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도의 세계유산)] [[파일:blog3.jpg]] ||<-3> '''[[유네스코|{{{#fff 유네스코}}}]] [[세계유산|{{{#fff 세계유산}}}]]''' || ||<-3>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width=160]] || ||<|3> 이름 || 한국어 || 돌라비라: 하라판 도시 || || 영어 || Dholavira: a Harappan City || || 프랑스어 || Dholavira: une cité harappéenne || |||| 국가·위치 || [[인도]] [[구자라트]] 주 || ||<-3> [include(틀:지도,장소=인도 Dholavira, 너비=100%, 높이=224px)] || |||| 등재유형 || [[세계유산#s-3.1|문화유산]] || |||| 등재연도 || [[2021년]] || |||| 등재기준 || (iii)[*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 (ⅳ)[*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 || |||| 지정번호 || [[https://whc.unesco.org/en/list/1645|1645]] || [[구자라트어]]: {{{+1 ધોળાવીરા}}} [[힌디어]]: {{{+1 धोलावीरा}}} {{{+1 Dholavira }}} [목차] [clearfix] == 개요 == [[인도]] [[구자라트]] 주에 위치한 [[인더스 문명]]의 도시 유적. [[파키스탄]]에 위치한 인더스 문명의 도시인 [[모헨조다로]]와 [[하라파]]에 비하면 비교적 인지도가 낮은 편이지만 이곳 역시 중요한 도시이며 규모도 상당하다. 현지에서는 코타다 팀바 프라신 마하나가르 돌라비라(Kotada Timba Prachin Mahanagar Dholavira)라고도 불린다. 기원전 3500년경부터 주민들이 거주하기 시작했고 기원전 1800년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이후 쇠퇴하기 시작하여 도시가 버려졌다가 기원전 1650년경 재건되었고 기원전 1250년경 최종적으로 사람들이 떠나면서 멸망했다. 건축물들은 대체로 주변에서 산출되는 사암으로 지어졌으며 모헨조다로의 벽돌과 비슷한 크기로 잘라내어 직육면체로 가공한 돌을 사용했다. 발굴 조사를 진행한 비슈트 박사에 의하면 돌라비라의 암석에서 볼 수 있는 분홍색의 문양으로부터 거리 전체가 분홍색으로 보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유적은 1960년대 초 돌라비라 마을 주민인 샴부단 가드비에 의해 처음 발견되어 ASI(인도 고고학 조사)의 J. P. 조시가 1967~1968년에 공식적으로 발견 및 연구되고 1990년 돌라비라 유적이 인더스 문명 연구에 새로운 발견이라고 평가 받으면서 발굴되었다. 출토된 유물은 다른 인더스 도시들과 비슷하게 인더스식 인장, 인더스 토기, 동물 뼈, 각종 귀금속 등이 출퇴되었고 [[메소포타미아]]와의 교역 흔적을 볼 수 있는 토기도 발굴되었다. 고고학자들은 돌라비라가 [[홍옥수]] 등의 보석을 가공, 수출함과 동시에 무역 유통망을 통제했으며 이는 돌라비라가 인더스 지역과 서아시아에서 중요한 교역 센터 중 하나라고 여겨지는 요인이다. 2021년 7월 27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 관련 문서 == * [[고고학 관련 정보]] * [[인더스 문명]] [[분류:구자라트 주]][[분류:인도의 세계유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