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동대문구/정치)]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fff 국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2 {{{#fff 동대문구 갑}}}}}}'''[br]{{{-1 {{{#fff [[휘경동|{{{#fff 휘경동}}}]], [[이문동|{{{#fff 이문동}}}]], [[청량리동|{{{#fff 청량리동}}}]], [[용두동(서울)|{{{#fff 용두동}}}]] 등[br]東大門區 甲[br]Dongdaemun A}}}}}}}}}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동대문구 갑.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148,982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서울특별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동대문구|{{{#373a3c,#ddd 동대문구}}}]] 일부''' 휘경1동, 휘경2동, 이문1동, 이문2동, 청량리동, 용신동, 제기동, 회기동 }}} || ||<-2> '''신설년도''' ||<-2> [[제13대 국회의원 선거|1988년]] || ||<-2> '''국회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안규백]]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의 원도심에 속하는 지역[* 정확히는 1호선과 경의·중앙선이 접하는 지역이다.][* 좀 의외의 사실인데 [[청량리역]]은 정작 청량리동이 아닌 전농동이 주소지라서 을 선거구로 빠진다. 다만 지하철 1호선 역사는 청량리동에 속해 있다.]으로 동대문 지역 중에서 스윙보트로 꼽힌다. [[서울시립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경희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등등 대학교 상권을 끼고 있다.[* 서울시립대는 후문 상권·자취촌인 휘경동만 갑 지역이고 정문인 본 상권은 을 지역인 전농동이다. 청량리동은 다시 갑 지역네 속한다.] 대체적으로 민주당이 우세한 서울 동북권에서는 보수세가 꽤 강한 지역이라 보수정당 출신 당선자들도 제법 되는 편이다. 동별 정치성향 차가 극명한 편은 아니지만 전통적으로 청량리동이 토박이들이 많아 가장 보수성향이 강하고[* 동대문구 갑의 청량리동은 [[영등포구 을]]의 [[여의도동]]과 비슷하다. 여의도동과 청량리동 모두 해당 지역구에서 보수성향이 매우 강해 나머지 지역의 민주당 약우세를 여의도동과 청량리동의 보수정당 초강세가 상쇄하여 영등포구 을과 동대문구 갑 지역구를 총선 때마다 서울에서 손꼽히는 격전지로 만든다.], 이문2동이 가장 민주당세가 강한 편이다. 나머지 동들 중에서는 이문1동과 제기동은 보수세가 다소 강하고, 휘경1,2동은 그보다는 조금 더 민주당에 가깝다. 특히 이문1동의 경우, [[이문휘경뉴타운]]을 중심으로 [[중산층]] 위주의 아파트 단지가 많이 조성되어 있는 것이 전통적인 보수 강세에 긍정적으로 작용해왔으며, 최근 20대 남성의 보수화에 맞물려 이 동네에 거주하는 [[한국외국어대학교|외대]] 학생들의 표심 또한 이 동네의 보수화에 보탬이 되고 있다.[* 다만 외대는 대학 특성상 20대 여성들의 비율이 꽤 높다. 그런데 여기서도 윤석열 후보가 승리하였다.][* 사실 이문1동은 민주당이 서울에서 우위를 보이던 2010년대에도 여타 대학가에 비해 민주당과 진보정당 득표율이 다소 낮은 편이었다. 아무래도 외대 학교 규모가 인근의 경희, 고려, 시립에 비하면 비교적 작은데다 데다 기숙사나 원룸 거주자 또한 많은 편이 아니라 신촌, 안암, 회기에 비해서는 민주당이 큰 재미를 보지는 못했다.] 회기동의 경우, [[경희대학교|경희대]]가 모교인 [[문재인]]의 임기 초중반에는 민주당 성향이 강했으나, 문재인이 임기 말에 접어들고 문재인의 정적인 [[이재명]]이 민주당 대선후보로 선출된 이후에는 현저하게 보수화되었다. 실제로 [[제20대 대통령 선거|20대 대선]]에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의 회기동 득표율은 이재명보다 7%p 이상 높으며, 이는 동대문구와 동대문구 갑 평균보다 윤석열 지지 성향이 강하게 나타난 것이다. --[[뮨파]]대학교-- 참고로 경희대 서울캠 내에서도 학과별로 정치적 성향이 갈리는 편인데, 우선 인문계열·순수과학계열 학과의 경우 진보성향이 상대적으로 강한 편이다. 반면 체대 계열은 중도층, 상경·공학 계열은 보수성향이 상대적으로 강하다. 현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4선 [[안규백]]이다. 초선(18대)은 비례였고 이 지역구에서는 19대 총선부터 내리 3선에 성공했다. 교육·노동·교통 등의 내치 분야와 달리 외치 분야라 지역구 예산 타기가 어려워 기피 상임위 1순위(...)로 분류되는 국방위원회에서 줄곧 활동했는데도 보수세가 만만찮은 지역구에서 연임에 성공하는걸 보면 지역 내 평판이 썩 나쁘지는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 || 대수 || 당선자 || 당적 || 임기 || ||<|2> 제헌 || [[이승만]] || [include(틀: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948년 5월 31일 ~ 1948년 7월 20일 [* 임기 도중 사퇴 (대통령 선거 출마)] || || [[홍성하]] || [include(틀: 한국민주당)] || 1948년 10월 30일 ~ 1950년 5월 30일 || || 제2대 [*a 동대문구 (단일 선거구)] || [[장연송]] ||<|2> [include(틀: 무소속)] || 1950년 5월 31일 ~ 1950년 6월 25일 || || 제3대 [*a 동대문구 (단일 선거구)] ||<|4> [[민관식]] || 1954년 5월 31일 ~ 1958년 5월 30일 || || 제4대 || [include(틀: 민주당(1955년))] || 1958년 5월 31일 ~ 1960년 7월 28일 || || 제5대 ||<|2> [include(틀: 민주공화당)] || 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 || 제6대 || 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 || 제7대 ||<|2> [[송원영]] ||<|2> [include(틀: 신민당(1967년))] || 1967년 6월 31일 ~ 1971년 6월 30일 || || 제8대 || 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 || ||<|2> 제9대 [*b 동대문구 (중선거구제)] || [[강상욱]] || [include(틀:민주공화당)] ||<|2>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 || [[송원영]]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2> 제10대 [*b 동대문구 (중선거구제)] || [[송원영]] || [include(틀: 신민당(1967년))] ||<|2>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 || [[이인근]] || [include(틀: 민주공화당)] || ||<|2> 제11대 [*b 동대문구 (중선거구제)] || [[권영우]] || [include(틀: 민주정의당(1981~1987))] ||<|2>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 || [[심헌섭]] || [include(틀: 민주한국당)] || ||<|2> 제12대 [*b 동대문구 (중선거구제)] || [[송원영]] || [include(틀: 신한민주당)] ||<|2>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 || [[권영우]] || [include(틀: 민주정의당(1981~1987))] || || 제13대 || [[최훈(정치인)|최훈]] || [include(틀: 평화민주당)]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 제14대 ||<|2> [[노승우]]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 제15대 || [include(틀: 신한국당)]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 제16대 ||<|2> [[김희선(정치인)|김희선]] || [include(틀: 새천년민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 제17대 || [include(틀: 열린우리당)]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 제18대 || [[장광근]] || [include(틀: 한나라당)]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제19대 ||<|3> [[안규백]] || [include(틀: 민주통합당)]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2> [include(틀: 더불어민주당)]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제21대 || 2020년 5월 30일 ~ || == 개관 == [[제헌 국회]]에서 동대문구 갑[* 지금의 [[성북구]] 돈암동, 성북동, [[종로구]] 창신동, 숭인동이다. 지금은 모두 동대문구 관할이 아니다.]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나중에 [[자유당]]으로 개칭한다.] '''[[이승만]]'''이 당선되었다. 이후 제2대 총선에서도 보수적인 [[장연송]]이 당선되고, 제3대 총선부터 제6대 총선까지 보수적인 [[민관식]]이 당선되었다. 그러다가 제7대 총선부터 제8대 총선까지 [[송원영]]이 당선되며 야권의 텃밭으로 키웠다. 그러나 중선거구제 이후 제9대 총선에서 동대문구 전역에서 [[민주공화당]]이 1위를 차지히고, [[강상욱]]이 당선되었다. 제10대 총선에서도 유신체제에 대한 반감 등으로 인한 악재 속에서도 중선거구제 영향 덕분인지 민주공화당 [[이인근]](청원학원 설립자)이 2위로 당선된다. 제11대 총선에서는 민주정의당 [[권영우]](당시 [[KD 운송그룹]] 회장)가 1위로 당선되었고, 제12대 총선에서도 민주정의당 권영우가 재선에 성공한다. 이 당시 지방선거를 보면 스윙 스테이트적 성향이 강했다.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노태우]]가 [[김대중]]에게 근소 우위를 보였고, [[제14대 대통령 선거]]와 제1회 지방선거, [[제15대 대통령 선거]], 제2회 지방선거, [[제16대 대통령 선거]] 또한 민주당이 많은 득표수를 올렸다. 알려진 것과는 달리 한나라당의 텃밭은 아니고 한나라당에서 인물 경쟁력이 뛰어난 후보를 내보내서 지역을 사수 한 셈이다. 다만 14대 대선과 15대 대선에서 보수 후보 득표율을 합하면 보수 후보가 훨씬 과반수를 넘는 일이 있었다.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4> [[동대문구 갑|{{{#000000 {{{+1 '''동대문구 갑'''}}}}}}]][br]{{{#000000 ,,신설동, 용두1동, 용두2동, 제기1동, 제기2동, 청량리1동, 청량리2동, [br]회기동, 휘경1동, 휘경2동, 이문1동, 이문2동, 이문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유종열]](劉鍾烈) || 26,900 || 2위 || || [include(틀: 민주정의당)] || 23.73% || 낙선 || ||<|2> {{{#ffffff {{{+5 '''2'''}}}}}} || [[노승우|{{{#373a3c,#dddddd 노승우}}}]](盧承禹) || 26,716 || 3위 || || [[통일민주당|[include(틀:통일민주당)]]] || 23.56% || 낙선 || ||<|2> {{{#000000 {{{+5 '''3'''}}}}}} || '''[[최훈(정치인)|{{{#373a3c,#dddddd 최훈}}}]](崔薰)''' || '''28,475''' || '''1위''' || || [[평화민주당|[include(틀:평화민주당)]]] || '''25.12%''' || '''당선''' || ||<|2> {{{#ffffff {{{+5 '''4'''}}}}}} || [[이인근|{{{#373a3c,#dddddd 이인근}}}]](李仁根) || 24,442 || 4위 || || [[신민주공화당|[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21.56% || 낙선 || ||<|2> {{{#ffffff {{{+5 '''5'''}}}}}} || [[장광근|{{{#373a3c,#dddddd 장광근}}}]](張光根) || 4,348 || 5위 || || [include(틀:한겨레민주당)] || 3.83% || 낙선 || ||<|2> {{{#ffffff {{{+5 '''6'''}}}}}} || 전명환(田明煥) || 594 || 7위 || || [include(틀:우리정의당)] || 0.52% || 낙선 || ||<|2> {{{#ffffff {{{+5 '''7'''}}}}}} || 강두원(姜斗遠) || 1,878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1.6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5,466 ||<|3> '''투표율'''[br]70.01% || || '''투표 수''' || 114,405 || || '''무효표 수''' || 1,052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4> [[동대문구 갑|{{{#ffffff {{{+1 '''동대문구 갑'''}}}}}}]][br]{{{#ffffff ,,신설동, 용두1동, 용두2동, 제기1동, 제기2동, 청량리1동, 청량리2동, 회기동, 휘경1동, 휘경2동, 이문1동, 이문2동, 이문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노승우|{{{#373a3c,#dddddd 노승우}}}]](盧承禹)''' || '''35,587''' || '''1위''' ||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31.40%''' || '''당선''' || ||<|2> {{{#ffffff {{{+5 '''2'''}}}}}} || [[최훈(정치인)|{{{#373a3c,#dddddd 최훈}}}]](崔薰) || 34,710 || 2위 || || [[민주당(1991년)|[include(틀:민주당(1991년))]]] || 30.62% || 낙선 || ||<|2> {{{#ffffff {{{+5 '''3'''}}}}}} || [[유종열]](劉鍾烈) || 25,486 || 3위 || || [[통일국민당|[include(틀:통일국민당)]]] || 22.48% || 낙선 || ||<|2> {{{#ffffff {{{+5 '''4'''}}}}}} || 송차갑(宋且甲) || 2,188 || 5위 || || [include(틀:신정치개혁당)] || 1.93% || 낙선 || ||<|2> {{{#ffffff {{{+5 '''5'''}}}}}} || 정재복(鄭在福) || 301 || 8위 || || [include(틀:공명민주당)] || 0.26% || 낙선 || ||<|2> {{{#ffffff {{{+5 '''6'''}}}}}} || 곽병기(郭柄麒) || 1,002 || 7위 || || [include(틀:무소속)] || 0.88% || 낙선 || ||<|2> {{{#ffffff {{{+5 '''7'''}}}}}} || 문승국(文承國) || 1,564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1.38% || 낙선 || ||<|2> {{{#ffffff {{{+5 '''8'''}}}}}} || 윤용(尹溶) || 12,489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11.0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8,961 ||<|3> '''투표율'''[br]67.78% || || '''투표 수''' || 114,514 || || '''무효표 수''' || 1,187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동대문구 갑|{{{#ffffff {{{+1 '''동대문구 갑'''}}}}}}]][br]{{{#ffffff ,,신설동, 용두1동, 용두2동, 제기1동, 제기2동, 청량리1동, 청량리2동, 회기동, 휘경1동, 휘경2동, 이문1동, 이문2동, 이문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노승우|{{{#373a3c,#dddddd 노승우}}}]](盧承禹)''' || '''34,120''' || '''1위''' || || '''[include(틀: 신한국당)]''' || '''38.08%''' || '''당선''' || ||<|2> {{{#ffffff {{{+5 '''2'''}}}}}} || [[김희선(정치인)|{{{#373a3c,#dddddd 김희선}}}]](金希宣) || 30,392 || 2위 || || [include(틀: 새정치국민회의)] || 33.92% || 낙선 || ||<|2> {{{#ffffff {{{+5 '''3'''}}}}}} || [[장광근|{{{#373a3c,#dddddd 장광근}}}]](張光根) || 10,065 || 4위 || || [include(틀: 통합민주당(1995년))] || 11.23% || 낙선 || ||<|2> {{{#ffffff {{{+5 '''4'''}}}}}} || 손윤준(孫允準) || 10,207 || 3위 ||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11.39% || 낙선 || ||<|2> {{{#ffffff {{{+5 '''5'''}}}}}} || [[이근규|{{{#373a3c,#dddddd 이근규}}}]](李根圭) || 4,794 || 5위 || || [include(틀: 무소속)] || 5.3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54,807 ||<|3> '''투표율'''[br]58.96% || || '''투표 수''' || 91,273 || || '''무효표 수''' || 1,695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4> [[동대문구 갑|{{{#ffffff {{{+1 '''동대문구 갑'''}}}}}}]][br]{{{#ffffff ,,신설동, 용두1동, 용두2동, 제기1동, 제기2동, 청량리1동, 청량리2동, 회기동, 휘경1동, 휘경2동, 이문1동, 이문2동, 이문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한승민(韓承珉) || 27,213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35.87% || 낙선 || ||<|2> {{{#ffffff {{{+5 '''2'''}}}}}} || '''[[김희선(정치인)|{{{#373a3c,#dddddd 김희선}}}]](金希宣)''' || '''32,971''' || '''1위''' || || [include(틀: 새천년민주당)] || '''43.46%''' || '''{{{#000000 당선}}}''' || ||<|2> {{{#ffffff {{{+5 '''3'''}}}}}} || [[노승우|{{{#373a3c,#dddddd 노승우}}}]](盧承禹) || 8,751 || 3위 ||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11.53% || 낙선 || ||<|2> {{{#ffffff {{{+5 '''4'''}}}}}} || [[심양섭]](沈良燮) || 4,131 || 4위 || || [include(틀: 민주국민당(2000년))] || 5.44% || 낙선 || ||<|2> {{{#ffffff {{{+5 '''5'''}}}}}} || 김숙이(金淑伊) || 2,794 || 5위 || || [include(틀: 청년진보당)] || 3.6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43,649 ||<|3> '''투표율'''[br]53.34% || || '''투표 수''' || 76,622 || || '''무효표 수''' || 659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현역 의원인 [[새천년민주당]] [[김희선(정치인)|김희선]]은 17대 총선에서는 [[열린우리당]]으로 출마했다. 한나라당 후보는 [[장광근]]으로, 민주당과 한나라당에서 전국구 국회의원을 지낸 2선 의원이다. 장광근은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사태|탄핵]] 투표에서 찬성을 누른 의원 중 한 명인만큼 역풍이 있었고, [[새천년민주당]] 지용호가 출마해서 표가 갈렸음에도, 김희선에게 3.08% 차이로 패한다. 이 선거에 무소속 기호 6번으로 출마한 이경희는 이후 13년 뒤에 치러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 [[한국국민당(2015년)|한국국민당]]이라는 군소정당의 후보로 출마하게 된다. ||<-4> [[동대문구 갑|{{{#000000 {{{+1 '''동대문구 갑'''}}}}}}]][br]{{{#000000 휘경1동, 휘경2동, 이문1동, 이문2동,[br]청량리동, 용신동, 제기동, 회기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장광근|{{{#373a3c,#dddddd 장광근}}}]](張光根) || 40,210 || 2위 || || [include(틀: 한나라당)] || 41.00% || 낙선 || ||<|2> {{{#ffffff {{{+5 '''2'''}}}}}} || [[지용호|{{{#373a3c,#dddddd 지용호}}}]](池龍鎬) || 6,136 || 3위 || || [include(틀: 새천년민주당)] || 6.25% || 낙선 || ||<|2> {{{#000000 {{{+5 '''3'''}}}}}} || '''[[김희선(정치인)|{{{#373a3c,#dddddd 김희선}}}]](金希宣)''' || '''43,228''' || '''1위''' || || '''[include(틀: 열린우리당)]''' || '''44.08%''' || '''당선''' || ||<|2> {{{#ffffff {{{+5 '''4'''}}}}}} || 김영환(金永煥) || 804 || 7위 ||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0.81% || 낙선 || ||<|2> {{{#ffffff {{{+5 '''5'''}}}}}} || 김영준(金榮俊) || 4,310 || 4위 || || [include(틀: 민주노동당)] || 4.49% || 낙선 || ||<|2> {{{#ffffff {{{+5 '''6'''}}}}}} || [[이경희]](李京熹) || 934 || 6위 || || [include(틀: 무소속)] || 0.95% || 낙선 || ||<|2> {{{#ffffff {{{+5 '''7'''}}}}}} || 한승민(韓承珉) || 2,444 || 5위 || || [include(틀: 무소속)] || 2.4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0,431 ||<|3> '''투표율'''[br]61.46% || || '''투표 수''' || 98,606 || || '''무효표 수''' || 840 ||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이 지역 2선인 [[열린우리당]] [[김희선(정치인)|김희선]]은 2005년 한나라당 국회의원들로부터 선거 당시 자신을 독립운동가 후손이라고 허위 사실을 말했다는 이유로 고소되었다가 무죄 판결을 받았다. [[한나라당]] [[장광근]]은 17대 총선에서 김희선에게 패했지만, 이명박의 대선 승리의 주역 중 한 사람으로 오래 전부터 총선에 대비해 지역구 텃밭을 다져왔다. 김희선은 "[[동대문구]]의 낡은 지역 이미지 탈피를 위해 명문학교나 로스쿨 학원 타운 등을 건립해 서울 동부권에서 교육 여건이 가장 좋은 지역으로 만들고 명품 지역으로 탈바꿈하겠다."고 공약했다. 장광근은 "이문, 휘경 뉴타운사업의 성공을 위해 용적률 제고, 층고 완화, 공공 기반 시설의 국가지원을 늘리고, 뉴타운 사업 지구 내 신설될 학교들에 대해 각각 자사고나 특목고 형태로 유치할 계획을 세웠다."고 호소했다. 두 후보 모두 재선 의원으로 저력이 있고, 김희선은 지역내에 '일 잘하는 국회의원'이라는 이미지로 알려져 있었으며, 장광근은 '동대문구의 대변인'이라는 이미지로 선거에 임했다. 이명박 당선과 뉴타운 등의 바람으로 장광근이 앞서갔고, 김희선은 공천 경쟁을 했던 구 민주당 지지세력이 모두 선대본부에 가세해 기세를 올렸다. 여기에 [[민주노동당]] 방종옥이 출마해 부자정부에 맞서는 서민대표를 표방했고, [[미래희망연대|친박연대]] 김정석은 박근혜 대표 특별보좌관을 역임했을 만큼 두 후보 역시 선거 판세를 흔들고 있었다. 여기에 [[장준하]]의 아들인 무소속 장호권도 출마해 아버지의 정치적 행보를 이어가고자 하였다. ||<-4> [[동대문구 갑|{{{#ffffff {{{+1 '''동대문구 갑'''}}}}}}]][br]{{{#ffffff 휘경1동, 휘경2동, 이문1동, 이문2동,[br]청량리동, 용신동, 제기동, 회기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희선(정치인)|{{{#373a3c,#dddddd 김희선}}}]](金希宣) || 24,014 || 2위 || || [include(틀: 통합민주당(2008년))] || 32.86% || 낙선 || ||<|2> {{{#ffffff {{{+5 '''2'''}}}}}} || '''[[장광근|{{{#373a3c,#dddddd 장광근}}}]](張光根)''' || '''39,127''' || '''1위''' || || '''[include(틀: 한나라당)]''' || '''53.54%''' || '''당선''' || ||<|2> {{{#ffffff {{{+5 '''4'''}}}}}} || 방종옥(方鍾玉) || 3,716 || 4위 || || [include(틀: 민주노동당)] || 5.08% || 낙선 || ||<|2> {{{#ffffff {{{+5 '''6'''}}}}}} || 김정석(金丁錫) || 4,735 || 3위 || || [include(틀: 친박연대(2008년))] || 6.47% || 낙선 || ||<|2> {{{#ffffff {{{+5 '''7'''}}}}}} || [[장호권|{{{#373a3c,#dddddd 장호권}}}]](張豪權) || 1,011 || 5위 || || [include(틀: 무소속)] || 1.3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59,626 ||<|3> '''투표율'''[br]46.10% || || '''투표 수''' || 73,595 || || '''무효표 수''' || 517 || 결과는 한나라당 장광근이 김희선을 20.68% 차이로 크게 누르고 당선되었다.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현역인 [[장광근]]이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임기를 한 달 앞두고 의원직이 박탈되었으며, [[김희선(정치인)|김희선]] 역시 공천을 대가로 돈을 받았다가 징역 1년을 선고받았다. 이로 인해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 모두 새로운 인물들이 선거에 나서게 되었다. [[새누리당]] 허용범은 [[조선일보]] 워싱턴 특파원을 거쳐, 국회 대변인과 박근혜 전 대표 공보특별보좌관 등을 지낸 친박 인사다. 그는 "30년 전에 있던 정신병원이 그대로 있다"며 "이제는 낙후된 지역이 아닌 청량리 역세권에 현대화된 고층빌딩과 현대식 상가가 들어서야한다. 또한 재래시장도 현대화하겠다"고 주장했다. [[민주통합당]] [[안규백]]은 새천년민주당 조직국장, 김대중 선거대책본부 조직국장, 17대 대선 선대본부 조직본부장 등을 거친 당의 '조직통'이다. 17대 총선에서 비례대표 의원으로 당선된 이후 재선에 도전한다. 그는 동대문의 옛 명성을 되찾기 위해 "제기동 약령시장과 청과물 도매시장, 경동시장을 특화하기 위해 지원법을 제정"하고 "동대문구 내 재래시장을 세계적 브랜드로 만들고 시장 내 동선도 재조정해 관광객을 불러 모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명박 대통령을 경제 하나만 보고 뽑아줬는데 민생이 파탄났다며 정부 심판을 호소했다. 다만, 선거를 한 달 남기고 전략공천된 만큼 지역에서 뛰던 예비후보들의 반발을 어떻게 추스리냐가 관건으로 보였다. 결과는 안규백이 허용범을 2.9% 차이로 제치고 2선에 성공했다. 여담으로'친 안철수'를 표방한 무소속 [[조광한]]은 낙선 후 [[남양주시]]로 이주했고, [[새정치민주연합|민주당과 새정치연합 합당]]을 통해 은근슬쩍 복당한 뒤 2018년에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남양주시장이 되었다. ||<-4> [[동대문구 갑|{{{#3AB34A {{{+1 '''동대문구 갑'''}}}}}}]][br]{{{#3AB34A 휘경1동, 휘경2동, 이문1동, 이문2동,[br]청량리동, 용신동, 제기동, 회기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허용범|{{{#373a3c,#dddddd 허용범}}}]](許容範) || 39,473 || 2위 || || [include(틀: 새누리당(2012년))] || 45.50% || 낙선 || ||<|2> {{{#3AB34A {{{+5 '''2'''}}}}}} || '''[[안규백|{{{#373a3c,#dddddd 안규백}}}]](安圭伯)''' || '''41,993''' || '''1위''' || || '''[include(틀: 민주통합당)]''' || '''48.41%''' || '''당선''' || ||<|2> {{{#ffffff {{{+5 '''6'''}}}}}} || 윤지현(尹智鉉) || 1,242 || 4위 || || [include(틀: 국민생각)] || 1.43% || 낙선 || ||<|2> {{{#ffffff {{{+5 '''7'''}}}}}} || [[조광한|{{{#373a3c,#dddddd 조광한}}}]](趙光漢) || 4,039 || 3위 || || [include(틀: 무소속)] || 4.6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3,396 ||<|3> '''투표율'''[br]53.46% || || '''투표 수''' || 87,348 || || '''무효표 수''' || 601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동대문구 갑|{{{#ffffff {{{+1 '''동대문구 갑'''}}}}}}]][br]{{{#ffffff 휘경1동, 휘경2동, 이문1동, 이문2동,[br]청량리동, 용신동, 제기동, 회기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허용범|{{{#373a3c,#dddddd 허용범}}}]](許容範) || 35,593 || 2위 || || [include(틀: 새누리당(2012년))] || 38.31% || 낙선 || ||<|2> {{{#ffffff {{{+5 '''2'''}}}}}} || '''[[안규백|{{{#373a3c,#dddddd 안규백}}}]](安圭伯)''' || '''39,728''' || '''1위''' || || '''[include(틀: 더불어민주당)]''' || '''42.76%''' || '''당선''' || ||<|2> {{{#ffffff {{{+5 '''3'''}}}}}} || [[김윤(1963)|김윤]](金潤) || 14,674 || 3위 || || [include(틀: 국민의당(2016년))] || 15.79% || 낙선 || ||<|2> {{{#000000 {{{+5 '''4'''}}}}}} || 오정빈(吳禎彬) || 2,911 || 4위 || || [include(틀: 정의당)] || 3.1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58,967 ||<|3> '''투표율'''[br]58.45% || || '''투표 수''' || 92,906 || || '''무효표 수''' || 1,148 || ||<-5> {{{#ffffff '''20대 총선 서울 동대문구 갑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허용범|{{{#ffffff '''허용범'''}}}]] || [[안규백|{{{#ffffff '''안규백'''}}}]]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35,593 [br] (38.31%)''' || {{{#ffffff '''39,728 [br] (42.76%)'''}}} || '''-4,135 [br] (▼4.45)''' || '''58.45%''' || || '''용신동''' || 38.07% || {{{#004ea2 41.90%}}} || ▼3.83 || 52.75 || || '''제기동''' || {{{#c9252b 40.87%}}} || 39.52% || {{{#808080 △'''1.35'''}}} || 55.44 || || '''청량리동''' || {{{#c9252b '''47.22%'''}}} || 37.04% || △10.18 || 58.12 || || '''회기동''' || 32.70% || {{{#004ea2 '''49.82%'''}}} || ▼17.12 || 62.19 || || '''휘경1동''' || 38.78% || {{{#004ea2 41.65%}}} || ▼2.78 || 53.93 || || '''휘경2동''' || 36.68% || {{{#004ea2 45.51%}}} || ▼8.83 || 61.26 || || '''이문1동''' || 38.88% || {{{#004ea2 41.09%}}} || {{{#808080 '''▼1.21'''}}} || 55.39 || || '''이문2동''' || 36.85% || {{{#004ea2 44.08%}}} || ▼7.23 || 60.47 || || '''후보''' || [[허용범|{{{#c9252b '''허용범'''}}}]] || [[안규백|{{{#004ea2 '''안규백'''}}}]] || '''격차''' || - || || '''거소·선상투표''' || {{{#c9252b '''41.14%'''}}} || 37.34% || △3.70 || - || || '''관외사전투표''' || 28.34% || {{{#004ea2 50.50%}}} || ▼22.16 || - || || '''국외부재자투표''' || 20.70% || {{{#004ea2 '''62.90%'''}}} || ▼'''42.20''' || - || 현역 의원인 [[더불어민주당]] [[안규백]]이 단수공천되어 3선에 도전하며, [[새누리당]]에서는 19대 총선에서 2.91% 차이로 졌던 허용범이 재도전해 리턴매치가 열릴 예정이다. [[장광근]]도 예비후보로 등록했지만 공천에서 탈락하였다. 한편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은 김윤이 단수추천되어 공천되었다. 김윤은 [[대우자동차]] 세계경영기획단장을 거쳐 [[안철수]] 진심캠프와 새정치추진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서울시당 공천심사위원을 지냈다. 국민의당에서는 정치혁신특별위원회 상임위원과 정책위원회 부의장을 맡았다. 야권 후보가 정의당까지 포함해 3명으로 갈라지면서 허용범이 유리할 것으로 점쳐졌지만, 외려 지난번보다 근소하게 더 큰 차이인 4.45% 차이로 [[안규백]]이 당선되었다.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동대문구 갑|{{{#ffffff {{{+1 '''동대문구 갑'''}}}}}}]][br]{{{#ffffff 휘경1동, 휘경2동, 이문1동, 이문2동,[br]청량리동, 용신동, 제기동, 회기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안규백|{{{#373a3c,#dddddd 안규백}}}]](安圭伯)''' || '''51,551''' || '''1위''' || || '''[include(틀: 더불어민주당)]''' || '''52.72%''' || '''당선''' || ||<|2> {{{#ffffff {{{+5 '''2'''}}}}}} || [[허용범|{{{#373a3c,#dddddd 허용범}}}]](許容範) || 40,874 || 2위 || || [include(틀: 미래통합당)] || 41.80% || 낙선 || ||<|2> {{{#ffffff {{{+5 '''3'''}}}}}} || [[백금산|{{{#373a3c,#dddddd 백금산}}}]](白金山) || 1,679 || 4위 || || [include(틀: 민생당)] || 1.71% || 낙선 || ||<|2> {{{#ffffff {{{+5 '''7'''}}}}}} || 오준석(吳俊錫) || 1,264 || 5위 || || [include(틀: 민중당)] || 1.29% || 낙선 || ||<|2> {{{#ffffff {{{+5 '''8'''}}}}}} || 정공명(鄭公明) || 393 || 6위 || || [include(틀: 국가혁명배당금당)] || 0.40% || 낙선 || ||<|2> {{{#ffffff {{{+5 '''9'''}}}}}} || 이가현(李佳賢) || 2,009 || 3위 || || [include(틀: 무소속)] || 2.0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48,942 ||<|3> '''투표율'''[br]66.49% || || '''투표 수''' || 99,027 || || '''무효표 수''' || 1,257 || ||<:><-5> {{{#FFFFFF '''21대 총선 서울 동대문구 갑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안규백|{{{#FFFFFF '''안규백'''}}}]] ||<:> [[허용범|{{{#FFFFFF '''허용범'''}}}]]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51,551 [br] (52.72%)'''}}} ||<:> '''40,874 [br] (41.80%)''' ||<:> '''+10,677 [br] (△10.92)''' ||<:> '''66.49%''' || || '''용신동''' ||<:> {{{#004EA2 '''54.64%'''}}} ||<:> 40.87% ||<:> △'''13.77''' ||<:> 58.50 || || '''제기동''' ||<:> {{{#004EA2 50.40%}}} ||<:> 45.23% ||<:> △5.17 ||<:> 62.71 || || '''청량리동''' ||<:> 46.49% ||<:> {{{#ef426f '''49.38%'''}}} ||<:> {{{#808080 ▼'''2.89'''}}} ||<:> 64.26 || || '''회기동''' ||<:> {{{#004EA2 52.34%}}} ||<:> 39.92% ||<:> △12.42 ||<:> 69.26 || || '''휘경1동''' ||<:> {{{#004EA2 50.70%}}} ||<:> 42.26% ||<:> △8.44 ||<:> 63.39 || || '''휘경2동''' ||<:> {{{#004EA2 51.41%}}} ||<:> 42.67% ||<:> △8.74 ||<:> 65.46 || || '''이문1동''' ||<:> {{{#004EA2 49.37%}}} ||<:> 43.76% ||<:> △5.61 ||<:> 62.88 || || '''이문2동''' ||<:> {{{#004EA2 53.67%}}} ||<:> 41.51% ||<:> △12.16 ||<:> 67.61 || || '''후보''' ||<:> [[안규백|{{{#004EA2 '''안규백'''}}}]] ||<:> [[허용범|{{{#ef426f '''허용범'''}}}]]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58.41%}}} ||<:> 34.58% ||<:> △23.83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63.01%}}} ||<:> 31.0% ||<:> △32.01 ||<:> || || '''국외부재자투표''' ||<:> {{{#004EA2 '''67.68%'''}}} ||<:> 29.29% ||<:> △'''38.39''' ||<:> || ||<-4> {{{#ffffff '''동대문구 갑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 격차 || || '''후보''' || [[안규백|{{{#ffffff '''안규백'''}}}]] || [[허용범|{{{#ffffff 허용범}}}]] || (1위/2위) || || '''이문 e편한세상''' || {{{#004ea2,#5dabff '''51.26%'''}}} || 44.62% || ▼6.64 || || '''주공 2단지''' || {{{#004ea2,#5dabff 49.84%}}} || 45.60% || ▼4.24 || || '''홍릉 동부''' || 44.19% || {{{#ef426f,#bc103c '''52.21%'''}}} || △8.02 || || '''주공 1단지''' || 46.47% || {{{#ef426f,#bc103c 49.89%}}} || △3.42 || || '''이문 래미안 2차''' || 45.60% || {{{#ef426f,#bc103c 49.15%}}} || △3.55 || || '''한신''' || 46.32% || {{{#ef426f,#bc103c 48.57%}}} || △2.25 || 현역 [[안규백]]은 예비후보로 등록했고, 단수공천을 받으면서 4선 도전을 한다.[* 동대문구 갑에서는 3선이다.] 미래통합당에서는 [[허용범]]이 단수공천을 받으면서 선거에 도전한다. 이로써 안규백과의 3번째 맞대결이 성사되었다. 민생당에서는 [[백금산]]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민중당에서는 오준석 동대문구 부위원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무소속으로는 이가현 전 [[페미니즘당|페미당]] 준비위원이자 현 [[불꽃페미액션]] 활동가가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선거결과 출구조사에서는 경합으로 분류되었으나, 사전투표에서는 큰 표차로 승리해서 개표 결과는 [[안규백]]이 10.92% 차이로 이기며, 그 동안 3번의 선거 중 가장 큰 격차로 이겼다. 안 후보는 [[청량리동]]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승리하였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동대문구 갑|{{{#ffffff {{{+1 '''동대문구 갑'''}}}}}}]][br]{{{#ffffff 휘경1동, 휘경2동, 이문1동, 이문2동,[br]청량리동, 용신동, 제기동, 회기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역 [[안규백]] 의원이 5선 도전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에서는 [[허용범]] 당협위원장이 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안규백 대 허용범의 대결이 성사될 경우,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내리 4번째 대결이다. [[대통령실]] 행정관 [[여명(정치인)]]과 [[김영우]] 역시 출마를 준비하고 있어, 3파전이 예상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9/0002754929?sid=100]]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서울특별시의 정치]][[분류:동대문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