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몽골 간섭기, top2=여몽 관계, top3=쌍성총관부, top4=탐라총관부)] || {{{#fff '''원간섭기의 고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일_원 간섭기 시기의 고려.png|width=100%]]}}}|| {{{+1 東寧路總管府 | 동녕로총관부}}} [목차] == 개요 == [[몽골 간섭기|원 간섭기]]인 [[1270년]]에 [[원나라]]가 [[고려]]의 서경([[평양]])에 설치했다가 1290년 [[요동]]으로 이전한 통치기구이다. == 상세 == [[1269년]](고려 [[원종(고려)|원종]] 10년)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의 기관(記官) [[최탄]](崔坦) 등이 반란을 일으키고 서경, [[북계]]의 54개의 성과 [[서해도]]의 6성을 원나라에 바치고 투항했다.[* 최탄은 서경유수(西京留守) 최년(崔年), 판관(判官) 유찬(柳粲), 사록(司錄) 조영불(曹英紱), 용주(龍州) 수령 유희량(庾希亮), 영주(靈州) 수령 목덕창(睦德昌), 철주(鐵州) 수령 김정화(金鼎和), 선주(宣州) 수령 김의(金義), 자주(慈州) 수령 김윤(金潤)을 죽였고 그 나머지 각 성의 원리(員吏)들도 다 적에게 살해당했으며 성주(成州) 수령 최군(崔群)은 부하의 손에 죽었다. 김정화의 처는 대경(大卿) 이덕재(李德材)의 딸로, 처음 고을로 들어올 때 그 미색을 뽐내느라 얼굴을 가리지 않았으므로 그 아름다움을 모르는 사람이 없었다. 이때에 적이 김정화를 기둥에 묶어놓고 보는 앞에서 강간했다. 김의는 사람됨이 굳세었는데 적이 술을 부으라 하니 분을 못 이겨 스스로 목매어 자결했다.] 이후 [[원나라]] 세조 [[쿠빌라이 칸]]은 서해도 부근 자비령을 경계로 그 이북 지역을 모두 [[요양행성]]에 편입하고 서경에 동녕부를 설치한 후, [[최탄]]을 총관에 임명하였다. 이에 고려 원종은 원의 수도 [[대도]](오늘날의 [[베이징시]])에 직접 가서 쿠빌라이 칸에게 이 지역의 반환을 요구하였으나 관철되지 않았고, 오히려 쿠빌라이 칸은 [[1275년]]([[충렬왕]] 1년)에 동녕부를 동녕총관부로 승격시켰다. 하지만 끊임없는 설득과 요구 끝에 원나라는 [[1290년]](충렬왕 16년)에 이 지역을 고려에 돌려주었고, 동녕총관부를 [[요동]] 지역으로 이동시켰다.[* 즉 영토는 반환했지만 동녕총관부라는 기구 자체는 이때 철폐된 게 아니다. 그리고 요동 지역에 고려 왕족을 심왕으로 삼아 고려를 압박하는 데 썼는데, 어차피 원의 속국이면 요동을 누가 차지해도 상관없어서 일시적으로나마 요동 통치권을 고려왕이 가지기도 했다.] 동녕부를 돌려준 이유는 세조구제인데 원 세조가 고려의 항복이 이뤄진 시점부터 원나라에 협조하는 대가로 영토와 주권을 존중하겠다고 약속했고, 따라서 더 이상 유지할 근거가 없었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탐라총관부도 실권은 원나라 목호들이 쥐고 있었으나 일단은 고려에 돌려주었다. 동녕총관부는 고려 밖으로 옮겨졌지만 한때 고려를 지배했었으므로 정벌해야 할 외세의 통치기구라는 명분으로 공민왕은 [[1370년]](공민왕 19년) 북진을 실시하였고 이에 고려는 일시적으로 요동을 점령하는 결과를 얻기도 하였다([[제1차 요동정벌]]). 고려인의 배반으로 원나라의 직속령이 되었다는 점에서 [[쌍성총관부]]와 유사하다. [[분류:고려(원간섭기)]][[분류:나무위키 한국사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