [[교대역(부산)|교대역]]으로 가서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열차로 갈아타거나 인접한 [[낙민역]]으로 가서 [[부산 도시철도 4호선]]으로 갈아타야 한다. 주민들은 주로 '동래기차역'으로 부르는 듯 하다. 1,4호선 동래역은 '동래전철역'. 지금은 '동래기차역'에도 전철이 들어오고 오히려 '기차'가 안 서지만 개통된지 얼마 안 되었는데다가 굳이 이전부터 나름대로 구분하던 관습명칭을 굳이 바꿔부르면 오히려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인듯. == 역 주변 정보 == 일요일 새벽마다 역사 앞에 새벽시장이 들어서기도 했었다. 원래는 기장에 사는 농민들이 주말에 농산물을 팔기 위해 잠시 건너와 차린 시장으로 규모가 작았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인근 [[상인]]들과 인근 시장에서도 이 곳에 자리를 잡고 그에 따라 커진 시장 규모 때문에 최근 [[충렬대로]]에다가도 주차를 하거나 장사판을 벌려 놓아 인근에 극심한 교통정체를 유발했다. 결국 [[동래구청]]에서 새벽시장을 2012년 2월 28일에 폐쇄한다는 내용 현수막을 걸었다...가 5월 1일까지로 연장됐다. 그러나 동래역 재건축과 주변 미관을 고려해서 2012년 6월부터 폐쇄되었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동해선 광역전철|[[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16년 || 1,304명 || [* 개통일인 12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2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17년 || 1,508명 || || || 2018년 || 1,613명 || || || 2019년 || 2,054명 || || || 2020년 || 1,947명 || || || 2021년 || 2,155명 || || || 2022년 || {{{#005bac 2,571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425&key=867|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br]수송통계 자료실]] || }}} * 하루 평균 이용객은 2,054명(2019년 기준)으로 [[동해선 광역전철]] 1단계 구간[* [[부전역(동해선)|부전역]] - [[일광역]] 구간]중 [[거제해맞이역]] 다음으로 수요가 적다. * 열차가 [[부전역(동해선)|부전역]]에서 끊겨 부산의 주요 거점을 훑지 않는 노선 자체의 문제가 있고, 배차 간격이 30분 내외여서 지역 주민들이 이용하기 매우 불편한 것이 큰 장애 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개업한 지 80년이 넘은 오래된 역임에도 불구하고 역 위치가 동네 주택가 한복판에 놓여진 것이 승객을 끌어모으지 못하는 원인 중 하나이고 주변에 4호선 [[낙민역]]으로 인해 수요를 나눠먹는 바람에 승객이 분산되는게 이유다.[* 4호선-동해선 간 환승수요를 기대해볼만 하지만, 직접환승이 되지 않아 수요가 저조하다. 수요가 늘려면 직접환승이 필요하지만, 아직 두 노선 모두 수요가 저조한 편이고 환승통로 개설공사도 힘들다.] * 낙민동 주민들 생활권이 1호선 주변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서면역]] - [[남포역(부산)|남포역]])에 쏠려 있어 [[태화강역]] 연장이 이루어져도 이용객 수 상승은 미미할 것으로 전망된다. == 승강장 == ||[[파일:동래역 전철 승강장.jpg|width=100%]]|| || 동래역 승강장 || 2면 4선 쌍섬식으로 광역전철은 대부분 본선을 이용하나, 무궁화호 등 일반열차를 먼저 보내는 경우 바깥쪽 부본선에 정차하는 경우가 있다. 동해선 중에서 선행열차를 대피하는 역은 한동안 동래역이 유일하였으나, 주말에 운행하는 부전행 K8558 전동열차에 한해 [[신해운대역]]에서 서울행 #1022 [[ITX-새마을]] 열차를 선행대피하는 시각표로[* 무려 부본선 추월 본선 대피이다!] 개정되다 보니 유일하지는 않게 되었다가 태화강 연장 이후 다시 유일한 대피역으로 운영중이다. [[거제해맞이역]], [[송정역(부산)|송정역]], [[일광역]], [[월내역]], [[망양역]], [[덕하역]]은 시간표가 무지하게 꼬였거나 차량고장 같은 비상상황이 아닌 한 부본선을 이용하지 않는다. 2023년 7월 1일 시간표 기준으로 광역전철 전동차가 부본선에 정차하는 열차는 다음과 같다. || 열번 || 구분 || 도착 || 출발 || 통과열차 || ||<-5> '''태화강·망양행''' || || K8561 || 평일 ||<|2> 17:39 ||<|2> 17:45 ||<|2> 무궁화호 #1794 부전 → 동대구 || || K8557 || 휴일 || || K8559 || 휴일 || 18:01 || 18:07 || ITX-새마을 #1023 서울 → 신해운대 || || K8563 || 휴일 || 18:45 || 18:51 || 무궁화호 #1796 부전 → 동대구 || ||<-5> '''부전행''' || || K8534 || 평일 ||<|2> 12:49 ||<|2> 12:55 ||<|2> 무궁화호 #1601 청량리 → 부전 || || K8532 || 휴일 || || K8544 || 평일 || 15:21 || 15:27 || 무궁화호 #1793 동대구 → 부전 || || K8562 || 평일 || 19:22 || 19:28 || 무궁화호 #1795 동대구 → 부전 || || K8572 || 평일 || 20:42 || 20:48 || 무궁화호 #1603 청량리 → 부전 || 여담으로 가끔 시간표가 꼬이면 10분이상(...)정차해야하기도 한다. ('''[[https://m.dcinside.com/board/train/1077320?recommend=1|사례]]''') ||<-8> ↑ [[교대역(부산)|교대]] || || ㅣ || {{{#ffffff 4}}} || {{{#ffffff 3}}} || ㅣ || ㅣ || {{{#ffffff 2}}} || {{{#ffffff 1}}} || ㅣ || ||<-8> [[안락역|안락]] ↓ || || {{{#ffffff 1}}} ||<|4>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width=17]] [[동해선 광역전철]] ||<|2>[[안락역|안락]]·[[벡스코역|벡스코]]·[[태화강역|태화강]] 방면 || || {{{#ffffff 2}}} || ||{{{#ffffff 3}}} ||<|2>[[교대역(부산)|교대]]·[[거제역|거제]]·[[부전역(동해선)|부전]] 방면 || || {{{#ffffff 4}}} || 2022년 8월 기준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작동중이다. [[https://youtu.be/H0X5ndiSglc|#]] == 출구 정보 == || {{{#ffffff 1}}} ||[[부산 도시철도 4호선|4호선]] [[낙민역]], [[동래고등학교]], 주차장|| || {{{#ffffff 2}}} ||[[수민동]] 주민센터|| || {{{#ffffff 3}}} ||4호선 낙민역, 낙민초등학교, [[동래고등학교]]|| 위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2번 출구에서 나오면 [[동래구청]] 임시청사가 있다. == 요금 == ||<-6>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a 일회용 승차권 사용 불가 ([[간접환승]] 구간)]}}}]] || [[부산역(도시철도)|부산역]][* [[부산 도시철도 4호선|4호선]] [[낙민역]]으로 가면 [[좌천역(도시철도)|좌천역]]까지 기본 요금이다.] || ◁ || [[교대역(부산)|교 대]] || ▷ || [[노포역|노 포]] || ||<|2>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fff 2[*a]}}}]] || [[장산역|장 산]][* [[부산 도시철도 4호선|4호선]] [[낙민역]]으로 가면 [[센텀시티역]] ~ [[금련산역]]까지 기본 요금이고, [[장산역]] ~ [[센텀시티역]], [[남천역]] ~ [[지게골역]] 구간은 추가 요금을 내야 한다.] || ◁ || [[수영역|수영]]·[[서면역|서면]] || ▷ || [[주례역|주 례]][* [[부산 도시철도 4호선|4호선]] [[낙민역]]으로 가면 [[문현역]] ~ [[동의대역]]까지 기본 요금이고, 남천역 ~ 지게골역, [[개금역]]~[[모라역]] 구간은 추가 요금을 내야 한다.] || || [[구남역|구 남]] || ◁ || [[덕천역|덕 천]] || ▷ || [[수정역|수 정]]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ffffff 3[*a]}}}]] || [[수영역|수 영]] || ◁ || [[연산역(부산)|연 산]] || ▷ || [[구포역(도시철도)|구 포]]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ffffff 4[*a]}}}]] || [[미남역|미 남]] || ◁ || [[동래역(도시철도)|동 래]] || ▷ || [[윗반송역|윗반송]][* [[부산 도시철도 4호선|4호선]] [[낙민역]]으로 가면 [[안평역]]까지 기본 요금이다.] || || [[동해선 광역전철|{{{#ffffff 동해}}}]] || [[부전역(동해선)|부 전]] || ◁ || {{{#c0c0c0 동 래}}} || ▷ || [[벡스코역|벡스코]] || == 연계 교통 == 3번 출구로 나가서 마을버스 [[부산 버스 동래2|동래2번]]을 이용하거나, 충렬대로 상의 낙민역(동래고등학교) 정류장이나 반송로 상의 우성아파트 정류장을 이용하여야한다. 100m 정도 거리인 동래2번 정류장[* 동래구청]을 제외하면 걸어가는 시간은 10분 정도로 둘 다 비슷하다. == 대중문화 속 동래역 == * 2013년 3월에 상영한 독립영화 '미스진은 예쁘다'가 이 역(구. 동래역)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동해선 광역전철의 역 목록)] [include(틀:동해선의 역 목록)] [[분류:1934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부산광역시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분류:동해선 광역전철]][[분류:동해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동래구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