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동국이상국집.jpg]] 東國李相國集 [목차] == 소개 == [[고려]] 중기의 문신 [[이규보]]의 문집. 동국이상국집은 제목 그대로 '[[고려]](東國)의 재상 이규보(李[[상국|相國]])의 문집(集)'이라는 뜻이다. 총 53권 13책으로 이규보의 아들 이함(李涵)이 아버지 이규보의 글을 모아 [[고려 고종]] 28년(신축년, 1241년) 전집(前集) 41권, 후집(後集) 12권으로 편집해서 간행했다. 엄밀히 말하면 여기서 [[고려 고종]] 28년(신축년, 1241년)은 문집을 편집한 해를 말하므로 판각과 인쇄 및 제책에 걸리는 시간을 고려해 보면 실제 문집이 간행된 해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참고로 전집과 후집의 서문을 작성한 달은 각각 8월과 12월이다. 전집의 서문에 "아들인 감찰어사(監察御史) 함(涵)이 ... (중략) ... 문집을 만들도록 간청한 결과, 공이 그 간청을 옳게 여기고 이리저리 갈라 41권으로 만들어 이름을 동국이상국문집(東國李相國文集)이라 하였다."라고 한 것과, 역시 같은 전집에 실린 연보(年譜)에 "7월에 병이 심해지자 ... (중략) ... 공의 평소에 저술한 전후 문집(前後文集) 53권을 모두 가져다가 공인(工人)을 모집하여 빨리 새기라고 독촉까지 한 것은 공이 죽기 전에 한번 보이고 마음을 위안시키려 했던 것이다. 그러나 공역이 워낙 거창하여 그만 끝을 보지 못한 채 9월 초이튿날 갑자기 늘 누었던 자리를 떠나 바로 서쪽을 향해 누워 오른쪽 갈빗대를 자리에 붙이고 밤이 되자 잠든 듯이 졸하였다."라고 돼 있는 것으로 봐서 전·후집 53권 13책 모두 이규보 생전에 편집을 마쳤으나 간행은 보지 못하고 사망한 걸로 보인다. 《동국이상국집》 전집 권3, 「고율시」에 [[구삼국사]]를 인용한 동명왕편이 남아있어서 학술적 가치가 높다. 동명왕편은 고려가 성인의 나라임을 알리기 위해 편찬하였다. 1234년에 [[상정고금예문]]이 금속활자로 만들어졌음을 기록한 책이다. 그러나 상정고금예문은 전래되지 않고 있기에 현존 최고의 금속활자 기록물은 1377년 간행된 [[직지심체요절]]로 남아있다. == 외부 링크 == [[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grpId=&itemId=BT&gubun=book&depth=2&cate1=Z&cate2=&dataGubun=%EC%84%9C%EC%A7%80&dataId=ITKC_BT_0004A|한국고전종합DB - 동국이상국집]] == 같이보기 == * [[동명왕]] * [[동명왕릉]] * [[이규보]] [[분류:고려의 도서]][[분류:한국의 역사책]][[분류:이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