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피겨 스케이팅 주요 대회)] ---- ||<-2>
{{{#white 동계 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륜기(여백X).svg|width=300&theme=light]][[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width=300&theme=dark]]}}} || ||<-2> {{{#ffffff 현재 올림픽 챔피언}}} || || 남자 싱글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네이선 첸]](2022)|| || 여자 싱글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width=27]] [[안나 셰르바코바]](2022)|| || 페어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 [[쑤이원징 / 한충]](2022)|| || 아이스 댄스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출력= )]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제롱]](2022)|| || 단체전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width=27]] [[러시아|ROC]](2022)|| [목차] [clearfix] == 개요 == [[올림픽|동계 올림픽]]에서 진행되는 [[피겨 스케이팅]]에 관한 문서. == 역사 == [[피겨 스케이팅]]은 [[1908 런던 올림픽]]에서 처음으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뒤 [[1920 안트베르펀 올림픽]]에서도 진행되었다. 동계 올림픽에선 [[1924 샤모니 동계올림픽]]부터 진행하게 됐다. == 종목 == 최근에 개최된 [[2018 평창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보면 남자 싱글, 여자 싱글, 페어, 아이스 댄스, 그리고 단체전이 있다. 남자 싱글과 여자 싱글, 페어 종목은 [[1908 런던 올림픽]]부터 포함되어 있었고, 아이스 댄스는 [[1968 그르노블 동계올림픽]]에 시범종목으로 추가 되었다가, [[1976 인스브루크 동계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추가되었다. 단체전은 나머지 4개 종목과 달리 가장 최근에 추가되었는데, 바로 [[2014 소치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2014 소치 동계올림픽]]부터 올림픽에 추가 되었다. 현재 싱크로나이즈 스케이팅이라는 종목이 있지만, 올림픽 종목으로는 추가되지 않았다. 지금과는 달리 [[1908 런던 올림픽]]에선 컴펄서리 피겨와 유사한 스페셜 피겨 라는 종목이 있었지만, 한번만 개최되고 다음 올림픽부터 취소되었다. == 출전 자격 == 올림픽에 출전하는 [[피겨 스케이팅]] 선수들은 [[국제빙상경기연맹|ISU]]의 회원국의 국가대표여야 하며, 대표하는 나라의 시민권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선수권 대회의 국적 관련 규정은 올림픽보다 덜 엄격하기 때문에,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세계선수권 대회]]이나 [[피겨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유럽선수권 대회]]에 출전한 선수들이 올림픽에 출전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선수들은 올림픽에 출전하기 위해서 올림픽 시즌의 자국 선수권 대회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내야한다. 물론 모든 나라가 자국 선수권 대회의 결과로 선수들을 출전시키지는 않는다. 올림픽 시즌의 수상 경력이나, [[피겨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유럽선수권 대회]]나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사대륙선수권 대회]]의 결과까지 반영해서 최종 출전 선수들을 선발하는 경우도 있다. == 출전권 == ||
종목||남자 싱글||여자 싱글||페어||아이스 댄스|| ||총 출전권 수||30장||30장||20장||24장|| 올림픽의 총 출전권 수는 위와 같다. 그리고 출전권은 올림픽 직전 세계선수권 대회에서 80%의 출전권[* 남녀 싱글 24장, 페어 16장, 아이스 댄스 19장]을 분배한다. ||
선수 / 팀||1명 출전||2명 출전||3명 출전|| ||3장 조건||2위 이내로 입상[* [[김연아]]가 [[2013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3 세계선수권]]에 단독 출전하여 1위를 하면서 [[2014 소치 동계올림픽]]의 출전권이 3장이 되었다.]||두 선수/팀의 순위 합이 13 이하||상위 두 선수/팀의 순위 합이 13 이하|| ||2장 조건||10위 이내로 입상[* [[최다빈]]은 [[2017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7 세계선수권]]에 출전해서 10등을 하며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출전권을 2장으로 늘렸다.]||두 선수/팀의 순위 합이 28 이하||상위 두 선수/팀의 순위 합이 28 이하|| 세계선수권 대회에선 위와 같은 조건으로 출전권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획득한 출전권은 올림픽 직후 세계선수권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 국가에서 종목당 출전시킬 수 있는 선수들은 총 3명이다. 만약 선수들이 세계선수권 대회에서 출전권을 획득하지 못한 경우에는 올림픽 시즌 가을에 개최되는 국제대회[* 주로 네벨혼 트로피]에서 출전권[* 남녀 싱글 6장, 페어 4장, 아이스 댄스 5장]을 획득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민유라 / 알렉산더 겜린]] 조가 2017 네벨혼 트로피에 출전해서 결국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 최다 우승자 == ||
남자 싱글||[include(틀:국기, 국명=스웨덴, 출력= )] '''[[일리스 그라프스트룀]]'''||3회 (1920, 1924, 1928)|| ||여자 싱글||[include(틀:국기, 국명=노르웨이, 출력= )] '''[[소냐 헤니]]'''||3회 (1928, 1932, 1936)|| ||페어||[include(틀:국기, 국명=소련, 출력= )] '''[[이리나 로드니나 / 알렉산더 자이체프|이리나 로드니나]]'''||3회 ([[1972 삿포로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1972]], [[1976 인스브루크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1976]], [[1980 레이크플래시드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1980]])[* 이리나 로드니나는 첫 번째 파트너였던 [[이리나 로드니나 / 알렉세이 울라노프|알렉세이 울라노프]]와 1972 삿포로 동계올림픽, 두 번째 파트너였던 [[이리나 로드니나 / 알렉산더 자이체프|알렉산더 자이체프]]와 1976 인스브루크, 1980 레이크플래시드 동계올림픽에서 우승했다.]|| ||아이스 댄스||[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출력= )]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3회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아이스 댄스|2010]], [[2018 평창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아이스 댄스|2018]], [[2018 평창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단체전|2018^^T^^]] )|| == 2회 이상 우승 선수 == * '''굵은 글씨'''로 적혀있는 선수들은 2연패 이상 달성 선수들이다. * 연도 옆에 T 표시는 올림픽 단체전에서 우승한 경우이다. ||<|5>
남자 싱글||[include(틀:국기, 국명=스웨덴, 출력= )] '''[[일리스 그라프스트룀]]'''||3회 (1920, 1924, 1928)|| ||[include(틀:국기, 국명=오스트리아, 출력= )] '''[[카를 섀퍼]]'''||2회 (1932, 1936)||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딕 버튼]]'''||2회 (1948, 1952)||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출력= )] [[예브게니 플루셴코]]||2회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남자 싱글|2006]], [[2014 소치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단체전|2014^^T^^]])||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하뉴 유즈루]]'''||2회 ([[2014 소치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남자 싱글|2014]], [[2018 평창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남자 싱글|2018]])|| ||<|2>여자 싱글||[include(틀:국기, 국명=노르웨이, 출력= )] '''[[소냐 헤니]]'''||3회 (1928, 1932, 1936)|| ||[include(틀:국기, 국명=동독, 출력= )] '''[[카타리나 비트]]'''||2회 ([[1984 사라예보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1984]], [[1988 캘거리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1988]])|| ||<|7>페어||[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출력= )] '''[[앙드레 브뤼네 / 피에르 브뤼네]]'''||2회 (1928, 1932)|| ||[include(틀:국기, 국명=소련, 출력= )] '''[[류드밀라 벨로우소바 / 올레크 프로토포포프]]'''||2회 ([[1968 그르노블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1968]], [[1972 삿포로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1972]])|| ||[include(틀:국기, 국명=소련, 출력= )] '''[[이리나 로드니나 / 알렉산더 자이체프|이리나 로드니나]]'''||3회 ([[1972 삿포로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1972]], [[1976 인스브루크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1976]], [[1980 레이크플래시드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1980]])[* 이리나 로드니나는 첫 번째 파트너였던 [[이리나 로드니나 / 알렉세이 울라노프|알렉세이 울라노프]]와 1972 삿포로 동계올림픽, 두 번째 파트너였던 [[이리나 로드니나 / 알렉산더 자이체프|알렉산더 자이체프]]와 1976 인스브루크, 1980 레이크플래시드 동계올림픽에서 우승했다.]|| ||[include(틀:국기, 국명=소련, 출력= )] '''[[이리나 로드니나 / 알렉산더 자이체프|알렉산더 자이체프]]'''||2회 ([[1976 인스브루크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1976]], [[1980 레이크플래시드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1980]])|| ||[include(틀:국기, 국명=소련, 출력= )]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출력= )] [[예카테리나 고르데예바 / 세르게이 그린코프]]||2회 ([[1988 캘거리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1988]],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페어|1994]])|| ||[[파일:오륜기.svg|width=27]]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출력= )] [[나탈리야 미시쿠툐노크 / 아르투르 드미트리예프|아르투르 드미트리예프]]||2회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페어|1992]],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페어|1998]])[* 아르투르 드미트리예프는 첫 번째 파트너였던 나탈리야 미시쿠툐노크와 1988 캘거리 동계올림픽, 두 번째 파트너였던 옥사나 카자코바와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에서 우승했다.]||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출력= )] [[타티야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2회 ([[2014 소치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페어|2014]], [[2014 소치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페어|2014^^T^^]])|| ||<|2>아이스 댄스||[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출력= )] '''[[옥사나 그리슈크 / 예브게니 플라토프]]'''||2회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아이스 댄스|1994]],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아이스 댄스|1998]])||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출력= )]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3회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아이스 댄스|2010]], [[2018 평창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아이스 댄스|2018]], [[2018 평창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단체전|2018^^T^^]])|| == 역대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대회 == ||
{{{#fff 역대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 대회}}} || || '''{{{#white 2000년대 이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개최지 ||대회명 ||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샤모니]] ||1924 샤모니 동계올림픽 || ||[include(틀:국기, 국명=스위스)] 생모리츠 ||1928 생모리츠 동계올림픽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레이크플래시드 ||1932 레이크플래시드 동계올림픽 || ||[include(틀:국기, 국명=나치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193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동계올림픽 || ||[include(틀:국기, 국명=스위스)] 생모리츠 ||1948 생모리츠 동계올림픽 || ||[include(틀:국기, 국명=노르웨이)] [[오슬로]] ||1952 오슬로 동계올림픽 ||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코르티나담페초 ||1956 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스쿼밸리]] ||[[1960 스쿼밸리 동계올림픽]] || ||[include(틀:국기, 국명=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1964 인스브루크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1964 인스브루크 동계올림픽]] ||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그르노블]] ||[[1968 그르노블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1968 그르노블 동계올림픽]]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삿포로]] ||[[1972 삿포로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1972 삿포로 동계올림픽]] || ||[include(틀:국기, 국명=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1976 인스브루크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1976 인스브루크 동계올림픽]]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레이크플래시드 ||[[1980 레이크플래시드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1980 레이크플래시드 동계올림픽]] || ||[include(틀:국기, 국명=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사라예보]] ||[[1984 사라예보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1984 사라예보 동계올림픽]] ||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캘거리]] ||[[1988 캘거리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1988 캘거리 동계올림픽]] ||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알베르빌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 ||[include(틀:국기, 국명=노르웨이)] 릴레함메르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나가노]]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 ||}}}}}}}}} || || '''{{{#white 2000년대 이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개최지 ||대회명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솔트레이크 시티]]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토리노]]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밴쿠버]]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소치]] ||[[2014 소치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2014 소치 동계올림픽]]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평창군]] ||[[2018 평창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2018 평창 동계올림픽]]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베이징시]]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밀라노]], 코르티나담페초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 ||}}}}}}}}} || == 역대 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메달리스트 == ||
{{{#fff 역대 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메달리스트}}} || || {{{#white 남자 싱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include(틀:역대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남자 싱글 금메달리스트)] || || [include(틀:역대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남자 싱글 은메달리스트)] || || [include(틀:역대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남자 싱글 동메달리스트)] ||}}}}}} || || {{{#white 여자 싱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include(틀:역대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금메달리스트)] || || [include(틀:역대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은메달리스트)] || || [include(틀:역대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동메달리스트)] ||}}}}}} || || {{{#white 페어}}}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include(틀:역대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페어 금메달리스트)] || || [include(틀:역대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페어 은메달리스트)] || || [include(틀:역대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페어 동메달리스트)] ||}}}}}} || || {{{#white 아이스 댄스}}}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include(틀:역대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아이스 댄스 금메달리스트)] || || [include(틀:역대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아이스 댄스 은메달리스트)] || || [include(틀:역대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아이스 댄스 동메달리스트)] ||}}}}}} || || {{{#white 단체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include(틀:역대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단체전 금메달리스트)] || || [include(틀:역대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단체전 은메달리스트)] || || [include(틀:역대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단체전 동메달리스트)] ||}}}}}} || [각주] [[분류: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