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일반 마법 카드. == 설명 == [[파일:突然変異.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돌연변이, 일어판명칭=突然変異(メタモルフォーゼ), 영어판명칭=Metamorphosis, 효과1=자신 필드 위 몬스터 1장을 제물로 바친다. 제물로 바친 몬스터의 레벨과 같은 레벨의 융합 몬스터 1장을 융합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금지 카드, TCG=금지 카드, 마스터듀얼=금지 카드)]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해 [[융합 소환]] 없이 릴리스한 몬스터와 같은 레벨의 융합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 몬스터를 릴리스하는 게 조건이라 [[토큰(유희왕)|토큰]]이나 [[함정 몬스터]] 등 특수한 몬스터도 변이 소재로 쓸 수가 있다. 한편 정규 융합이 아니라 [[융합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는 융합 몬스터는 못 꺼내며, 일부 몬스터 효과는 융합 소환 시에만 발동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해당 효과를 쓰지 못한다. [[소생 제한 룰]]도 채우지 못한다. 이런 단점들이 있지만 이 카드가 가진 폭발력에 비하면 큰 의미가 없다. 이 카드의 사기성은 기본적으로 아드 소모가 극심한 융합 몬스터를 최저한의 비용으로 소환할 수 있다는것.[* 기본적으로 융합 소환은 융합 마법, 소재 몬스터 2장 이상 총 3장의 아드가 소모된다. 특수한 조건으로 융합이 필요없거나, 소재가 1장뿐인 경우도 있지만 예외적이다.] 융합 소재가 3장 이상 필요한 카드의 경우는 효과나 기본 스펙이 파격적인걸 생각하면... 덤으로 소재 제약도 씹어먹고 강력한 융합 몬스터를 어느 덱에서나 꺼낼수 있다는 범용성 마저 갖추고 있다. 특히 과거에는 소환 조건이 어렵지만 효과가 막강한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와의 조합은 매우 가혹하다 못해 병맛마저 느껴졌을 정도. [[신수왕 바르바로스]]나 [[메탈 리플렉트 슬라임]]처럼 소환이 쉬운 고레벨 몬스터를 코스트로 강력한 융합 몬스터를 소환할 수도 있었다. ||<-5>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파일: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로고.png|width=200px]]]][br]{{{+1 {{{#040404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040404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우승 덱'''}}}}}} || || 2004년 ||<|2> → || 2005년 ||<|2> → || 2006년 || || [[카오스 덱|광암 비트]] || '''돌연변이''' || [[카오스 덱|카오스]] || [[희생양(유희왕)|희생양]] 토큰에 돌연변이를 써서 사우전드 아이즈를 뽑는 것이 대세가 되기 시작했고, 여기에 아예 [[쓰쿠요미(유희왕)|쓰쿠요미]]를 투입하여 내 사우전드 아이즈를 뒤집고 반전 소환해서 장착한 몬스터를 파괴하고 다시 새 몬스터를 흡수하며 쓰쿠요미는 턴 종료 시에 패로 다시 돌아가 다음 턴에 같은 짓을 하는 루프가 성립되었다. 가뜩이나 범용 제거 카드가 제재를 먹던 시절이라 이 콤보를 막기가 어려웠고 2005년 9월에 희생양,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쓰쿠요미를 포함한 이 카드가 한 번에 제한 카드로 지정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는 돌연변이의 제한에도 불구하고 그 후 발매된 [[인스턴트 퓨전]]으로 똑같은 짓을 했고, 결국 2006년 9월에 쓰쿠요미와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가 둘 다 금지에 박혀 해당 카드들과 놀던 돌연변이는 2007년 3월에 준제한으로 제재가 완화되었다. 그러나 하필이면 이 카드의 제한 완화로 인해 당시 [[고등의식술]]을 사용하는 [[데블도우저|충]][[종언의 왕 데미스|데미스]] 덱이 원턴킬을 낼 수 있는 수단이 추가되었다. 데미스나 데블도우저에 돌연변이를 걸어서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 중에 [[사이버 트윈 드래곤]]이 있었기 때문에 데미스 + 트윈 드래곤으로 2400 + 2800 + 2800 = 8000 딜이 정확히 나왔던 것. 결국 2007년 9월 금제에서 충데미스에서 쓰이던 원 턴 킬 수단들이 단체로 제재를 받을 때 [[파괴륜]]과 함께 금지 카드로 지정되었다. 이 카드의 금지로 인해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 네오|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 네오]]는 2014년에 [[청천벽력(유희왕)|청천벽력]]이 나오기까지 소환할 수도 없었다. 2022년 기준으로도 여전히 금지에서 풀릴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세월이 흐르면서 과거 시절보다 더 강력하고 흉악한 융합 몬스터, 비교적 간단한 조건으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고레벨 몬스터들이 우후죽순 생겨났기 때문.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선 [[유우키 쥬다이]]가 사용. 주로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 네오|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 네오]]의 특수 소환에 사용했다. OCG화된 버블맨 네오가 뜬금없이 돌연변이를 요구하는 것도 이러한 사용 방식 때문. 버블맨 네오 외엔 [[에드 피닉스]]와의 첫 듀얼에서 [[엘리멘틀 히어로 클레이맨#엘리멘틀 히어로 클레이 가드맨|엘리멘틀 히어로 클레이 가드맨]]의 소환에 1번 쓴 게 전부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2-05-1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301-038 | '''新たなる支配者'''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09-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E1-JP038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3-07-1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GD-090 | '''[[왕가의 수호자(부스터 팩)|PHARAONIC GUARDIA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3-1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R1-EN038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11-1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CP01-EN003 | CHAMPION PACK GAME ON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4-12-1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GD-KR090 | '''[[왕가의 수호자(부스터 팩)|왕가의 수호자]]'''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5-2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HGP1-KR038 | [[하이 그레이드 팩|하이 그레이드 팩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관련 카드 == === OCG화된 카드 === ====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 네오|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 네오]] ==== ==== [[백뮤테이션]] ==== === [[유희왕/OCG화되지 않은 카드|OCG화되지 않은 카드]] === ==== [[엘리멘틀 히어로 클레이맨#엘리멘틀 히어로 클레이 가드맨|엘리멘틀 히어로 클레이 가드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