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지린성의 현급시]][[분류:연변 조선족 자치주의 행정구역]][[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지린성의 행정구역)] ||<-4> '''[[파일:중국 국장.svg|height=10]] [[연변 조선족 자치주|{{{#000000,#dddddd 연변조선족자치주}}}]]의 {{{#000000,#dddddd 현급시}}}'''[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dunhua_logo.png |height=80]]}}}||{{{#!wiki style="margin: -5px 0" '''{{{+1 돈화시}}}'''[br]敦化市[br]{{{-1 Dunhua City}}}}}}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dunhua&zoom=9, 너비=100%, 높이=100%)]}}} || ||<-2> '''{{{#fff 인민정부 소재지}}}''' ||<-2> 신화서로 1001-2호 (민주가도) || ||<-2> '''상위 행정구역''' ||<-2> [[연변 조선족 자치주|연변조선족자치주]] || ||<-2> '''하위 행정구역''' ||<-2> 4가도 11진 5향 || ||<-2> '''면적''' ||<-2> 11,787.76㎢ || ||<-2> '''인구''' ||<-2> 392,486명[* 2020년 제7차 인구조사 기준] || ||<-2> '''인구 밀도''' ||<-2> 32.30명/㎢ || ||<-2> '''서기''' || [include(틀:중국공산당)] || 류옌즈 ^^(한족)^^ || ||<-2> '''시장''' || [include(틀:중국공산당)] || 탕전성 ^^(한족)^^ || ||<|2> '''상징''' || '''시화''' ||<-2> [[진달래]] || || '''시목''' ||<-2> 장백송 || ||<-2> [[지역번호|{{{#ffffff '''지역번호'''}}}]] ||<-2> '''043X''' || ||<-4> [[http://www.dunhua.gov.c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 || [[파일:敦化駅.jpg|width=445]] 돈화역 전경 [[파일:800px-DunHua.jpg|width=445]] [[파일:2013年7月6日——团结路东段_-_panoramio.jpg|width=445]] 돈화시 시내 전경 [목차] == 개요 == [[중국어]] [[간체]]: 敦化 [[한어병음]]: Dūnhuà [[외래어 표기법]]: 둔화 [[중국조선어]]: 돈화 [[지린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의 [[현급시]]이다. 면적은 11,787.76㎢, 인구는 39만 명으로 이 중 [[조선족]]은 3.74% 정도에 불과하다. [[발해]] 초기 수도였던 [[동모산]]이 이 곳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지리 == [[연변조선족자치주]]의 북서쪽에 있으며, [[목단강]] 상류에 위치해 있다. 북동쪽은 [[헤이룽장성]], 동쪽은 [[왕청현]], 동남쪽은 [[연길시]], 남쪽은 [[안도현]], 남서쪽은 [[바이산시]], 북서쪽은 [[지린시]]에 접해 있다. == 역사 == [[파일:敦化东牟山(城山子山城)_-_panoramio.jpg]] [[동모산]] 위치로 유력한 성산자산성(城山子山城) [[고구려]] 때에는 계루부의 땅이었으며, 과거 [[발해]]의 초기 수도였던 [[동모산]]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된다. [[동모산]]은 698년에 [[대조영]]이 고구려 유민 등을 모아 성을 쌓고 대진(大震)이라는 국호로 [[발해]]를 건국한 곳이다. 3대 발해 [[문왕(발해)|문왕]] 때 수도를 [[상경용천부]](지금의 [[헤이룽장성]] [[무단장시]])으로 옮겼다. [[청나라]]때에는 [[만주족]]의 발상지라고 해서 200여년 동안 봉금되었다가 1882년에 [[현(행정구역)|현]]을 설치하고 돈화현이 되었다. 1946년의 내전 기간에는 [[중국공산당]] [[지린성]] 위원회와 [[지린시]] 정부가 잠시 돈화로 옮긴 적이 있었다. 1955년, [[조선족]] 비율이 현저히 낮은 돈화가 [[지린시]]에서 [[연변조선족자치주]]로 이관됨과 함께 [[조선족]] [[자치구]](自治区)가 [[자치주]](自治州)로 격하되었고, 1985년에 돈화현이 [[현급시|시]](市)로 승격되었다. == 주민 == 돈화시는 [[연변조선족자치주]]에 속하지만, 주민의 대부분은 [[한족]]이며 [[조선족]]은 돈화시 인구의 4%가 조금 안 된다. 이런 이유로 [[간도회복]] 떡밥에서 통일한국에 병합되는 영토를 예상할 때 대부분 이 지역은 제외하는 편이다. ||<-6> '''2020년 기준 민족구성''' || || 민족 || 인구(명) || 비율(%) || ||한족 ||365,704 ||93.18% || ||조선족 ||14,698 ||3.74% || ||만주족 ||8,749 ||2.23% || ||후이족 ||2,216 ||0.56% || ||기타 ||1,119 ||0.29% || == 경제 == 2002년 GDP는 38.5억 위안으로 [[지린성]]의 현이나 현급시 중에서는 3위이다. 황니하진(黄泥河鎮)에서는 조선인삼 인공 재배를 실시하며 연간 50톤을 생산한다. == 유적 == [[파일:五号墓と奥に見える貞恵公主墓.jpg]] 돈화시 육정산 고분군은 발해 초기 왕족이 묻힌 [[고분]]으로, 이 곳에는 1949년에 발견된 [[정혜공주묘]](육정산고분군 제1구역 2호분)가 있다. == 행정 == 돈화는 4개의 가도, 10개의 진, 5개의 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 가도: 민주가도(民主街道), 발해가도(渤海街道), 승리가도(胜利街道), 단강가도(丹江街道) * 진: 대석두진(大石头镇), 황니하진(黄泥河镇), 관지진(官地镇), 사하연진(沙河沿镇), 추리구진(秋梨沟镇), 액목진(额穆镇), 현유진(贤儒镇), 대포시하진(大蒲柴河镇), 대산취자진(大山嘴子镇), 강원진(江源镇) * 향: 대교향(大桥乡), 흑석향(黑石乡), 청구자향(青沟子乡), 한장향(翰章乡), 홍석향(红石乡)