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cd5e778524e25280928a656185a582dd.jpg|width=100%]]}}} || ||<-2> '''{{{+1 {{{#ffffff 동대문운동장}}}}}}[br]{{{#ffffff 東大門運動場 | Dongdaemun Stadium}}}''' || || '''{{{#ffffff 연혁}}}''' || 경성운동장 (1925~1945)[br]서울운동장 (1945~1984)[br]동대문운동장 (1984~2008) || || '''{{{#fff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을지로]] 281 (을지로7가)[* 구 도로명주소로 서울특별시 중구 흥인문로 35, 지번주소로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7가 143번지.][* 현재 이 자리에 들어선 [[DDP]]의 도로명 주소이다.] || || '''{{{#ffffff 애칭}}}''' || 성동원두[br](城東原頭)[* 서울 동쪽(城東)의 넓은 벌판(原頭)이라는 뜻이다.] || || '''{{{#ffffff 기공}}}''' || 1925년 5월 24일 || || '''{{{#ffffff 개장}}}''' || 1925년 10월 15일 || || '''{{{#ffffff 폐장}}}''' || 2003년 3월 || || '''{{{#ffffff 철거}}}''' || 2008년 5월 14일 || || '''{{{#ffffff 좌석}}}''' || 22,706석 || || '''{{{#ffffff 수용인원}}}''' || 23,500명 || || '''{{{#ffffff 표면}}}''' || 천연잔디 (필드), 우레탄 (트랙) || || '''{{{#ffffff 준공비}}}''' || 155,000원 || || '''{{{#ffffff 소유}}}''' || [[서울특별시청]] || || '''{{{#ffffff 운영}}}''' || 서울특별시체육시설관리사업소 || || '''{{{#ffffff 홈 구단}}}''' || [[경성축구단]] (1933~?)[br][[서울시청 축구단]] (1976~2003)[br][[성남 FC/일화 시절|일화 천마]] (1989~1995)[br][[FC 서울/역사|럭키금성 황소-LG 치타스]] (1990~1995)[br][[제주 유나이티드 FC/유공과 SK 시절|유공 코끼리]] (1991~1995)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DDP, 너비=100%, 높이=225px)]}}} || [목차] [clearfix] == 개요 == > "전국에 계신 스포츠 팬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여기는 '''서울운동장'''입니다.[* 광복 이후 [[1980년대]] 중반까지 서울에서 펼쳐졌던 실외 국제 스포츠 대회 중계방송의 첫머리는 늘상 이 멘트였다. 실외경기의 메카가 서울운동장이었다면 실내경기의 메카는 이곳에서 멀지 않은 [[장충체육관]]이다.]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7가 일대에 위치했던 [[종합운동장]]이다. 애칭은 성동원두(城東原頭). 수많은 국내·국제 체육 경기가 벌어졌던, '''대한민국 근현대 스포츠의 메카'''라 할 수 있으며, 역사적으로도 상당히 중요한 장소이다. 여러 차례의 개·보수 끝에 야간 조명 시설을 설치했고, 주경기장의 경우 트랙은 우레탄 포장, 그리고 필드는 천연잔디를 깔았다. 28단의 스탠드는 3만 명의 관객을 수용할 수 있다. 부속 건물로 [[동대문야구장]], 테니스장, 수영장, 배구장 등이 있었다. == 건립 == [[1925년]] [[10월 15일]] 건립된 이래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최고(最古)의 [[경기장]]'''이자, '''대한민국 스포츠의 메카'''였다. === 건립 배경 === [[일제강점기]]에 경기장이 없어서 사립학교의 운동장을 빌려서 행사를 개최했는데, 이러한 임시방편만으로는 현대적인 체육행사의 수요를 감당할 수 없었고 당시 교육기관의 민족주의적 성향 때문에 체육행사의 성격이 민족의식을 표출하는 자리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지금도 스포츠경기는 인기가 많지만, '즐길거리'가 많지 않았던 1920년대이기 때문에 이러한 체육행사에는 상당한 인파가 모여들었는데, 이는 곧 대규모의 독립 시위로 발전할 수도 있음을 의미했고, 이러한 상황을 막기 위하여 [[조선총독부]]는 독자적인 체육 전용시설 건설을 고려하기에 이르렀다. === 건립 === 1925년 일본의 동궁([[쇼와 덴노]]) 결혼기념사업의 일환으로 '''경성운동장'''[* 개장 당시의 정식명칭은 '동궁전하어성혼기념 경성운동장(東宮殿下御成婚記念 京城運動場)'이었다.]이라는 이름으로 건설되었다. 경성운동장은 일본 황실 황태자[* 당시 [[다이쇼 덴노]]의 건강 문제로 히로히토 황태자가 섭정(조선으로 치면 [[대리청정]])하고 있을 때여서 사실상의 천황이였다. 실제 천황에 즉위한것은 1926년 12월 25일이다.]의 결혼식이라는 일본의 최대 경사를 경축하는 뜻을 담는 동시에 "특히 운동을 사랑하시는 동궁전하의 기념사업으로 운동장 설치계획을 세움은 적당한 처치"라는 것이 그 건립의 이유였다. 경성운동장의 부지가 조선시대의 훈련원(訓練院) 자리와 [[한양도성]] 성벽을 허물고 남은 공터였던 만큼, 한민족에게는 식민통치의 역사의 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역사의 굴곡이 뒤엉킨 자리에 '''그것도 일본 황태자의 결혼식을 기념하는 명분으로''' 건설한 것이 바로 축구장, 육상경기트랙, 야구장, 테니스장, 수영장 등을 아우르는 '동양 최대의 종합경기장' 경성운동장이었다. [[파일:external/photo-media.hanmail.net/20080130102613.247.0.jpg]] 붉은색 선이 성벽의 위치이다. 정확히 가운데를 관통해 지나간다. 경성운동장은 경성부의 토목기사인 오모리(大森)에 의해 설계되었는데, 그 구조를 보면 총면적 22,700평, 총 공사비 155,000원(약 34억), 총 수용인원 25,800명이며 육상경기장 8,500평(15,000명), 야구장 5,500평(7,000명), 정구장 1,000평(3,900명)의 규모이다. [[파일:external/lee-ny.com/30611725_750x584.jpg|width=400]] [* 축구장 윗편의 학교는 덕수중학교와 덕수상업고등학교(현 [[덕수고등학교]])이고, 축구장 아래에 있는 학교는 [[한양중학교]]와 [[한양공업고등학교]]다. 덕수중과 덕수상고는 각각 [[을지로4가역]]과 [[한양대역]] 부근으로 교사를 이전했다. (현재 덕수고는 [[위례신도시]]로 다시 이전)] === 부속 건물 === * 주경기장 : 최초에는 육상 전용 경기장이었다가 피치를 다듬으면서 축구 경기도 가능하게 됐다. * [[동대문야구장]] : 한국 야구의 성지와도 같은 곳. 1960~1970년대 [[고교야구]]와 [[한국실업야구|실업야구]]의 전성기를 보냈던 곳이며 [[KBO 리그]]의 역사도 이 곳에서부터 시작됐다. * 배구장 : 대한민국 최초의 실내체육관인 [[장충체육관]]이 들어서기 전에 주로 사용했던 체육관으로 지붕이 없는 노천체육관이었다. * 수영장 : [[미스코리아]] 대회의 수영복 심사장으로 이용된 적이 있다. * 테니스장 : 최초 건립시에는 [[연식정구|정구]]장이었다. * [[동대문운동장역]] : [[1983년]] [[서울 지하철 2호선]] 개통. 원래 서울운동장역이었으나 이후 개명했다. 운동장 철거 후 공원화된 지금은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이 되었다. == 역사 == === 1928~1945 === 건립후 광복 전까지 [[전국체육대회|전조선종합경기대회]], 조선자전거경기선수권대회 등 각종 대회의 경기장으로 활용되었다. 근대적인 경기장으로는 거의 유일했기 때문이다. 특히, 서울과 평양이 축구로 겨루는 경평축구대회([[경평전]])의 서울측 홈구장이기도 했다. 제2회 경평축구대회에는 2만여명의 관중이 운집하기도 하였다. === 1945~1982 === 1945년 광복이 되자 일본이 서울을 칭하던 [[경성부|경성]](京城)[* 일제가 서울을 경성으로 부른 것은 맞지만, [[조선왕조실록]] 등에도 사용한 바가 있다.]을 서울로 바꾸어, 서울운동장으로 개명하였다. 광복 직후 [[의친왕]]의 아들인 [[이우]] 공의 [[장례식]]이 거행된 장소이기도 하다. 1962년의 보수공사로 육상경기장을 비롯 야구장·수영장·배구장·테니스장 등이 국제규모의 운동경기를 치를 수 있는 시설을 갖추었고, 1966년 대대적인 확장공사가 이루어졌는데, 이때 야구장에 야간 조명시설이 마련되었다. 1968년 보수공사로 메인스타디움인 육상경기장이 오늘날 흔히 기억되는 모습을 갖추었다. [[파일:external/cfs9.blog.daum.net/4767a0bc653b2&filename=운동장1.jpg|width=400]] 종합경기장으로 개장 이후 일제강점기와 광복을 거치면서 각종 체육단체, 각급학교, 언론기관에서 주최한 각종 종목의 전국 규모 대회와 올림픽 및 월드컵축구대회의 출전을 위한 예선전 등의 각종 경기대회가 개최되었다. 특히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이 개장하기 전까지 서울에서 [[전국체육대회]]를 치러야 할 때는 메인 스타디움 역할을 치러냈다. [[파일:external/pds.joinsmsn.com/htm_2005091411393011001110-001.jpg|width=400]] 1976년 3월 27일 서울운동장에서 열린 [[1976 몬트리올 올림픽]] 축구 아시아 예선전. 더구나 이곳은 단지 스포츠의 공간이 아니라 때로 정치, 사회, 문화의 현장이기도 했다는 점에서도 틀림없는 '종합'경기장이었다. [[8.15 광복]] 경축행사, 각종 규탄대회 등 관제집회[* [[북한의 대남 도발사|북한의 대남 도발]]이 이뤄지면 어김없이 이 운동장이나 [[여의도광장]]에서 궐기대회가 열렸다. 또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이나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당시 이 경기장에서 희생자 영결식을 치른 뒤 북괴 만행 규탄대회를 함께 치렀다.], [[어린이날]] 행사, [[국군의 날]] 행진시 최종 도착지, [[미스코리아]] 대회장(부속 수영장), 부활절 연합예배 등 종교행사 등 다양한 목적의 행사에 활용되었다. === 1983~2000 === [[1986 서울 아시안 게임]]과 [[1988 서울 올림픽]]에 사용목적으로 잠실에 건설된 운동장의 명칭이 '서울종합운동장'으로 확정 되었던 1985년 1월 '동대문운동장'으로 개칭되었다.[[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5011700329208007&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5-01-17&officeId=00032&pageNo=8&printNo=12094&publishType=00020|국립경기장 등 이름확정]] 이때부터 화려한 영광을 뒤로하고 내리막길을 걷게 된다. [[장충체육관]], [[효창운동장]], [[잠실종합운동장]], [[목동운동장]] 등의 운동장이 신설되었기 때문에 '서울 경내의 유일한 종합운동장'의 지위마저 상실했으며, 여러차례의 개보수를 했다고 하지만 준공 후 60년 이상이라는 기나긴 세월이 지난 시점이어서 시설의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하지만 현재의 [[K리그]] 원년인 [[K리그/1983년|1983 시즌]] 슈퍼리그의 역사적인 개막전 경기를 비롯 매시즌 가장 많은 중립경기가 배정되었으며 그리고 1989년부터 [[성남 FC|일화 천마]] (현 [[성남 FC]])를 시작으로 1990년 [[FC 서울|LG 치타스]] (현 [[FC 서울]]), 1991년 [[제주 유나이티드 FC|유공 코끼리]] (현 [[제주 유나이티드 FC|제주 유나이티드]]) 이렇게 서울 연고 구단들이 생기면서 서울 연고 구단들의 고정적인 홈경기를 비롯하여 실업 축구 결승전, 대학 축구 결승전과 같은 주요 경기가 열려 국내 축구의 메카로 불리기도 하였다. 좌석수에서 동대문운동장의 두 배 이상인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이 1984년 개장한 이후로는 A매치 등 인파가 몰리는 경기는 잠실에 넘겨주었으나 이따금씩 동대문운동장에서도 대형 이벤트가 개최되기도 했었다.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 [[AFC 아시안컵]] 예선 등 중요도가 비교적 덜한 A매치가 동대문에서 열리는 경우가 있었다. 아시안컵 예선 당시에는 [[박지성]]과 [[이천수]]가 국가대표팀으로 처음 뽑혀 A매치 데뷔전을 치르기도 했다. 1996년 [[서울 연고 공동화 정책]] 강행으로 서울 연고 구단들이 지방으로 이전한 후에도 이따금씩 정규리그와 [[K리그 리그컵|컵대회]] 등의 중립경기들이 열렸으나 점차 프로축구 경기 개최수가 줄어들었으며 2000년 10월 22일 [[성남 FC|성남 일화]]와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컵대회 경기를 마지막으로 프로축구 경기는 더 이상 개최되지 않았다. * 1990년 당시 서울 연고 구단이었던 [[FC 서울/역사|럭키금성 황소]](현 [[FC 서울]] )의 동대문운동장 홈경기에서 1990 시즌 K리그 우승 세리머니 사진 * 날짜: 1990년 10월 30일, 출처: 동대문운동장 기념관 [[파일:5d1Fxk4.jpg]] * 1990년에서 1995년까지 당시 서울 연고 구단이었던 [[FC 서울/역사|LG 치타스]], [[성남 FC/일화 시절|일화 천마]](현 [[성남 FC]]), [[제주 유나이티드 FC/유공과 SK 시절|유공 코끼리]]의 K리그 동대문 더비 중 LG 위주 골장면 영상 [youtube(9DwdEStvOTA)] * 1995년 당시 서울 연고 구단이었던 [[성남 FC/일화 시절|일화 천마]](현 [[성남 FC]])와 [[제주 유나이티드 FC/유공과 SK 시절|유공 코끼리]](현 [[제주 유나이티드 FC|제주 유나이티드]])와의 K리그 동대문 더비 경기 영상 * 날짜: 1995년 9월 13일 [youtube(2yPpd2KVGOQ)] * 1999년 중립경기로 벌어진 [[대전 시티즌]]과 [[제주 유나이티드 FC/유공과 SK 시절|부천 SK]]와의 K리그 경기 영상 * 날짜: 1999년 6월 30일 [youtube(2g9VmconDas)] * 2000년 동대문운동장에서 열린 마지막 프로축구 [[K리그 리그컵|컵대회]] 경기에서 유일한 결승골을 터트린 서정원의 골 세리모니 사진 * 날짜: 1990년 10월 22일, 출처: 동대문운동장 기념관 [[파일:SuzmBZ8.jpg|width=500]] === 2001~2008 === 80년 이상의 세월을 지내온 만큼 낡은대로 낡아서, 안전상의 이유로 정상적인 운동장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당시 필드 상태도 불규칙적이고 엉망이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을 앞두고 벌어진 올림픽 팀의 국내 평가전에서 [[이관우]]가 불규칙적인 필드 때문에 발을 크게 접지르는 부상을 당해 올림픽 출전이 무산되었다. 대신 발탁된 선수가 바로 [[이천수]].] 가장 단적인 예로 [[동대문야구장]]의 철거 직전이었던 2007년에 [[LG 트윈스]], [[삼성 라이온즈]], [[두산 베어스]]가 정규시즌 일부 경기를 고별경기 형식으로 치르려 기획했다가 노후된 경기장 시설 때문에 철회됐던 적이 있었다. 참고로 저 세 팀은 프로야구 원년 개막전 팀(삼성 vs MBC)과 한국시리즈 맞상대팀(OB vs 삼성)이었다. 또한 두 서울 연고구단이 MBC와 OB는 각각 1982년과 1985년에 동대문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2001년 일부 부지가 체육공원과 도로[* 도로명은 을지로45길.]로 조성되면서 수영장[* 다만 수영장의 경우 이미 1993년에 폐쇄된 상태였다.], 씨름장, 테니스장은 소멸하게 된다. 2003년 3월 주경기장이 폐쇄되었으며, 철거 직전까지 풍물시장과 주차장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청계천]] 공원화 사업으로 청계천 등지에서 노점상이 장사할곳이 없어지자 동대문운동장으로 자리를 옮겨 장사를 하기도 했다.[* [[일본]] [[오사카시|오사카]]에서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전신인 난카이 호크스가 1989년 후쿠오카로 연고지 이전을 한 이후, 난카이의 홈구장이었던 [[오사카 구장]] 내부에 모델하우스를 설치한 적이 있다. [[화차(소설)]]에 이런 기묘한 상황이 표현되어 있다.] 경기장 안에 시장과 주차장이 있는 기묘한 모습을 보고 안타까워 하는 사람도 많았다. [[파일:external/www.buyking.com/2_sign.jpg]] [[파일:external/www.buyking.com/1_outside.jpg]] 주경기장(축구장)과는 달리 야구장은 철거직전까지 [[고교야구]]-[[대학야구]] 등 아마추어 야구대회를 개최하였다. [[파일:external/pds.joinsmsn.com/htm_2007050406020060006100-001.jpg]] 만화가 [[윤현석]]이 너에게 날리는 홈런을 그렸을 당시에 취재를 갔던 사진들이 있다. [[http://blog.naver.com/asukasin12/60036842202|보러가기]] == [[철거]] 및 [[DDP]] 건립 == 일시적으로 어중간하게 조성된 [[재래시장]]으로 명맥을 이어가던 동대문운동장은 결국 정리대상이 되었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오세훈]] [[한나라당]] 후보가 [[서울특별시장]]으로 당선되자, 선거기간 동안 공약했던 [[DDP|디자인플라자]] 조성 부지가 바로 동대문운동장 일대였던 것이다. 동대문운동장 부지의 공원화 사업 계획이 발표 되었다. 80년간 대한민국 스포츠계의 [[성지]]였던 만큼, 체육계에서 반대를 표명하였다. 이런저런 일로 반목하던 축구계와 야구계가 뜻을 모은 사례이기도 하다. 또, 운동장 주변 지하상가 상인[* 운동장 주변이라는 특성상 주로 스포츠 용품점들이 많았다.]들과 풍물시장에서 장사하는 상인들도 철거를 반대 하였다. 단순한 철거 반대라기 보다는 생존권 보장 차원이었다. [[파일:external/ojsfile.ohmynews.com/IE000824867_STD.jpg]] 대한민국의 근/현대사를 함께한 공간인만 큼 근대문화유산으로 등록하여 보존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임시정부 환국봉영회, [[기미독립선언]]기념 전국대회, [[김구]] 선생 국민장(장례식) 거행, [[신탁통치]] 찬반 집회[* 1945년 12월 30일에는 신탁통치에 반대하는 우익측이, 1946년 1월 3일에는 신탁통치에 찬성하는 좌익측이 집회를 열었다.] 등 광복 직후의 정치집회[* 1946년 노동절 대회는 우익측(대한노총)은 축구장, 좌익측(전평)은 야구장에서 각각 집회를 열었다.]가 있었던 역사적으로도 중요한 장소였다.[* 이러한 배경 때문인지 DDP가 건설된 후인 2020년 [[광복절]] 경축식장으로도 쓰였다.] [[파일:external/www.chpri.org/SSI_20061206183420_V.jpg]] [[파일:external/news.chosun.com/2006121100034_0.jpg]] 동대문운동장은 결국 2007년 12월 18일 철거가 시작되었다. [[파일:external/www.seoulfolkfleamarket.com/1039954626_ebe0bd5f_5.jpg]] 경기장 내에서 장사했던 풍물시장 상인들은 옛 숭인여자중학교 운동장 부지[* 숭인여중은 남녀공학의 [[숭인중학교]]로 바뀐 후 [[2005년]] 답십리동으로 이전하였다. 풍물시장 조성으로 사라진 운동장과 달리 학교 건물은 그대로 남아 [[2023년]] 현재 서울특별시 교육연구정보원 별관으로 활용중이다.]에 새롭게 조성된 현재의 [[서울풍물시장]]으로 이전하였다. [[파일:external/pds.joinsmsn.com/htm_2007082208104530003700-001.gif]] 이후의 내용은 [[DDP]] 문서 참조. == 관련 문서 == * [[동대문야구장]]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동대문 패션타운 관광특구]] [[분류:중구(서울)]][[분류:종합 운동장]][[분류:서울특별시의 경기장]][[분류:대한민국의 없어진 건축물]][[분류:없어진 체육 시설]][[분류:동대문역사문화공원]][[분류:경성축구단]][[분류:서울시청 축구단]][[분류:성남 FC]][[분류:FC 서울]][[분류:제주 유나이티드 FC]][[분류:1925년 건설]][[분류:2007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